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4 Download: 0

한국 여성 농업노동자계급에 관한 일연구

Title
한국 여성 농업노동자계급에 관한 일연구
Other Titles
Study on woman agricultural labor class in Korea
Authors
강남식
Issue Date
1985
Department/Major
대학원 여성학과
Keywords
농업 노동자계급여성노동자한국여성여성노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趙玉羅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xistence of a women agricultural labor class in Korea and the patterns of its existence, The study attempts to explain production activities, life patterns of agricultural women laborers, and to illustrate where and how they exist in the context of the whole social structure. Through participatory observations and in-depth interviews, three typical rural villages located in Sepkyo-eup, Yesan-kun, ChungChung-namdo were selected for the study. These were typical/self-sufficient rural villages whose main product is rice with some small-scaled orchards and commercial farming. This paper is composed of 5 chapters in which the frame and purpose of the study, and problems and limitations are presented in the first chapter. In the second chapter, the formation process and identification of Korean agricultural women workers are explained in rela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agricultural laborer and the dissolution of the farming population. The third chapter deals with the analysis and descriptions of actual conditions of the three target villeges together with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urvey method. The research data are presented in the fourth chapter as follows: 1) socio-economic background of the women agricultural labor; 2) analysis of the economic activities and attitudes towards their activities; 3) life patterns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ir income, patterns of consumption, debts, illnesses and future outlooks. In the fifth chapter, conclusion and limitations of this thesis is evaluating.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since the 1960's, in the dissolution process of the farming population, the agricultural labor class was formed. As a result of this general phenomenon in the rural areas -- migration to urban areas -- a vast majority of the labor force in rural areas comprised of women and the aged. In the same token, the main portion of agricultural labor class is also composed of women laborers. It is found through this study that agricultural women laborers have more opportunities than their male counterparts to be employed for agricultural work. Although the women workers' income is larger than that of the men laborers, it should be kep in mind that the agricultural laborers' wage is still the lowest among the entire economic sector. The poverty of the agricultural women laborers threatens even their right of existence. Therefore, execution of relevant counter measures are required for this serious situation.;본 논문의 목적은 여성 농업노동자계급의 존재유무와 그 존재양식을 파악하려는 데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여성 농업노동자계급의 생산활동 및 생활양식을 통해 전체사회 구조 내에서 그들이 어떠한 위치에 어떻게 존재하는가를 보여준다. 본 논문은 문헌과 참여관찰 및 심층인터뷰를 통해 여성 농업노동자계급에 대한 총체적인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조사 연구 지역은 충청남도 예산군 삽교읍에 속해 있는 세 부락이다. 이 부락들에는 과수재배와 상업적 농업이 일부 행하여지고 있으나 대다수 가구가 미작에 의존하는 전형적인 농촌의 특징을 지니고 있었다. 본 논문의 구성은 총 5 장으로 되어 있다. 제 1 장은 서론으로서 이 논문의 체제와 목적 및 문제제기를 하였다. 제 2 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으로 한국 여성농업노동자의 형성과정을 이해하기 위하여 그 배경이 되는 일반 농업노동자에 대한 개념, 농민층 분해와 농업노동자와 관계들을 여성농업노동자와의 연계 속에서 다루었다. 제 3 장에서는 연구조사지역인 세 부락에 대한 실태분석으로 조사방법과 조사지역을 개략적으로 설명하였다. 제 4 장 내용은 조사결과로 다음과 같이 요약, 분석하였다. 첫째는, 여성 농업노동자계급의 사회 경제적 및 문화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여기서 전자의 특징은 여성 농업노동자계급이 농촌사회에서 경제적 위치가 가장 낮은 계층으로 분석되었고 후자의 특징은 가족들이 서로 분산되어 있고 남성가장들의 노동력상실로 인해 여성가장이 눈에 띄게 많은 점과 학력 및 문화생활 수준이 매우 낮고 마을과의 관계도 수동적 소극적인 것이었다. 둘째는, 여성농업노동자들의 경제활동과 이에 대한 의식을 농업노동을 통해 살펴보았다. 여성농업노동자들이 고용되는 농업노동의 종류를 살펴본 결과, 대부분의 농업노동에 여성이 고용되고 있었고 과수노동과 상업적 농업의 경우 여성노동력을 주로 고용하므로 여성들이 남성보다 더 많은 고용기회를 얻고 있음이 밝혀졌다. 그러나 농업노동에서도 성별분업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데 여성들이 남성보다 미숙련 단순노동분야에 고용되고 있어 점차 농업노동이 기계화되는 추세에서 여성들이 남성들의 보조적인 위치로만 고정될 가능성을 시사했다. 또한 이 계급의 경우 농한기와 농업내 노동에 고용되지 않는 농번기에는 행상을 비롯하여 각종 농업의 노동에 종사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이들의 농업노동에 고용되는 형태는 근대적인 농업노동자로서 고용되고 있었고 고용안정성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노동시간은 타계층 농촌여성보다 많게 나타났으나 임금수준은 전 산업부문에서 가장 낮은 상태였다. 이와 같이 열악한 노동조건으로 고용되고 있는 이들의 농업노동에 대한 의식은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세째로, 여성농업노동자계급의 생활양식을 소득 및 소비양식, 부채와 질병, 미래관을 통해 고찰하였다. 이 결과, 이들의 생활수준은 전사회구조에서 가장 열악한 상태로서 생존권을 위협받는 상황이며 미래에 대한 꿈을 갖는 것조차 사치스럽게 여기고 있음이 밝혀졌다. 제 5 장은 결론부분으로, 앞에서 지적한 항목들에 대한 간략한 요약과 함께 본 논문의 한계점을 지적하였고 앞으로의 연구에 대한 제언으로 끝을 맺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