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9 Download: 0

讀書過程에서 나타난 글자 探知誤謬類型으로 본 한글의 讀書單位

Title
讀書過程에서 나타난 글자 探知誤謬類型으로 본 한글의 讀書單位
Other Titles
Reading Units of Korean Letters by Letter Detection Error Patterns in Reading Processes
Authors
鄭銀珠
Issue Date
1983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심리학과
Keywords
독서과정글자 탐지오류유형한글독서단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영애
Abstract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size of reading units in Korean letters. I investigated that the reading units in the context of normal reading processes in which the types of passage, words, and reading direction differed. Subject read 250-280 word passages and circled the letter '01'. One subject read all six passages, three of them were the left-to-right reading passages, and the other three passages were the top-down reading passages. There were three types of passages, that is, standard passage, scrambled words and scrambled letter passage. In each passage, the letter '01' appeared that in the case of article, particle and content word, and the number of letter '01' was same in these three passage types. The patterns of letter detection errors that subjects made were as follows; 1. In terms of word types, subjects were the most fast at reading the standard passage but made the most errors on it, the second most on the scrambled word passage and the fewest errors on the scrambled letter passage. This results suggests that the reading units are larger than individual letters in normal reading, but in case the indentification of larger units fail, subjects detected the individual letters. 2. In terms of word types, subjects made the most errors on the content words, the second most on particles, and the fewest errors on articles. As the article work as a function word but is made of one letter, so it would be indentified as the letter level. And the particle is a function word but is located at the end of a word, thus, it is included within the word boundary, so it seemed to be identified as larger units than the individual letters. As the content word is identified in itself a unit without analyzing all the component letters. Therefore, it turns out that Korean reading units are larger than individual letter units. 3. In terms of the reading directions, subjects read of the left-to-right reading more rapidly but made more errors than the top-down reading. This results indicate that we can identify the meaning of passages without detecting the individual letters by the practice effect because we are more accustomed to the left-to-right reading in normal reading.;本 硏究는 한글에서의 讀書單位의 크기를 알아 보기 위해 設計되었다. 이 讀書單位가 文章類型과 單語類型 및 읽기方向에 따라 어떤 差異가 있는가를 알아 보았다. 被驗者는 250∼280 單語로 구성된 文章을 읽으면서 글자 '이' 에 동그라미를 했다. 한 被驗者는 모두 여섯 個의 文章을 읽었는데, 이 중 세 個는 가로읽기文章이었고 다른 셋은 세로읽기文章이었다. 文章類型은 세 가지였는데 이들은 定常文章, 單語混合文章, 글자混合文章이었다. 이들 各 文章 속에서 글자 '이'는 冠形詞, 助詞, 및 內容語에 나타났으며 그 數는 이 세가지 單語類型에서 同一했다. 被驗者의 글자探知誤謬類型은 다음과 같다. (1) 文章類型面에서 볼 때, 被驗者는 正常文章을 가장 빨리 읽었으나 가장 많은 誤謬를 범했으며 그 다음은 單語混合文章에서, 그리고 글자混合文章은 가장 천천히 읽었으나 가장 적은 誤謬를 보였다. 이러한 結果는 日常的인 讀書 狀況에서의 讀書單位가 한 글자보다 큰 單位로 읽히며, 보다 큰 單位의 把握이 失敗되었을 때 개별 글자의 把握이 이루어짐을 示唆해 준다. (2) 單語類型面에서 被驗者는 內容語에서 가장 많은 誤謬를 범했으며, 그 다음은 助詞에서, 그리고 冠形詞에서 가장 적은 誤謬를 보였다. 冠形詞는 機能語이긴 하나 한 글자로 되어 있으므로 글자 水準에서 把握되었을 것이다. 助詞는 機能語이긴 하나 單語의 끝에 位置하므로 單語 境界內에 포함되어 글자보다 큰 單位로 把握되었을 것이다. 內容語는 單位 그 자체를 하나의 單位로 把握하므로 單語內의 構成 글자를 일일이 分析하지 않고도 單語를 把握할 수 있었을 것이다. 따라서 이 結果는 한글의 讀書 單位가 한 글자보다 큰 單位임을 證明해 주는 것이다. (3) 읽기方向面에서 被驗者는 가로읽기文章을 세로읽기文章보다 빨리 읽었으나 저 많은 誤謬를 보였다. 이러한 結果는 우리가 日常的인 讀書 狀況에서 가로文章에 더 익숙해 있기 때문에 練習效果에 의해서 個別 글자를 探知하지 않고도 意味를 把握할 수 있음을 示唆해 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