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동원-
dc.contributor.author朴春湖-
dc.creator朴春湖-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19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19Z-
dc.date.issued1983-
dc.identifier.otherOAK-00000001433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665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4331-
dc.description.abstract한국은 해방과 더불어 서구식 민주주의를 도입한 이래 40년이 가까워오지만 아직까지도 민주정치는 성숙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정치적인 제도와 政治文化와의 불일치로 인하여 발생하는 문제 때문으로도 여겨질 수 있다. 즉 법적, 제도적 측면은 민주적이라고 할 수 있는데 반해 政治文化는 民主政治文化가 지배적이라고 말할 수 없는 실정이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한국의 정치제도를 정치문화 현실에 맞도록 한다고 해서 민주제도의 기본적인 틀까지 무너뜨릴 수는 없는 것이다. 더우기 북한 공산 집단과 대치하고 있는 한국의 현실로는 민주주의는 가장 강조되어야 할 중요할 정치적 이념인 것이다. 그러므로 민주주의는 가장 강조되어야 할 중요한 정치적 이념인 것이다. 그러므로 민주주의의 토착화는 이루워져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현 시점에서는 政治文化의 민주화가 중요한 문제로 대두 될수 있다. 이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목적의 첫째는 청소년들이 어느정도 민주정치문화를 형성하고 있는 가를 알아 보는 것이다. 또한 政治文化는 政治定向으로 표현 될 수 있으므로 民主政治定向을 이 연구의 중요한 종속 변수로 定하였다. 특히 이번에는 연구 대상을 청소년 층으로 제한 시켰다. 그 이유는 한국의 청소년들은 한국적 상황에서 문화적 갈등을 내포하고 있는 집단이라고 생각하며, 연령적으로 그들은 자기 자신을 성인으로서의 정치적 자아의 주요 성분을 습득하고 발전해 나가는 중요한 시기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들의 政治定向을 고찰함은 미래의 한국 정치문화를 예측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의 또다른 목적은 청소년들의 政治定向은 어떠한 과정을 통해서 이루워 지며 무엇으로 인하여 좀더 민주적으로 형성될 수 있는가를 밝혀 보는데 있다. 개인의 정치적 행동은 정치 행위자의 외적 상황과 정치사회화과정으로 습득된 政治定向에 따라서 정해진다. 그러므로 이들 定向의 본질과 그들이 습득 되어진 정치사회화 과정은 결정적인 관계에 있다. 따라서 정치사회화의 여러 요인에 따른 청소년들의 民主政治定向은 차이가 나게 될 것이라는 가설이 성립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가설을 입증하기 위하여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병행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서는 政治文化, 政治社會化, 政治定向에 대한 개념 설정과 이미 연구원 이론을 종합하여 이들의 관계를 알아 본다. 또한 민주정치정향에 대한 이론적으로 의미와 조건 등을 규정지었다. 이러한 이론적인 면을 배경으로하여 실제 한국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조사 분석함으로서 경험적인 연구에 의한 자료를 얻었다. 그 결과틀 보면, 한국의 청소년들은 과거에 비하여 상당히 성장될 民主政治定向을 나타내고 있었다. 더우기 政治社會化의 여러 요인에 따라서 차이가 나며 구체적으로 보면 다음과 같다. 정치적 관심도에서는 학년이 높고, 부모의 교육정도가 높을수록 관심도가 높았다. 민주주의 정부형태 멸망도는 성별, 아버지의 직업, 부모의 교육정도에 따라서 차이가 났다. 국가 귀속감은 상당히 부정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었다. 특히 부모의 교육정도가 높은 자녀들이 더욱 낮은 귀속감을 보였다. 政治的 참여는 학년이 높고, 부모의 교육정도가 높을수록 적극적이었다. 참여에 대한 효능감은 학년이 높을수록 긍정적인 태도를 나타냈다. 민주적인 가치관은 학년이나 가정적 배경보다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확실했다. 즉 여학생의 경우가 보다 더 민주적인 가치관을 갖고 있었다. 이와같은 결과는 민주정치정향이 政治社會化 요인에 따라서 영향을 받고 있음을 보여준다. 다시 말해서 政治社會化 과정이 민주적으로 이루워 질 때 민주정치문화는 형성될 수 있다고 할 수 있겠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정치사회화 요인과 정치교육과의 연관성·문제까지는 다루지 못하였다. 추후 이에대한 폭넓은 연구가 있기를 기대한다.;It is now nearly 40 years since Western democracy was adopted to Korea with the end of world war 2 and the Emancip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1945, but Korean democratic political development is not matured yet. This is why discordance between political culture and political system exists; democratic political culture does not become indigenous to Korean political situations, though democratic system is adopted legally and institutionally. But for the sake of accordance between Korean political system and political culture, basic pattern of democratic system cannot be removed. Moreover democracy is the ideology what should be mostly emphasized, Korean being concerned with the morth Korean communists' threat. Therefore by all means indigenous democracy must be accomplished and as times go democratization of Korean political culture is most important issue. For this sake's democratic civil consciousness should be built up first of all. Aiming at