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8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해영-
dc.contributor.author조아라-
dc.creator조아라-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47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47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293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631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2930-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s to examine washback effect in Korean speaking performance assessment and to compare washback effect of the improvement in speaking ability depending on the types of the corrective feedback-teacher's directed correction and student's directed correction. For this study, 99 students who are majoring in Korean language at Q University in China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for 6 weeks. They were divided into two experimental groups and one control group. Each group was composed of 33 students. The groups were evaluated on their speaking ability three times; a pre-test, a mid-test and a post-test.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provided corrective feedbacks after each speaking performance assessment. Students in experimental group 1 corrected their own speech before teacher's correction while students in experimental group 2 didn’t correct their own speech.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he speaking performance assessments brought the positive washback on improving speaking ability. Second, the corrective feedback can't always help the students improve their speaking ability. This is resulted from the fact: the group 1 who corrected their own speech showed positive washback remarkably on vocabulary and total score, although the group 2 who didn’t correct their own speech didn't show positive washback on the whole area. Third, the corrective feedback with the self-correction activity was proved to be more effective than that without the self-correction activity in improving students' speaking ability. However the result of statistics shows that only on vocabulary did the self- correction feedback bring positive washback. The pedagog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ositive washback should be emphasized in the speaking performance assessments because the speaking performance assessments are effective for improving speaking ability. Second, some post-activities such as the corrective feedbacks enable students to understand the gap of the target language and their speech which is sometimes called an inter language. Third, leaners’ directed learning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post-activities. These leaners’ directed activities enable students to get more meaningful feedback, to monitor their abilities, to control the process of the study, and ultimately to become autonomous learners. Based on this study, I suggested a model for the post-activities after speaking performance assessment that can be practically applicable to Korean classes.;80년대 이후 상대주의와 구성주의 이론이 대두되면서 학습의 의미와 학습자의 역할이 크게 달라졌고 학습자 중심의 교육이 강조되었다. 그리고 이 변화는 교육과 평가의 관계에도 영향을 미쳐서 학습과 평가의 통합적인 관계를 강조하는, ‘수행 평가’라는 새로운 평가 체제를 등장시켰다. 수행 평가는 단순히 학습 결과만을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수행과 학습 과정을 평가하며 평가 후에 그것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을 중요한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수행 평가의 실시를 통해서 우리는 학습을 평가에 적극 반영하고 평가 결과를 학습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궁극적으로 평가와 학습의 관계를 통합적인 관계로 변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 두 가지 논점 가운데서 본 연구자는 평가를 학습과 연결하려는 논의에 관심을 갖고 다음과 같이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평가를 통해 발생할 수 있는 긍정적인 역류효과에 대해서 고려할 때, 평가를 학습에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의 문제는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 한국어 교실에서 말하기 수행 평가를 실시하고 수행 결과에 대해서 학습자에게 수정적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그리고 말하기 수행 평가와 평가 후, 처치된 수정적 피드백이 학습자들의 말하기 수행 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어떤 역류효과를 발생시키는지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말하기 수행 평가와 평가 후 제공된, 수정적 피드백이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 향상에 어떤 역류효과를 발생시키는지를 비교·분석하여 그 효과를 밝히는 데에 그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제 Ⅰ 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밝히고 그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한국어 말하기 평가, 역류효과, 수정적 피드백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연구문제와 연구가설을 제시하였다. 