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혜순-
dc.contributor.author金美貞-
dc.creator金美貞-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35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35Z-
dc.date.issued198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452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671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4522-
dc.description.abstract藝術相互間의 關係에 대한 論議와 硏究는 실로 오래전부터 있어 왔으며, 現代와 같이 學問과 藝術이 高度로 專門化, 微分化되어 고립상태에까지 이른 상황에서는 이들간의 理解를 도모하기 위한 結合과 相互硏究(interdisciplinary study)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 속에서 19세기 후반부터 北較文學 內에서 구체화되었던 藝術의 相互照明 理論은 根本的으로 同類라 여겨지는 여러 藝術活動들을 文學과 관련지어 硏究함으로써 많은 성과를 얻고 있으며, 현재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本稿는 우리의 文學과 繪畵가 詩書畵 一致 等의 東洋的 合一思想에 의하여 자연스러운 조화를 이루면서 표출되었던 傳統社會의 한 文人을 중심으로, 우리 文學과 繪畵의 相互照明을 시도하였다. 本稿는 이러한 方法의 試圖的 作業으로 출발하였기 때문에 比較文學에서의 '文學과 藝術의 相互照明 理論'을 소개하는 것에서부터, 18세기 '文人―畵家' '豹菴 姜世晃(1713-1791)의 구체적인 경우를 통해 그 理論을 확인하는 순서로 전개되어 진다. 구체적인 側를 통한 확인작업을 위해서 이 分野의 硏究에서 자주 거론될 '文人畵家' '三絶'이라는 用語를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用語가 가지고 있는 間題點을 밝히고 意味를 재정립하였으며, 특히 '三絶'이라는 槪念이 일상적인 차원에서 취급되어 왔던 것을 감안, 학문적인 接近이 가능하도록 文人畵의 表現的, 道具的 特質을 중심으로 분석, 체계화 하였다. 豹菴의 詩世界를 繪畵를 通해 접근한 것은 本稿의 가장 중심을 이루는 시도이다. 이 부분에서는 文學作品, 특히 題畵詩의 理解에 있어서 繪畵와의 對比를 통한 방법이 詩의 創作過程을 명확히 볼 수 있고, 그 解釋過程에 있어서 보다 깊은 理解와 鑑賞을 가능케 함을 알아냈다. 이러한 作業은, 우리 傳統社會의 예술의 綜合的인 형태를 지향하였고 대부분의 文人들이 詩, 書, 畵에 고루 능했기 때문에 本稿의 方法이 적용될 資料들이 풍부한데, 그 資料들이 앞으로 활발히 연구되어질 수 있게 기초를 형성한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니는 것이다. 이러한 相互照明 方法이 각 예술간의 공통된 藝術史를 집필하게 하여 이들의 총체적인 이해를 통한 시대정신의 把握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도 이와같은 方法이 가져오는 長點 중의 하나이다. 이는 곧 文學과 藝術을 보다 명확히 이해할 수 있는 길을 제시하는 것이다. 특히 詩를 通해서 추출해 본 豹菴의 藝術論은 詩, 書, 畵 一致思想으로 귀착되었다. 詩의 繪畵的 接近에서는 그의 題畵詩를 평소에 그가 즐겨 그렸던 眞景山水畵, 思念山水畵, 花卉圖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여기에서는 豹菴의 近代的 묘사정신, 文氣 등이 詩에서 어떻게 형상화 되고 있는가를 볼 수 있었다. 끝으로 豹菴의 藝術이 申緯, 金正喜의 文人畵風과 金弘道의 風俗畵風 모두에 脈을 이루면서 영향을 주고 있음을 그의 文集과 다른 資料들을 通해서 밝히고, 이 두 조류 모두 그 源泉을 더듬어 갈 때 豹菴의 藝術을 다루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말하였다. 그의 藝術史的 位置를 위와같은 과정을 통해 제시하고, 정립시켜 본 셈이며, 申緯, 金正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豹菴의 文學도 이제는 繪畵와 더불어 본격적으로 연구되어야 한다는 것을 本 論文을 通해서 제안하였다. 특히 '文人―畵家'들의 연구를 통해 文學과 繪畵史에 기여할 총체적인 藝術史의 집필이 가능해질 것인 바, 이는 지금까지 각 분야에서 독립적으로 집필되었던 藝術史들이 時代區分 등 재고해야 할 많은 문제점을 안고있는 現實에 있어서 상당히 고무적인 것이다.;For many years, people have discussed and studied about the interrelationship of the arts. In today's situation of extreme specialization and subdivision of the sciences and arts, interdisciplinary study is urgently needed for their mutual understanding. In this atmosphere, this essay tries to address an illumination of Korean literature and painting focused on a literary painter' (munin-whaga:文人-畵家:) who lived in Korean traditional society in which literature and painting were harmonized by the oriental Unification Spirit (文一.思想) such as "a poem, calligraphy, painting form one body (詩,畵,畵 一體)."This essay is a forerunner of this kind of method in Korea. So this thesis is composed of from an introduction of the theory of interdisciplinary study between literature and the arts to application of that theory to the case of 18th century artist Pyoam (豹菴 : penname) Kang, Se-Whang (姜世晃). First , for this essay, some terms which appear often in this field of Korean ( 'literary painter' (文人畵家) and a person able to deal in three kinds of arts: poetry, calligraphy, painting ' (Samjol:三絶)'need to be explained because they have some problematic meaning and usage. Escpeially ' Samjol ' has