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1 Download: 0

朝鮮時代 儒敎的 女性觀의 原理論的 考察

Title
朝鮮時代 儒敎的 女性觀의 原理論的 考察
Other Titles
(A) THEORETICAL STUDY ON CONFUCIAN VIEWS OF WOMAN IN THE YI DYNASTY
Authors
韓明淑
Issue Date
1986
Department/Major
대학원 여성학과
Keywords
조선시대유교여성관원리론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충석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fucian views of woman in the Yi Dynasty by means of theoretical analysis, which is a methodology to make clear the thoughts and the ideas of a certain period through the elucidation of the philosophical principles on which they are based. The results of the study, which has been done with such problem and methodology in mind, is as follows: (1) The ancient Confucian views of woman, which is the prototype of the Confucian views of woman, are to be summarized as 'Bu-Bu-Yu-Byul'(夫婦有別 : the differentiation of wife from husband), a moral principle which makes woman's subordination to man to be a kind of Cosmic Law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Yin-Yang (陰陽) in the " Book of Change"(「周易」) As far as the Yin-Yang principles in the Books of Change are concerned, the absolute seperation of Yin(陰) from Yang (陽) can never be justified, because the Yin-Yang theory is prinarily based on the logic of circultion and transformation. But such a logic was not thoroughly carried out in the Book of Change in its application of the Yin-Yang principles to the explanation of the social order. So the discriminate norms and regulations which had been formed in the process of the establishment of the patriachal system could find out their logical ground in the Yin-Yang principles in the Books of Change. (2) The views of woman of Ju-Ja Study(朱子學) in Song(宋) Dynasty are to be summarized as 'Soon-Jong)' (順從 : obedience) and 'Jeong-Juel'(貞節 : woman's faithfulness to husband). The 'Jeong-Juel' ideology of the Ju-Ja Study was so considerably strengthened keeping pace with the philosophical systematization of the Ju-Ja Study that 'Jeong-Juel' itself came to be metaphysically dogmatized. (3) As the logical consequence of his idea of 'Li-Gui-Ki-Chun'(理氣氣賤 : Li is noble; Ki is mean.), Twe-Ge's Ju-Ja Study(退溪朱子學), which had strengthened its subjectivist character by means of the absolutization of 'Li(理), could not but absolutize 'Bu-Bu-Yu-Byul', the discriminate view of woman. And Twe-Ge's vies of woman was so metaphysically hardened by his subjectivist moralism that is was transformed into the extreme 'Jeul-Lyul-Kwan'(節烈觀 : the view of woman from the standpoint of 'Jeul-Lyul', which is an extreme form of 'Jeong-Juel'(貞節)). But in the Yul-Gok's(栗谷) stage, a way to overcome on the philosophical level the absolutization of 'Bu-Bu-Yu-Byul' was opened by his idea of 'Ki-Bal-Li-Sung'(氣發理乘 : Ki goes ahead; Li rides.) (4) The settlement of 'Jeul-Lyul-Kwan' in our country, firstly having begun with the prohibitiob of 'Jae-Ga' (再嫁 : window's remarriage) by