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윤남식-
dc.contributor.author李和貞-
dc.creator李和貞-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07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07Z-
dc.date.issued1984-
dc.identifier.otherOAK-00000001425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653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4258-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elected mechanical variables in crawl stroke. Three top ranked Korean swimmers were filmed using ARRI. Camera with 24F/sec speed. 1) Angle variation on stroke motion, 2) vertical and Horizontal velocity analysis of hands in stroke motion, 3) velocity and angle variation of middle point of fore-arm, 4) One set of stroke time and stroke time underwater, 5) Analysis of stroke pattern, were measured and compared one another. The result were as follows; A. Angle variation on stroke motion 1. In case of two crawl swimmer, when the upper-arm enter the water, the angle between upper-arm and surface of water is larger than backstroker's. In latter part of stroke, the short-distance crawl swimmer showed larger angle than other two swimmer's. 2. When the fore-arm enter the water, all 3 swimmers showed similar angle, but in support motion and catch, the crawl swimmers showed larger angle than backstroker's. However, in latter part of pull motion, backstroker showed larger angle than crawl swimmer's. And in push motion and release, all 3 swimmers showed similar angle. 3. In motion of entering water, support and catch motion, the long-distance crawl swimmer showed remarkable larger angle than other two swimmers. On the contrary, from latter part of pull motion to latter part of push, he showed smaller angle than other swimmers. B. Vertical and Horizontal Velocity analysis of hands in stroke motion. Concerning the vertical velocity, the short-distance crawl swimmer showed the fastest velocity and acceleration after entering water. And then regarding the horizontal velocity, the short-distance crawl swimmer and the short-distance backstroke swimmer showed slow movement compare with the long-distance crawl swimmer. And the long-distance crawl swimmer has faster gliding velocity of hand's end than that of others after entering water. C. Velocity and Angle Variation of middle point of fore-arm. During the pull motion, all 3 swimmers showed the fastest velocity. Specially, in support and catch and pull motion, the long- distance crawl swimmer speed was more over faster than other swimmers. D. One set of stroke time and stroke time (from entry motion to release motion) underwater. Concerning the average speed under experimental condition, the short-distance crawl swimmer was the fastest. And then the required time ratio for stroke underwater was almost same to 3 swimmers by 78% approximately. E. Analysis of stroke pattern. 1. The short-distance crawl swimmer was gliding his arm forward and making a elliptical trace with long width. 