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7 Download: 0

觀衆의 存在에 따른 不安水準이 運動遂行에 미치는 影響

Title
觀衆의 存在에 따른 不安水準이 運動遂行에 미치는 影響
Other Titles
(The) Effect on Sport Performance of State Anxiety Due to the Presence of Audience
Authors
金來廷
Issue Date
1986
Department/Major
대학원 체육학과
Keywords
관중존재불안수준운동수행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기웅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the presence of the audience to performer's anxiety level and to performance. Thirty junior high school students were tested with Spielberger's STAI(State-Trait Anxiety Inventory) form Ⅹ-Ⅱ. In order to identify a baseline measure of svbjects' normal trait anxiety level. A week Later, immediately before they performed electric mirror tracing task the level of state anxiety in the presence of audience was measured using Spielbergerts STAI Form Ⅹ-Ⅰ. Subjects' performance on the mirror tracing were recorded in terms of the number of errors and the time (in sec) to finish the tracing from the start. A T-test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te between the levels of normal trait anxiety and state anxiety in the presence of audience. In other words, compared to normal trait auxiety, state anxiety tended to increase when the audience was present. A One-Way ANOVA plus a post hoc Newman-Keuls' test on the performance scores as a function of three different levels of anxiety revealed that the medium anxiety group showed the highest performaace score, while both low and high anxiety groups showed poorer performance scores. These results, taken altogether, were interpreted to indicate that the presence of audience is a variable which is sufficient to increase the anxiety level : the relationship of audience induced anxtety to performance is better explained in terms of inverted-U hypothesis rather than in terms of the traditional interpretation based on drive theory.;이 硏究의 目的은 運動遂行에 영향을 미치는 環還境的 要因으로서 觀衆의 存在時 遂行者의 不安水準이 運動遂行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를 알아 보려는 것이다. 이러한 目的에 따라 觀衆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不安水準을 매개변인으로 하여 종속변인인 運動遂行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先行硏究 결과를 근거로 하여 1) 平常時의 特性不安(Trait Anxiety)과 비교하여 觀衆 存在時의 狀態不安(State Anxtiety)은 높아지며, 2) 狀態不安 水準에 따라 適正水準의 不安이 낮거나 너무 높은 不安에 비해 運動遂行 결과는 향상된다라는 假說을 설정하였다. 이러한 假說을 검증하기 위하여 이 硏究에서는 梨花女子大學校 附屬中學校 2學年 女學生 30名을 對象으로 Soielberger의 STAI(State-Trait Anxiety Inventory)를 이용하여 平常時의 特性不安을 측정하고, 1주일 후에 觀衆의 存在下에 電氣迷路追跡課題(Electric Mirror Tracing Task) 遂行직전에 狀態不安을 측정하였다. 각 狀態不安 수준별(高, 中, 低)로 迷路追跡課題 遂行時의 誤謬(Error)와 時間(Time)을 5회씩 기록하여 평균을 산출하였다. 特性不安과 狀態不安은 t-검증을 실시하고, 狀態不安 수준별 (高, 中, 低)로 迷路追跡課題 遂行時 誤謬와 時間의 각각을 一元變量分析(One-way ANOVA) 및 Newman-keuls 사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平常時의 特性不安과 觀衆의 存在時 狀態不安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平常時의 特性不安과 비교하여 觀衆의 存在時 狀態不安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또한 狀態不安 수준별(高, 中, 低)로 運動遂行과의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不安水準이 適正한 경우에는 運動遂行이 향상되었으며 狀態不安 水準이 낮거나 너무 높은 경우에는 運動遂行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서 觀衆의 存在는 遂行者의 不安水準을 향상시키며 이 不安水準 程度와 運動遂行과의 관계는 適正水準理論(Optimal level theory)의 豫言과 一致되고 있음이 밝혀졌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