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3 Download: 0

역사적 예수와 케리그마의 그리스도 문제에 대한 연구사적 고찰

Title
역사적 예수와 케리그마의 그리스도 문제에 대한 연구사적 고찰
Authors
朴炅美
Issue Date
1983
Department/Major
대학원 기독교학과
Keywords
역사적 예수케리그마그리스도 문제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허혁
Abstract
Christian faith proclaims Jesus Christ as God's act for eschatological redemption. By the same token, he is proclaimed to us in the New Testament as Christ, who died on the cross. Here rises a problem with regar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istorical Jesus who died on a cross and the resurrected Christ who emerges in the tradition of various biblical recollections about the same Jesus. To put this in another way, How was a man named Jesus of Nazareth who lived in the land of Palestine some 2,000 years ago made known as resurrected Christ by the early church? We can literally feel a sort of tension hang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istorical Jesus and the traditionally resurrected Jesus - a paradox that he died only to come to life again. No one can deny the fact that the historical Jesus played an decisive role in the formation of the early Christian kerygma and theology. A kerygam minus the historicity of Jesus would be nothing more than some abstract precepts or ideals. By contrast, any failure to see a resurrected Christ present in the historical Jesus would render him merely a natural phenomenon or an ordinary event in history. Therefore, it may be safe to say that between these two there must lie a taut line holding the relationship in balance, It may be paradoxical. However, it have now become impossible to find a way to sustain such a paradoxical relationship merely by studying the Life of Jesus. In this connection, it is observed that criticisms authored by such scholars as W. Wrede and A. Schweitzer on liberal theologians reached its height when Bultmann asserted that it is no longer possible to find the life of Jesus in the gospels, nor was it their main concern to make report on his life. He further maintained that it is wrong to try to find the basis of faith either in the historical Jesus or in the kerygma of the early church as such. Later, for the first time, in 1952, one of his desciples named E. Ka¨semann raised Ga¨inist his views , protesting that although Bultmann tried to get over with the hazard of the historicism, we must now make a new start to investigate the historical Jesus in order to avoid the trap of Docestism. Following in his wake, many of Bultmann's desciples severally set out in search of the true aspect of the historical Jesus, even trying to reconstruct a viable continuity between the historical Jesus and Christ by connecting it to Christ or his kerygma. In this dissertation an attempt was made to investigate historically how this problem that is inherent in the nature of faith has been handled so far by theologians. In this study the scope of research is centered around Bultmann ranging over those liberal theologians who preceded him and also some post-Bultmannian scholars including E. Ju¨ngel. In the course of investigation such theologians, some additional efforts were also made to examine relationships, if any, between Bultmann and those liberal theologians and also his desciples. This historical study, it is hoped, might shed some light upon the relative position in Christian faith of the problem underlying between the historical Jesus and the kerygmatic Christ. To probe into the depth lying between these two is an attempt, above all else, to express self-understanding of faith itself.;그리스도교 신앙은 예수 그리스도를 신의 종말론적 구원행위로 선포한다. 신약성서는 우리에게 십자가에 죽은 자인 예수를 그리스도로 선포한다.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십자가에서 죽은 역사적 예수와 이 예수를 회상하며 해석한 부활한 그리스도와의 관계이다. 2000년전 팔레스틴 땅에서 살았던 나사렛 예수가 어떻게 해서 초대교회에 의해 부활한 그리스도로 되느냐는 것이다. 우리는 역사적 예수와, 이 예수를 되살리며 해석한 부활한 예수 사이에 팽팽한 긴장 관계, 즉 죽은 자이면서 다시 산 자라는 역설적 관계가 형성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초대 교회의 케리그마에 끼친 역사적 예수의 역할이 결정적이었다는 사실을 결코 부인할 수는 없을 것이다. 만일 케리그마에서 역사성을 도외시한다면 그것은 추상적 교훈이나 이념으로 전락되고 말 것이다. 반면 만일 역사적 예수에게서 부활한 그리스도를 보지 못한다면 그는 하나의 자연현상이나 일반 역사 현상에 그치고 말 것이다. 그러므로 이 둘 사이에 역설적인 긴장관계가 유지되어야 함은 분명하다. 그러나 이제는 이러한 역설적 긴장관계를 예수생애를 연구함으로써 찾을 수는 없게 되었다. 자유주의 신학에 대한 브레데 ( W.Wrede ), 슈바이처( A.Schweitzer ) 등의 비판은 불트만( R.Bultmann)에 이르러 그 절정에 달했다. 불트만은 복음서에서는 예수의 생애를 찾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복음서의 관심은 예수의 생애를 보고하는 데 있지 않다는 것, 그리스도 신앙의 근거를 역사적 예수나, 혹은 현상으로서의 교회의 케리그마에서 찾아서는 안된다고 주장한다. 그후 불트만의 제자인 케제만( E.Ka¨semann)이 1952년 처음으로 이에 대한 이의를 제기했다. 그는 불트만은 역사주의의 위험을 피하기 위한 노력을 했으나 이제는 가현설의 위험을 피하기 위해 역사적 예수에 대한 새로운 연구를 또 다시 시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후 불트만의 제자들은 각기 제나름의 방식으로 역사적 예수의 모습을 찾아 그것을 그리스도, 혹은 그리스도 케리그마에 연결시킴으로써 역사적 예수와 그리스도 사이의 연속성을 되살리려 했다. 이 글에서는 신앙의 본질에 관련된 이 문제가 연구사적으로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지를 살피고자 했다. 이 논문에서 다루는 범위는 불트만을 구심점으로 하여 그 이전의 자유주의 신학, 그 이후의 후기 불트만 학파와 융엘( E. Ju¨ngel )에 이르는 신학자들의 사상이다. 그리고 이들을 다룸에 있어서 불트만과 자유주의 신학, 불트만과 그의 제자들 사이의 관계규명을 해보고자 했다. 이렇게 연구사를 검토함으로써 역사적 예수와 케리그마의 그리스도 문제가 신앙에서 어떠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느냐는 것도 재확인된다. 이 양자 사이의 관계를 묻는 것은 무엇보다도 신앙의 자기이해를 표명하는 한 시도인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