2. The long-distance crawl swimmer more his arm backward after entering water. And this pattern was a little slanted against surface of water therefor making elliptical trace with long vertical lengh. Diameter of whole stroke trace was long. 3. The short-distance backstroke swimmer push water back- wards and move. And this pattern draw a ellipse with long vertical lengh.;Crawl泳法은 現在 行하고 있는 泳法가운데 Speed가 가장 빠른 泳法으로 숙달 정도에 따라 장거리를 헤엄치는데 적합하다. Crawl泳法은 숙련자의 경우 Stroke에서 70%, Kick에서 30%의 推進力을 얻으며 Stroke動作은 Entry, Support, Catch, Pull, Push, Release, Recovery의 7단계의 動作으로 이루어진다. 本 硏究는 Crawl泳法에 있어서 主要한 推進力이 되는 Stroke에 對하여 運動機能學的인 側面에서 分析하여 效率的인 動作 요령과 水泳指導에 必要한 資料를 提供하기 위하여 國內의 정상에 있는 A선수(Crawl단거리), B선수(Crawl장거리), C선수(배영단거리)를 對象으로 硏究를 行하였다. 水中에서의 Stroke 動作을 고속 撮影하여 그 필림을 殃像分析法에 의하여 分析한 結果 다음과 같은 結論을 얻었다. A. Stroke中의 角度變化 1. 主種目이 Crawl인 두 선수는 Strotke의 전반부인 上騎의 入水時 水面과 큰 角度를 이루며 Stroke의 후반에는 Crawl 단거리 선수인 A선수가 Crawl 장거리 선수인 B선수와 배영 단거리 선수인 C선수에 비해 水面과 큰 角을 이루고 있었다. 2. 前腕의 入水時는 Crawl 단거리 선수인 A, Crawl 장거리선수인 B, 배영 단거리 선수인 C의 세 선수 모두 비슷한 角을 이루고 있었으나 Support와 Catch時에는 A,B선수가 C선수보다 큰 角을 나타내었다. Pull의 후반에서는 C선수가 A,B두 선수에 비해 큰 角度를 보이고 있었으며 Stroke의 후반에서는 전반과 마찬가지로 A,B,C 세 선수 모두 비슷한 角을 이루고 있었다. 3. 손의 角度는 入水時와 Support, Catch時에 걸쳐 Crawl 장거리 선수인 B선수가 Crawl 단거리와 배영 단거리 선수인 A,C 두 선수에 비해 현저하게 큰 角을 보이고 있었으며 Pull의 후반부터 Push의 후반까지는 오히려 A,C두 선수보다 작은 角을 보이고 있었다. B. 손의 물가름의 垂直 및 垂平 方向의 速度 分析 수직 성분의 速度에 있어서 주입수 후 아래를 向한 속도, 가속도가 Crawl 단거리 선수인 A선수가 가장 컸으며 수평 성분의 速度에 있어서는 Crawl 단거리 선수인 A선수와 배영 단거리 선수인 C선수가 Crawl 장거리 선수인 B선수에 비해 앞쪽으로 천천히 이동하며 B선수는 주입수 후 앞쪽의 손끝 gliding의 速度가 A,C 두 선수에 비해 빨랐다. C. 前腕의 中點의 角度와 遠度의 變化 세 선수 모두 Pull 動作時 가장 큰 速度를 나타내었으며 Stroke 全般에 걸쳐서는 Support와 Catch, Pull動作時 Crawl장거리 선수가 다른 두 선수에 비해 水平方向의 速度가 더 큰 것을 볼수 있었다. D. 平均達度와 水中에서의 Stroke時間과 1 Stroke 時間의 비교 平均速度는 Crawl 단거리 선수인 A선수가 가장 빠르며 A,B,C 세 선수 모두 水中 Stroke 소요 時間의 비율은 78% 전후로 나타났다. E. Stroke의 類型 分析 1. Crawl 단거리 선수인 A선수는 주입수 후 팔을 전방으로 gliding하며 水面에 對해 가로폭이 넓은 타원의 원호를 그렸다. 2. Crawl 장거리 선수인 B선수는 주입수 후 팔을 위로 이동하고 있는 類型으로 水面에 對해 약간 기울어져 세로로 넓은 타원의 원호를 그렸으며 stroke 全般의 지름이 길어 뉴우톤의 제3법칙에 의해서 볼때 A,C 두 선수보다 合理的이었다. 3. 배영 단거리 선수인 C선수는 주입수 후 뒤쪽으로 물을 긁으면서 옮겨가는 類型으로 水面에 對해 세로로 넓은 타원의 원호를 그렸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論文槪要 = Ⅶ Ⅰ. 序論 = 1 A. 硏究의 必要性 및 目的 = 1 B. 硏究의 制限點 = 3 Ⅱ. 硏究方法 = 4 A. 對象者 = 4 B. 據影場所 및 日時 = 4 C. 撮影方法 및 條件 = 5 D. 資料處理 = 5 Ⅲ. 結果 및 考察 = 7 A. Storke中의 角度 變化 = 7 1. 上腕의 角度 變化 = 7 2. 前談의 角度 變化 = 9 3. 손의 角度變化 = 11 B. 손의 물가름의 垂責 및 垂平 方向의 適度 分析 = 13 C. 前腕의 中點의 角度와 速度의 變化 = 17 D. 平均速度와 水中에서의 Stroke時間과 1 Stroke의 時間의 比較 = 19 E. Stroke의 類型 分析 = 20 Ⅳ. 要約 및 結論 = 23 參考文獻 = 26 ABSTRACT = 2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5137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영법-
dc.subject역학적분석-
dc.subject체육학-
dc.subjectStroke-
dc.titleCrawl 泳法의 Stroke 動作의 力學的 分析-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Mechanical analysis of crawl stroke-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체육학과-
dc.date.awarded198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