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5 Download: 0

母子 同室同居가 産母의 新生兒에 대한 愛着行爲에 미치는 影響

Title
母子 同室同居가 産母의 新生兒에 대한 愛着行爲에 미치는 影響
Other Titles
(THE) EFFECTS OF ROOMING-IN ON MATERNAL ATTACHMENT BEHAVIORS TO NEWBORNS
Authors
손복희
Issue Date
1983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학과
Keywords
모자동실동거산모신생아애착행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광자
Abstract
건강한 모아(母兒)관계는 출생과 더불어 자동적으로 발생되는 것이 아니며, 분만직후 산욕기가 모아관계를 형성하는데 영향을 많이 미치는 시기로, 이 때에 모아사이의 상호작용의 정도가 후에 모성의 애착과 아동의 성장발달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가 많은 학자들의 관심이 되어왔다. (Cropley 1976: Ludington-Hoe 1977; Tulman 1981; Curry 1978). 본 연구는 모자동실동거가 일반산과병동에 비하여 산모의 신생아에 대한 애착행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1983년 8월30일부터 동년 10월3일사이에 1개의 종합병원과 2개의 개인병원에서 정상분만한 산모 117명을 대상으로 하였는데, 대조군은 전통적인 병원제도로 인하여 분만직후 신생아를 산모와 격리하여 신생아실에 있게하며, 수유실에서 모아를 의도적으로 접촉시킨 54명이었으며, 실험군은 분만직후 신생아를 산모와 함께 있게 하여서 산모와 신생아가 항상 접촉할 수 있고 돌 볼수 있도록 한 63명이었다. 연구방법은 Cropley외 2인의 M.A.T. (Maternal Attachment Tool)을 이용하여 관찰하고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 (Statistical Analysis System)을 사용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신생아의 특성을 확인하는 행동 (Identifying behaviors)에서는 외모와 기능, 상태의 평가에 대해 전체적으로 실험군에서 산모의 신생아에 대한 애착행위가 높았다. (p = 0.0089). 2. 산모가 신생아를 표현하는 산모의 행동 (Locating behaviors)에서는 실험군에서 신생아에 대한 산모의 애착행위가 높았다. (p =0.0001). 3. 산모와 신생아의 상호작용양상 (Modalities of interaction)은 언어적 접촉에서 대조군이 높았고(p = 0.0167), 시각적 접촉에서는 실험군이 유의한 차이로 높았으나(p = 0.0137), 전체적으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 3413). 4. 산모가 신생아를 돌보는 행동 (caretaking behaviors)에서는 참여정도와 퇴원후 계획에 대해 전체적으로 실험군에서 산모의 신생아에 대한 애착행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 = 0.0001). 요약하면 모자동실동거에 있는 산모들이 일반산과병동에서 신생아와 분리되어 있는 산모보다 신생아에 대한 애착행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 = 0.0001).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제언하자면 모자동실동거가 산모의 신생아에 대한 애착행위에 미치는 영향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므로 그 중요성을 재 인식할 필요가 있다고 사려된다. 본 연구결과가 앞으로 병원 행정가나 보건전문직요원들에 의해 재평가, 재인식되어지므로써 현 우리나라 임상에서도 이 모자동실동거제도가 고려되어져야 한다고 생각된다.;A sound mother-infant relationship is not automatically created at birth. It has been of great interest in at ademic circles that some studies show that the postpart m period is the most crucial in that the degree of interaction allowed between mother and infant has a later correlational influence on the maternal attachment and child growth and development. Data was collected for this study from Aug. 30, 1983 to Oct. 3. 1983. at separating-rooms of 54 normal delivery mothers and at rooming-ins of 63 mot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and describe the influence made on maternal attachment by maternal contact and touch at the rooming in and the traditional maternity wards. The tool used to observe and compare for this study in M.A.T.(.Maternal Attachment Tool) developed by Cropley and two others and S.A.S. was used to analyse the data.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maternal attachment to newborn was significantly high to the rooming-in mothers as a whole who made identifying behaviors of newborns' appearance and function and appraisal of infants' condition. (p=0.0089) 2. The maternal attachment to newborns was significantly high to the rooming-in-mothers who made locating behaviors.(p=0.0001) 3. With regard to modalities of interaction between mothers and newborns, the significant difference on verbal contact was high in the separating room, whereas the significant difference on visual contact was high in the roomingin, but as a who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p=0.3413) 4. The maternal attachment to newborns was significantly high to the rooming-in-mothers as a whole who made caretaking behaviors, participation in care, and planning home care. ( p=0.0001) In conclusion, it has been observed that the maternal attachment to newborns of the rooming-in-mother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separating-room-mothers of general maternity wards. Since the rooming-in system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bearing and a strong influence upon the maternal attachment to newborns, it is suggested that its importance has to be reacknowledged. Thus it is suggested again that this rooming system has to be considered for adoption in Korean maternity wards by hospital administrators and pulbic health practitioners, who are urged to reevaluate and reappreciate recent finding such as result of this stud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