law in the 1st year of King Gon-Yang, the period when Sin-Heng-Sa-Dae-Bu(新興士大夫) class had actually grasped the political power, proceeded along with the foundation of Yi-Dynasty, and especially along with the spread of the custom of 'Su-Juel'(守節 : A wife's faithfulness to one's husband even after his death) on a national scale as a result of the legislation of 'Jae-Ga-Nyp-Ja-Son-Gum-Go-Buep' (再嫁女子孫禁錮法 : a law that prohilbits the offsprings of the remarried woman from applying for the government examinations to become a public serviceman) Since 16th century, 'Jeul-Lyul-Kwan' has become internalized into the lives of woman of Yi-Dynasty as the highest value as well as the best moral standard, which generally controlled the thinking and action of woman of those days. (5) The logic of 'Nam-Jon-Nyo-Bi'(男尊女卑 : man is noble; woman is mean.) in the Confucian views of woman should be attributed to the socio-structural need of the patriachal society rater than to the logical necessity of the Confucianism itself. It has thus been made clear from this study that the theoretical approach would not be sufficient for the elucidation of the Confucian views of woman in Yi Dynasty, but should be complemented by the analysis of the change of the social conditions of that period.;본 연구는 조선시대 유교적 여성관을 원리론적으로 고찰하려는 것이다. 원리론적 고찰이란 어느 시대의 사상이나 관념을 그것이 기초하고 있는 철학적 원리의 해명을 통해서 밝히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과 방법을 가지고, 조선시대 유교적 여성관을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교적 여성관의 원형인 고대유교의 여성관은 五倫의 부부유별관으로 집약되는 바, 이것은 「주역」의 음양사상에 의해 남성에 대한 여성의 順從의 원리를 天理化 한 것이다. 원래 「주역」의 陰陽사상은 순환과 변통의 논리 위에 서 있으므로 음과 양의 절대적 분리와 고정화는 원리적으로 부정되는 것이다. 그러나 「주역」 그 자체가 가부장제가 이미 확립된 시대의 저술이었던 만큼 인간사회 질서를 논하는 데 있어서는 그러한 순환과 변통의 논리가 철저히 관철되지 못하였다. 그리하여 가부장제의 확립과정에 병행하여 형성된 남존여비적 제규범들은 여성의 순종과 종속성을 天道로 합리화할 수 있는 근거를 「주역」의 음양 사상에서 찾아내었던 것이다. (2) 송대 주자학의 여성관은 <順從>과 <貞節>로 요약되는데, 주자학 단계의 貞節觀은 <理>에 입각한 주자학의 철학적 체계화에 병행하여 현저히 강화되어 여성의 정절 그 자체가 형이상학적으로 절대화하였다. (3) <理>를 절대화시킴으로써 主觀主義的 성격을 강하게 띈 퇴계 주자학은 <理貴氣賤>의 논리적 귀결로서 夫婦有別이라는 차별적 여성관을 절대화할 수 밖에 없었으며, 그의 주관주의적 도덕주의에 의해 유교적 여성관은 형이상학적으로 경직화되어 극단적인 節烈觀으로 변모해갔다. 그러나 율곡에 이르러 <氣發理乘에>論에 의해 퇴계의 理貴氣賤의 논리가 극복됨으로써 부부유별관의 고정화·절대화가 원리적으로 극복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리게 되었다. (4) 朝鮮時代 유교적 女性觀은 夫婦有別觀과 節烈觀이다. 조선중기 이후에는 조선시대 여성관의 특질은 節烈觀으로 나타나고 夫婦有別觀은 절열관을 보완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것은 가부장제 성립에 따른 부계혈통의 순수성 보장을 위한 여성의 貞節 요구에 있었다. 우리나라에 있어서 절열관 정착은 고려말 신흥사대부계층이 실질적인 집권세력으로 등장한 공양왕 원년에 再家에 대한 법적 제제를 시도한 데서 시작되어 조선 왕조의 건국과 함께 진척되었고, 15세기 성종 8년 <再嫁女子孫禁錮法>의 입법화와 그 시행, 포상과 烈女門 등의 적극적인 국가시책에 의해 守節의 풍습이 전국적으로 확산되면서 이뤄졌다. 16세기 이후에는 절열관은 모든 계층 여성들의 사고와 행동을 보편적으로 규제하는 최고최선의 도덕 규범이자 가치관으르 조선시대 여성들의 삶 속에 깊이 내면화 되었다. (5) 유교적 여성관의 남존여비적 논리는 유교사장 그 자체의 논리적 필연성에 연유한다기 보다는, 가부장제 사회의 사회구조적 요구에 기인한다고 보아야 하며, 따라서 조선시대 유교적 여성관의 해명은 원리론적 고찰만으로는 불충분하고, 조선시대의 사회적 제조건의 변화와의 관련속에서 보다 명확히 해명된다고 하는 점이 본 연구에 의해서 밝혀졌다고 하겠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