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7 Download: 0

전화 담화 분석을 통한 맞장구 고찰

Title
전화 담화 분석을 통한 맞장구 고찰
Other Titles
A Study on Back-channels through Analysis of Telephone Discourse : Between Korean Native Speakers and Japanese-speaking Learners of Advaced Korean
Authors
노희진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해영
Abstract
When a listener does not show reactions with back-channels in conversation, speaker might believe that he or she does not agree to speaker's opinion or listener is reluctant to listen. Moreover, a problem may occur for progress of conversation because speaker cannot make sure whether listener accepts the talks or not. Therefore back-channels used in conversation mean they cooperate with utterance of speaker for fluent progress of conversation and play an important role in order to keep the good relationship between speaker and listener. This study intends to exam the aspects of back-channels in the telephone discourse used by both Japanese-speaking learners of advanced Korean and Korean native speaker, and compare the differences of usage of back-channels between the two groups. Learners of Korean aim to acquire the same communicative competence as Korean native speakers. A more intricate look at how Korean native speakers and learners use back-channels in telephone discourse may provide new insight into improving Korean language learning. This study looks to expand on this effort and prove that new considerations should be made to include the study of back-channels into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layout and contents of this paper is as follows: In Chapter I,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is study are explained. Recently, Korean education aims to enhance communicative competence. Therefore, study of discourse analysis and communication strategy has been carried out to meet those aims. However, most of studies are concerned with the speech act of “Speakers.”It is difficult to find a study of “actual” analyzing discourse because there so few studies about the speech-act of “Listeners.” Thus, this study shows the necessity of analyzing speech-act of “Listeners” as well as speech-act of “Speakers”. In Chapter Ⅱ, the confines and definition of back-channels are explained. In addition, the analysis form of back-channels is also examined. In Chapter Ⅲ, the object and procedures of this study are explained in detail. Moreover, in order to analyze back-channels in telephone discourse, the analysis form of back-channels is classified into six types. The analysis form based on previous studies is divided into the following function: Listener's reaction toward the utterance of the speaker: Simple reaction, Agreement, Emotion, and direct or indirect influence toward the discourse: Confirmation, Guidance, Completion. In Chapter Ⅳ, the total frequency in use of back-channels of native speakers and learners are checked and accessed. The patterns of use on each function of back-channels are analyzed as well. The characteristics between the two groups in use of back-channels are also summarized. Firstly, Japanese learners use back-channels more per minute than Korean native speakers do. Secondly, in cases where a Korean native speaker does not know a Japanese learner well, they are less likely to use back-channels when compared to Japanese learners in the same situation. When both the Japanese learners and Korean native speakers have good relationships, the frequency of using back-channels are almost equal. On the contrary, in cases where they don't know each other,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frequency of using back-channels. Thirdly, the result of analyzing frequency according to a function about back-channels between Korean native speakers and Japanese learners there are no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orders of back-channels used by Korean native speakers and Japanese learners. As the research shows, difference of frequency of using back-channels in a group of Korean native is much bigger than group of Japanese learners. On the occasion of using back-channels, Korean native speakers more likely to be influenced by relationships than Japanese learners. Finally, the result of analyzing the kinds of back-channels, Korean native speakers use various kinds of back-channels more than learners do. Therefore, the result supports the necessity of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about back-channels. In Chapter Ⅴ, consists of a summarized result of analyzing the study and explaining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 of this study.;의사소통 시에 상대방이 맞장구로 반응을 보이지 않을 경우, 화자는 상대방이 자신의 의견에 동의하고 있지 않다고 느끼거나, 이야기를 듣기 싫어한다고 느낄 수 있으며, 이야기를 이해하고 있는 것인지 확인할 수가 없기 때문에 대화 진행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즉 의사소통 시에 나타나는 맞장구는 대화의 부드러운 진행을 위해 화자의 발화에 협력하는 것을 뜻하며 상대방과 우호적 관계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맞장구를 대상으로 전화 담화에서의 한국어 모어화자와 일본어권 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맞장구의 사용양상을 살피고, 두 집단 간의 차이점과 집단 내 차이점을 비교하여 기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어 모어화자 수준과 유사한 수준의 담화 능력을 목표로 하는 일본어권 고급 한국어 학습자들이 전화 담화에서 어떠한 기능의 맞장구를 어떻게 사용하고 있으며, 어떤 점이 모어화자에 비해 부족한지에 대해 살펴본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앞으로 한국어 교육에서의 맞장구 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재검토하는 기회가 될 것이며, 실제 교육 현장에서의 교수·학습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구성과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설명하고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최근의 한국어 교육은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의 신장을 교육 목표로 삼고 있으며, 이를 위해 한국어 학습자의 담화 분석 연구 및 의사소통 전략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가 화자의 언어행동에 대한 것이며, 청자의 언어행동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거나 실제 담화를 분석한 연구를 찾아보기 어려움을 지적하면서 본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Ⅱ장에서는 맞장구의 정의와 범위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며,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이 되는 맞장구의 유형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본 연구의 실험 대상과 실험 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고, 전화 담화에서 나타나는 맞장구를 분석하기 위하여 맞장구의 유형을 총 6가지로 분류하였다.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재구성한 분석틀은 화자의 발화 내용에 대하여 단순히 청자의 반응을 나타내는 단순 반응하기, 동의하기, 감정 표현하기와 담화의 전개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내용 확인하기, 발화 유도하기, 발화 완결하기로 나누었다. Ⅳ장에서는 한국어 모어화자와 일본어권 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전체적인 맞장구의 사용빈도를 살펴보고, 맞장구의 기능별 사용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두 집단의 맞장구 사용에서 드러난 특징을 정리하여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맞장구의 사용빈도를 분석한 결과 학습자가 모어화자보다 분당 사용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두 집단의 맞장구 사용빈도를 친소관계에 따라 집단 내 비교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어화자는 친분이 없을 때에 친분이 있을 때보다 사용빈도가 낮게 나타난 반면, 학습자는 친분이 없을 때에 친분이 있을 때보다 사용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집단 간 비교분석을 실시한 결과 친분이 있는 경우의 모어화자와 학습자의 빈도차보다 친분이 없는 경우의 빈도차가 더 크게 나타났다. 셋째, 맞장구의 기능별 사용빈도를 살펴본 결과 실현순위에 큰 차이는 없었으나, 모어화자 집단이 학습자 집단보다 친소관계에 따른 맞장구 사용 빈도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 맞장구를 사용하는 데 있어서 모어화자가 학습자보다 친소관계에 따른 영향이 크게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맞장구 표현 형식의 다양성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학습자가 모어화자에 비해 맞장구를 다양하게 구사하고 있지 못한 것으로 나타나, 한국어에서 사용하는 맞장구에 대한 교수·학습의 필요성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Ⅴ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고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