View : 1017 Download: 0

치료적 접촉이 초산부의 상태-불안에 미치는 효과

Title
치료적 접촉이 초산부의 상태-불안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EFFECTS OF THERAPEUTIC TOUCH ON STATE ANXIETY OF PRIMIPAROUS WOMEN
Authors
朴金子
Issue Date
1984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학과
Keywords
치료접촉초산부간호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변영순
Abstract
인간은 생물학적. 심리적. 정신적, 사회적 차원을 지닌 개방적 유기체로 그가 속해있는 환경과 상호작용을 하며 ( Mckay, 1969 ) , 또한 에너지의 영역에 있다 ( Rogers, 1970, Krieger, 1979 ). 인간이 환경과 상호작용을 하는데 있어서 인간관계는 불가피하며, 정보의 교환을 통해서 원만한 인간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정보의 교환은 의사소통을 통해 이루어 지는데, 특히 접촉은 비언어적 의사소통술로서 인간의 정서에 관련된 정보를 교환하는데 이용된다. 또한 인간은 인간장과 환경장 사이에서 에너지의 상호교환을 통하여 평형을 유지할 수 있다. 에너지의 교환에서 접촉은 접촉자가 도우려는 의지를 가지고 대상자를 접촉할 때에 접촉자의 에너지가 대상자에게로 이동되게 한다. 한편, 분만상황에서 산부들은 분만을 위기로 생각하게 되며 (하, 1983) , 강한 자궁수축으로 인한 높은 자궁의 압력을 받는다. 또한 입원으로 인하여 그가 속해있던 환경과의 접촉이 감소되며, 분만에 대한 지식부족, 자신의 무력감, 가족과의 격리, 낮선 환경. 의료인과의 친숙치 못한 상태 등으로 불안과 긴장을 경험하게 된다. 따라서 간호원은 산부로 하여금 불안을 극복하고, 분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나아가서 긍정적인 분만경험이 되도록 지지해야 한다. 사람들이 타인에게 갑자기 의존하게 될때, 접촉에 의해 더 좋게 반응하며 (McCoy,1977 ) , 환자를 간호하는 데는 적절한 사회적, 감정적 접촉이 중요하다(Mitchell, 1980) . 따라서 간호원은 의사소통의 효과를 가지며, 에너지 이동의 기능을 가진 접촉을 통하여 산부를 지지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정상분만 과정에서 불안을 경험하는 초산부에게 접촉을 제공하고 그러한 접촉이 상태-불안과, 활력증후중 맥박, 호흡, 혈압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 또한 초산부의 일반적 특성 및 그에따른 접촉제공이 상태-불안과, 맥박, 호흡 혈압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방법은 1984년 9월 20일에서 10월 20일까지 서울시의 1개 대학병원과 1개 종합병원 및 안양시의 1개 병원에 입원한 70명의 초산부를 대상으로 실험군 35명과 통제군 35명으로 나누어 실험군에게는 상례적 간호와 접촉을 제공하고 통제군에게는 상례적 간호만을 수행하여, 입원시 (경관개대 2 - 3 ㎝ )와 정관개대 6 -7㎝시의 상태-불안과 맥박. 호흡, 혈압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x^(2) , t -검정, 이원분산분석 ( 2-Way ANONA)방법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 초산부의 상태-불안은 접촉을 제공받은 실험군이 접촉을 제공받지 않은 통제군보다 낮았다( P = 0 .026). 2 . 상태-불안에 대한 일반적 특성의 효과는 "결혼생활에 만족한다'가 "그저 그렇다"보다 상태-불안 점수가 낮았다( P = 0. 023). 상태 -불안에 대한 연령 ( P = 0.521 ) , 종교 ( P = 0.231 ) . 학력 ( P =0.369) . 분만1기 시간( P = 0.784)의 효과의 차는 유의하지 않았다. 3 . 초산부의 활력증후중 맥박( P < 0.127 ) , 호흡( P < 0.256 ) 에 있어서, 접촉을 제공받은 실험군과 접촉을 제공받지 않은 통제군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혈압에 있어서 수축기혈압은 접촉을 제공받은 실험군과 접촉을 제공받지 않은 통제군과의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P = 0.589 ) ,이완기혈압은 접촉을 제공받은 실험군이 접촉을 제공받지 않은 통제군보다 낮았다. ( P = 0.007 ) 4 . 이완기혈압에 대한 일반적 특성의 효과는 대졸이상, 중졸, 고졸의 순으로 이완기혈압이 낮았다( P = 0.001 ) . 이완기혈압에 대한 연령 ( P = 0.331 ) , 종교 ( P = 0.252) , 결혼생활 만족도 ( P = 0.247 ) 분만1기 시간( P = 0.873)의 효과의 차는 유의하지 않았다. 따라서 산부로 하여금 불안을 극복하고, 분만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긍정적인 분만경험이 되도록 지지하는데 있어서 접촉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the effects of therapeutic touch on state anxiety of primiparous women.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to October in 1984, at 2 hospitals in Seoul and 1 hospital in An-Yang. The primiparous women, consisting of 70 primiparous women, were divided equally into a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e tool for touch was the therapeutic touch. The tools for measurement were the testing protocol for state anxiety developed by Spilberger at. al, and the pulse rate, respiration rate and blood pressure. Hypotheses were examined by the X^(2), t-test and 2-Way ANOVA The result of the study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state anxiety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p=0.026). 2. The state anxiety scores of the primiparous women who were satisfied with their marriage life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one who were not satisfied (p=0.023). Differences in age, religion, education level and duration of the 1st stage of labor didn't affect on the state anxiety score. 3.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as noted in pulse rate (p=0.127), respiration rate (p=0.256), and systolic blood pressure (0.589). The diastolic blood pressur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p=0.007). 4. Diastolic blood pressure was significantly decreasing in the order of the colleage graduate and over, the middle school graduate, and the high school graduate (p=0.001). Differences in age, religion, degree of satisfaction at marriage life and duration of the 1st stage of labor didn't affect on the diastolic blood pressure. In conclusion, the therapeutic touch would be desirable for the primiparous women in supportive care during Labo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