the above-mentioned, how much democratic political culture of the younger generation has formed is the first object of this survey. Political culture coming out as political orientation, democratic political orientation is the important subordinate variable of this study, Korean younger generation can be classified as the group which involves political culture confistications because they learn typical culture from their parents and elder generation and modern western democracy from school, comrades, and mass communications at the same time. So the second object is what Korean political culture will be in the future through the survey of Korean younger generation's democratic political orientation. And the third aim of this study is through what course younger generation's democratic political orientation has formed and what makes one's democratic political orientation different from another. Of course, political education is the most important element of the cultivating methods of the democratic civil consciousness. But only political education on the basis of political socialization can get the most of it. Individual political behavior pattern depends upon his external environment and political orientation leant by political socialization. So these substance of political orientation and political socialization progress through. which one's political orientation has formed are relations between cause- and effect. Consequently the hypothes is that youths' political orientation against each political socialization agency may be different is established. This hypothesis would be verified and inspected theoretically and experimentally. That is: After setting up the concepts about political culture, political socialization and political orientation and relations between them theoretically, research surrey of which object is to get the related material about Korean youth would be followed positvely. The result is Korean younger generation's democratic political orientation has grown up much more than before. But according to the individual political socialization agencies political orientation shows differently. Details are: Political interest; the more grade and parents' educated level are high, the more political interest is high. Wishes for democratic government; sex, parents' job and parents' educated level are main effected elements. Affection to the country; generally negative. Especially less affection of high group of parents' educated level. Political participation; the more grade and parents' educated level are high, the more political a participation is high. Political efficacy of participation; the more grade high, the more political efficacy high. Democratic value; sex is crucial, female has high valu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論文槪要 = ⅵ Ⅰ. 序說 = 1 A. 問題의 提起 = 1 B. 硏究의 目的 및 範圍 = 3 C. 연구 방법 = 6 Ⅱ. 民主政治定向의 이론적 배경 = 13 A. 政治社會化, 政治文化, 政治定向의 개념 정의 = 13 B. 政治社會化, 政治文化, 政治定向의 관계 = 16 C. 민주적인 정치정향 = 18 Ⅲ. 자료분석 및 평가 = 22 A. 民主的 認知 政治定向 = 22 B. 民主的 價値 政沿定向 = 36 C. 民主的 態度 政治定向 = 42 D. 民主政治定向의 相關關係와 變數間의 相關關係 = 51 Ⅳ. 결론 = 54 참고문헌 = 57 부록 = 60 ABSTRACT = 6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46470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한국청소년-
dc.subject민주정치정향-
dc.subject교육학-
dc.subject정치사회-
dc.title한국청소년의 民主政治定向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서울市 中·高等 학생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democratic political orientation of Korean younger generation-
dc.format.pagevii, 6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민윤리교육전공-
dc.date.awarded1983.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도덕·윤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