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9 Download: 0

畵面을 통한 透明한 認識에로의 接近

Title
畵面을 통한 透明한 認識에로의 接近
Other Titles
Approach to Transparent Cognition through Painting
Authors
禹順玉
Issue Date
1983
Department/Major
대학원 회화학과
Keywords
화면투명한 인식인식접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봉렬
Abstract
If a work of art has a certai□ value and an aesthetic character, it should have its own and new outlook on the world. In this point, the outlook on the world is not the matter of individual methodology which can be shown sporadically on contemporacy art, but the matter of truth which exists in a work. Through the real outlook on the world it can be avoided that we are sticking to customs or systems that make us to look the things smaller than real one. Rather, through this open world-view we understand things what they are without any bias so that we can be free from a special fixed image or compulsive illusion. It is understood that contemporary art compared to modern aesthetics takes cognition as a methodology. In this respect to see is newly perceived. It is evident that work is not made but is the matter of opening to outlook on the world. Contemporary art that is gradually cognized as the matter of ontology is so complicated that it's not easy to be included to a certain school. Therefore, the artists who live in this times are deadlocked because they cannot ignore the unque phase of times. According to Bo¨lfflin, painting is not made through observing the nature by an artist, but it owes a great deal to other artists' works. We can find such a phenomenon on every artist who works in painting, literature and philosophy. Their mental background is implicated each other. In this thesis, 1 indicate that the main theoretical background in approaching is based on Ro-Jang thoughts and phenomistic ontology. Also I study the matter of space, color and line by content and period in methodological view. In conclusion I hope that every painting must be understood not by its quantity but by a deep perceptive meaning and I keep the outlook on the world through open cognition in working for art.;예술작품이 본질적인 어떤 가치와 美學的 특질을 가지려면 그 작품만의 새롭고 독특한 世界觀을 지녀야 한다. 그 世界觀이란 現代美術에 있어 무질서하게 표출되고 있는 個個의 方法論的인 문제라기 보다는 예술작품에 內在한 진실함을 우선으로 한다. 또 관습이나 체계에 얽매어 事物을 보는 눈을 흐리게 하거나 습관적인 인식으로 대상의 참모습을 볼 수 없게 하던 과거의 어느 특정한 image나 강압적이었던 illusion에서 벗어나 되도록 自然에 가깝게 事物을 직접적으로 보고 느낄 수 있는 열려진 세계에로의 視點을 말한다. 現代美術은 아름다움을 추구하던 近代主義 美學파는 달리 「認識」을 한 方法論으로 삼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본다」라는 문제는 새로이 知覺되고 있고, 예술활동에 있어서도 작품을 「만드는」 것으로 생각되기 보다는 「여는(開)」문제로서 認識되어지고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이렇게 각기 어느 형태로든 서서히 存在論的인 측면에서, 또 知覺的인 思考로 인식되어진 오늘날의 미술은 그 표현 양상에 있어서도 과거의 어느 한 유파에 고집스럽게 집어 넣기에는 석연치 않은 다양한 복합성을 띠고 있다고 느낄 수 있다. Heinrich Wo¨lfflin의 말과 같이 그림이란 항상 한 예술가가 자연만을 관찰해서 얻어진 것보다는 다른 예술가의 작품에 더 많이 빚지고 있음^(1))은 분명하다. 그것이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간에 그 영향력은 내부 깊숙히 침투되어 신체를 통하여 표출되고, 그것은 같은 形式을 지닌 그림에서만이 아니라 다른 예술 분야에서도 고루 연결되어 있고 정신적인 면을 거슬러 올라가면 근본적인 철학적인 문제에도 관련된다고 볼 수 있다. 본인의 작품에서 그 중축을 이룬 내용적인 외식은 老莊의 상대적인 진리사상과 메를로-뽕티를 중심으로 한 現象學的 存在論임을 밝히고 방법적인 면에서는 전반적으로 나타나는 線의 문제를 중심으로 해서 통합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본인의 화면은 양적 크기로서가 아닌 깊은 의미로서 더욱 확장되길 바라고, 본인이 세계를 보는 눈은 열린 의미로서 그 透明함을 더해 가길 바라는 바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