been accepted i n Korea as common usage but this essay tries to analyze and systematize the characteristics of this ward including in a scientific level. In orieutal traditional society ,'Samjol' appears often compared with western society where there are rare examples of double talent such as Michelangelo the poet and sculptor. Upon examination, the explanation for this lies in the abstract expressionism and usage of the oriental brush. Naturally the abstract expression of oriental painting needed poetry to explain the meaning of the abstractly-formed painting. Also using the oriental brush, the artist can draw and write a poem in calligraphy at the same time. This essay ' s essential purpose is to approach Pyoam (豹菴)' s poetry through painting. In the study of Pyoam's artistic view through his poetry ' his view that 'a poem, calligraphy , painting form one body (詩,畵, 畵一體) ' is confirmed, and pursues the harmony of these three arts . He drew from the real landscapes of Korea (Chingyong Sansu: 眞景山水) and from formed idealistic landscapes (思念山水) , and flowers (花卉). So his poems which he added to his paintings were divided into three kinds, and examined through those paintings ' characteristics . In this examination , it was noteworthy that poetry accompanined by oriental painting could be understood through the painting . This method presents the process of creation more clearly and brings deeper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of the process of interpretation of the poems. This method is especially meaningful in Korean traditional literature and arts which center on synthetic formulization and use extensively the literary man's use of "poetry-calligraphy-painting." Finally , Pyoam (豹菴) ‘s art and artistic spirit succeeded to Shin, ' wi (申緯) and Kim, Jung-Hee (金正喜) who were the most important Korean noble literary painters . Similarly , Pyoam was in very close contact with Kim, Hong-do (金弘道) who was a professional painter from the middle class and drew various aspects of the common occurences of life in the 18th century. In conclusion, Pyoam's art is connected to both these subjects which seem in such contrast. So, it is necessary to study Pyoam's art if one wants to search for the source of Korean literary drawings or drawings of common people' s daily life. This may explain Pyoam's position in Korean Art History. the cases of Shin, Wi and Kim, Jung-Hee, their literature examined through a literary perspective as well as an artistic one, but in Pyoam's case, only his painting is studied. So, through this essay, his literature is dealt with from a literary standpoint. The observation of a group of ' literary painters' including Pyoam will make general Korean Art History possible. It is very to view helpful for Korean Art History which has many problems different perspectives of each ar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論文槪要 = ⅴ Ⅰ. 序論 = 1 A. 間題의 提起 = 1 B. 硏究의 方法과 對象, 間題點 = 4 Ⅱ. 文學과 藝術의 相互照明 理論 = 10 A. 理論的 根據 = 10 B. 東洋의 詩·畵 一致論 = 20 Ⅲ. 繪畵를 通해 본 豹菴 姜世晃의 詩世界 = 43 A. 藝術史的 背景 = 43 B. 詩에 나타난 藝術論 = 54 C. 詩의 繪畵的 接近 = 71 Ⅳ. 豹菴 姜世晃의 藝術史的 位置 = 96 Ⅴ. 結論 = 104 參考文獻 = 109 圖版 = 116 ABSTRACT = 11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47184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표암-
dc.subject강세황-
dc.subject-
dc.subject회화-
dc.title豹菴 姜世晃 詩의 繪畵的 接近-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文學과 繪畵의 相互照明 試考-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Mutual Illumination of Kang, Se-Whang's and Painting-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198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