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9 Download: 0

여대생의 시험불안과 학습된 무력감에 관한 연구

Title
여대생의 시험불안과 학습된 무력감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LEARNED HELPLESSNESS AND TEST ANXIETY IN COLLEGE WOMEN
Authors
송윤정
Issue Date
1986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심리학과
Keywords
여대생시험불안무력감TEST ANXIETY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혜성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at cognitive interference associated with anxiety is the source of the performance deficits observed in learned helplessnes studies. For susceptible subjects high or low test anxiety, unco-trollability experiences elicit a large attentional demand task-relevant, negative focus on self. For susceptible subjects high or low test anxiety, uncontrollability experiences dont elicit a small attentional demand task0relevant, performance defic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108 college women students. The subjects are divided into two groups base on their test anxiety score; high test anxiety group and low test anxiety group. Each group is divided into three groups once more; contingent group, noncontingent group and control group. And then treated by two different task condition: simple task and complex task condition. The task of this study is composed of test attitude questionnaire, Levice's discrimination task and simple or complex task.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dividually subjects received contingent or noncontingent reinforcements or control condition in the discrimination task and then performed simple or complex task. The 2×2×3 multivariate analysis and t-test is utilized to analyze the da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For susceptible subjects with high test anxiety, non-contingent group shows performance deficits in simple task. (t=2.51 p<.05) 2. For susceptible subjects with high test anxiety, non-contingent group shows large performance deficits in complex task. (t-3.53 p <.01) 3. For subjects with low test anxiety, noncontingent group doesn't show performance deficits in simple task. (t=1.06 p > .10) 4. For subjects with low test anxiety noncontingent group doesn't show performance deficits in complex task (t=0.76 p > .10) In summary, by this study a cognitive-attentional interpretation of learned helplessness studies is supported partially. In case of performance deficits in high test anxiety group with uncontrability experiences, the interpretation is possible planation and test anxiety level is individual variable in learned helplessness studies.;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된 무력감의 현상을 불안중심으로 설명하려는 입장의 타당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즉, 통제불능 또는 무관적 경험후의 수행장애가 불안유발에 의한 주의분산 때문이라는 설명이 어느정도 지지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려고 한다. 만약 그 입장이 타당하 다면, 시험불안수준에 관계없이 무관집단은 유관집단이나 통제집단에 비해 주의 요구량이 큰 복잡과제에서 수행장애가 뚜렷이 보일 것이다. 그리고 주의요구량이 작은 단순과제에서는 시험불안수준에 관계없이 무관집단은 유관집단이나 통제집단에 비해 의미있는 수행장애를 보이지 않을 것이다. 피험자는 여대생으로 시험태도 검사를 통하여 108명을 선정하였다. 이 피험자는 시험불안이 높은 54명, 시험불안이 낮은 54명의 두 집단으로 구성되었고, 이들은 유관집단, 무관집단, 통제집단으로 나뉘어 졌으며, 다시 단순과제와 복잡과제 집단으로 배정되었으므로, 각 집단의 피험자는 9명씩이다. 본 실험의 도구는 시험불안 수준을 알기 위한 시험태도검사지, 유관성 조작을 위한 훈련과제로 개념변별과제, 그리고 과제수행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과제로 단순수열완성과제와 복잡수열완성과제이었다. 본 실험은 개별적으로 실시되었으며, 시험불안수준이 높거나 또는 낮은 피험자에게 개념변별과제를 사용하여, 피험자의 반응에 따른 유관집단 또는 실험자의 조작에 의한 무관집단 또는 자극첩촉이 없는 통제집단으로 형성한 뒤, 단순 또는 복잡수열완성과제로 수행정도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자료는 t -검증과 2 × 2 × 3요인 변량분석으로 처리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시험불안이 높은 집단의 경우, 무관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주의 요구량이 작은 단순과제에서 의미있는 수행장애를 보이지 않았지만( t = 1. 91, .05 . 10 )에 비해 주의요구량이 작은 단순과제에서 의미있는 수행장애를 나타내지 않았다. 4. 시험불안이 낮은 집단의 경우 무관 집단은 주의요구량이 큰 복잡과제에서 유관집단 ( t = 0. 76 , p 〉 . 10)이나 통제집단 ( t = 2.05, .05 〈 P < . 10 )에 비해 의미있는 수행장애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학습된 무력감에 대한 불안중심의 설명은 부분적으로만 지지되었다. 즉, 불안이 높은 사람이 학습된 무력감 현상을 보일 경우에 접근가능한 설명이 될 수 있으며, 불안수준은 학습된 무력감에 대한 개인적 민감도일 가능성이 더욱 크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