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5 Download: 0

현대불어에 있어서의 의문문 연구

Title
현대불어에 있어서의 의문문 연구
Authors
김은숙
Issue Date
1983
Department/Major
대학원 불어불문학과
Keywords
현대불어의문문정신역학이론불어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황경자
Abstract
우리가 이제껏 알고 있었던 전통문법에서는, 본 논문이 다루려는 의문문의 의미효과 분석을 뒷받침해 줄 수 있는 체계적인 이론이 서있지 않았기 때문에, Guillaume의 정선역학이론을 의문문에 적용시킨 Moignet의 분석결과를 도입하게 되었다. Guillaume의 정신역학이론이란, 연속적인 사고의 흐름을 제한시켜 proce`s의 범위를 정한 다음 discours로 넘어오는 과정에서 우리 의식의 어느 지점에서 그 흐름을 포착하느냐에 따라 의미효과는 달라진다는 것이다. Moignet는 이 정신역학이론을 의문문에 적용시켜 의문문이 지니고있는 의미효과를 분석했는데, 조기포착시의 확인요구, 동의요구, 거부, 중기포착시의 정보요구, 가정, 심사숙고, 명령, 후기포착시의 수사의문등이 그것이다. 이상의 이론을 바탕으로 「 Les Justes」와 「Les Mouches」에 나오는 의문문을 분석해 본 결과 정보요구의 의문문이 압도적으로 많았고, 다음으로 확인요구, 동의요구, 수사의문도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또 textes의 의문문을 살펴본 결과 두 작품 모두 억양위주의 간결한 표현을 주로 사용했음을 알 수 있었는데, 이상의 사실들은 두 작품이 모두 20세기 구어체가 지니는 표현의 간결성을 추구했고, 이런 간결한 문체로 대사의 진행 속도를 빠르게 하며 작품에 활기를 불어넣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공통점을 갖고 있었다. 반면 의미효과면에서는 거부, 명령, 수사 의문같은 것들이 「Les Justes」에 비해 「Les Mouches」에 폭넓게 사용되어, 「Les Mouches」의 의문문이 보다 풍부한 의미효과를 지니고 쓰여졌다는 차이점도 볼 수 있다.;Pour examiner les divers effets de sens de la phrase interrogative, nous croyons utile d'introduire la the´orie de psycho-syste´matique de Guillaume, la grammaire traditionnelle ne nous permettant pas l'analyse dans ce domaine. La the´orie de psycho-syste´matique est une e´tude des oupes par lesquelles la pense´e de´limite en elle-me^me, au sein de som activite´, certains grands proce´s, et recoupe ensuite intercedptivement ces proce`s, par le moyen de nouvelles coupes transversales qui, selon qu'elles sont pre´coces ou tardives dans le mouvement qu'elles attaquent, confe`rent au signe repre´sentatif du mouvement unt valeur differente. Moignet a applique´ cette the´orie a` la phrase interrogative et de´gage´ ainsi les diffe´rents effets de sens: demande de confirmation, appel a` l'approbation, refus par la saisie pre´coce, appel a` l'information, hypothe`se, de´libe´ration, commandement par la saisie moyenne et l'interrogation rhe´torique par la saisie tardive. L'analyse de ces effets de sens de la phrase interrogative a` travers 「Les Justes」 et 「Les Mouehes」 fait l'objet de notre etude. D'apre`s notre e´tude, le recours a` l'appel d'information, a` la demande de confirmation, a` l'appel a` l'approbation et a` l'interrogation rhe´torique se re´ve`le relativement fre´quent, l'appel a` l'information venant, bien su^r, en te^te de la liste. Quand a` la forme de la phrase interrogative, nous remarquons la tendance a` une forme simple, de pre´fe´ence intonative, la brie`vete´ de l'expression permettant de faire avancer le dialogue tre`s rapidement. Cette caracte´ristique est commune a` nos deux textes. Ils divergent en ce que les phrases interrogatives montrent, dans 「Les Mouches」, une gamme plus riche d'effets de sens que dans 「Les Just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불어불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