제 Ⅱ 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관련된 이론 조사를 실시하였다. 첫째, 말하기 능력과 말하기 평가 범주에 대해서 알아보았고 둘째, 수정적 피드백과 평가 후 피드백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제 Ⅲ 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방법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다. 실험에는 중국 지역의 Q 대학에서 한국어를 전공하는 99명의 학생들이 6주에 걸쳐서 참여하였다. 구체적으로 실험대상은 두 개의 실험집단과 한 개의 통제집단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집단은 33명의 학생들로 구성되었다. 세 집단 모두에게 3회에 걸친 말하기 수행 평가-실험 이전 평가, 실험 중 평가, 실험 이후 평가-를 실시하였고 실험 이전 평가와 실험 중 평가 실시 후에 실험집단에게 평가 결과에 대한 수정적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이 때, 실험집단1에게는 교사의 수정적 피드백을 제공하기 전에 자기 수정 활동을 하도록 하였으며 실험집단2에게는 자기 수정 활동을 하도록 하지 않았다. 평가 과정은 모두 비디오로 녹화되었으며 채점은 미리 작성된 채점 기준표에 근거하여, 각 평가마다 두 명의 채점자에 의해 총 2회에 걸쳐 진행되었다. 그리고 두 채점자간의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채점을 실시하기 전에 채점자 훈련을 실시하였다. 채점자 훈련을 마친 후에, 실험대상이 아닌 학습자 10명을 대상으로 사전 평가를 실시하고 사전 평가에 대한 채점을 실시하였다. 사전 평가를 채점한 결과, 모든 범주에서 두 채점자 간에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세 번의 말하기 수행 평가가 실시되었으며 이것을 채점한 결과를 통계분석 프로그램인 SPS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95% 신뢰수준에서 t검증과 F검증(ANOVA)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각 집단 간의 차이를 명확하게 분석하기 위해서 사후검정 다중비교(LSD)와 Duncan Grouping을 실시하였다. 제 Ⅳ 장에서는 연구가설에 따라서 실험 결과를 분석하였다. 먼저, 말하기 수행 평가와 말하기 능력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평가 후 수정적 피드백과 말하기 능력과의 상관관계도 알아보았다. 그 결과, 한국어 말하기 수행 평가는 긍정적인 역류효과를 발생시켜서 학습자들의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교사의 수정적 피드백은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언제나 긍정적인 역류효과를 발생시키는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어휘 영역과 총점의 향상도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발음, 문법, 유창성, 태도의 영역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했다. 그러나 이들 영역들은 실험이 장기적으로 이루어졌다면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만큼 긍정적인 점수 변화를 보여 주었다. 끝으로 교사의 수정적 피드백이 처치되기 전에 선행된 학습자의 자기 수정 활동은 어휘 영역을 제외하고는 긍정적인 역류효과를 발생시키지 못했다. 그러나 장기간에 걸쳐 실험이 실시된다면 자기 수정 활동의 효과를 더욱 명백하게 밝힐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결과를 한국어 교실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 간단하게 제안하였다. 제 Ⅴ 장에서는 본 연구를 통해서 얻은 결과를 종합적으로 정리하였으며 실험의 제한점을 밝히고 후속 연구를 위한 간단한 제안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말하기 수행 평가의 실시가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역류효과를 발생시켰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나 평가 실시 후에 제공된 교사의 수정적 피드백은 영역별로 다른 결과를 가져 왔다. 그러나 본 연구는 연구대상과 연구 기간의 한계점이 있기 때문에 후속 연구에서 다양한 국적의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장기간에 걸쳐서 실험을 진행한다면 평가 후 수정적 피드백 활동과 말하기 능력과의 상관관계를 더욱 명확하게 밝힐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ⅹ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선행연구 검토 = 2 1. 한국어 말하기 평가 = 3 2. 역류효과 = 5 3. 수정적 피드백 = 7 C. 연구문제 = 9 D. 연구가설 = 9 Ⅱ. 이론적 배경 = 11 A. 말하기 = 11 1. 말하기 능력 = 11 2. 말하기 평가 범주 = 13 B. 피드백 = 17 1. 평가 후 피드백 = 17 2. 수정적 피드백 = 20 Ⅲ. 연구방법 = 24 A. 연구대상 = 24 B. 연구절차 = 25 1. 실험 이전 단계 = 26 2. 본 실험 단계 = 27 3. 실험 이후 단계 = 28 C. 연구자료 = 29 1. 평가 자료 = 29 2. 채점 기준의 작성 = 32 3. 평가 후 피드백 자료 = 33 D. 분석방법 = 35 Ⅳ. 결과 분석 및 논의 = 36 A. 말하기 수행 평가가 말하기 능력 향상에 미친 역류효과 분석 = 36 B. 교사의 수정적 피드백이 말하기 능력의 향상에 미친 역류효과 분석 = 37 1. 발음 영역의 역류효과 = 37 2. 문법 영역의 역류효과 = 39 3. 어휘 영역의 역류효과 = 40 4. 유창성 영역의 역류효과 = 43 5. 태도 영역의 역류효과 = 44 6. 총점에서의 역류효과 = 45 C. 자기 수정 활동이 말하기 능력의 향상에 미친 역류효과 분석 = 48 1. 발음 영역의 역류효과 = 49 2. 문법 영역의 역류효과 = 51 3. 어휘 영역의 역류효과 = 52 4. 유창성 영역의 역류효과 = 54 5. 태도 영역의 역류효과 = 56 6. 총점에서의 역류효과 = 57 D. 교육적 시사점 = 59 1. 수정적 피드백 교수의 원리 = 59 2. 수정적 피드백 교수의 실제 = 60 Ⅴ. 결론 = 67 참고문헌 = 70 부록 = 73 ABSTRACT = 8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9320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한국어 말하기 수행 평가의 역류효과 비교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수정적 피드백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Comparative Study on Washback Effect of Korean Speaking Performance Assessment : based on the corrective feedback-
dc.creator.othernameCho, A ra-
dc.format.pagexii, 89-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