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9 Download: 0

取材源의 秘密 保護에 관한 考察

Title
取材源의 秘密 保護에 관한 考察
Other Titles
PROTECTION OF NEWS SOURCE CONFIDENTIALITY
Authors
金在淑
Issue Date
1983
Department/Major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Keywords
취재원비밀 보호PROTECTIONNEWS SOURCE CONFIDENTIALITY신문방송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동철
Abstract
The focus of this study is on the significance of protection of news source confidentiality. This study overviews the rulings of foreign courts on this subject insofar as they conflict with other values, e.g. national security, social order, libel and fair trial. Thereby it aims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e consequences of those rulings in relation to possible future cases of this kind in Korea. Further, this study presents general problems in the legislation on protection of news source confidentiality. Specifically, comparing Article 8 of the Basic Press Law, which is the legislation on news source protection in Korea, with both the state shield laws in the U.S.A. and relevant German legislation with a view to exploring ways toward the effectiveness of the legislation on this subject. This study refers to the extensive literature and legal reports on this subject, including the IPI Report. The following are the main issues to be examined in this study : 1. What is the significance of protection of news source confidentiality? 2. How have the foreign courts adjudged on this subject with respect to other conflicting values examined in three categories, national, social and individual? 3. What legislation on this subject are available in other countries? What kind of cases have they handled? 4. What are general problems in the legislation on this subject? What problems arise from Korean legislation, compared with those of U.S.A. and Germany? 5. What are the ways toward the effectiveness of the legislation on this subj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Protection of news source confidentiality is not protection of either a news source or a journalist, but protection of the public interest, that is, the public's right ot know. 2 Other values conflicting with this subject, such as national security, social order, libel and fair trial. The trend of court rulings in other countries is moving toward "balancing the weight" between this subject and those other, conflicting, values. 3. In the U.S.A., there is no federal shield law for protection of news source confidentiality at present. Yet 26 states have their own state shield law. Three significant qualifications had been noted, in minority opinions, in the U.S. Supreme Court's Branzberg decision (1972). That is, the party seeking the information from the journalist must show: 1) The information sought is clearly relevant to the specific probable violation of law. 2) the information sought can be obtained from no other source or by means less destructive of First Amendment interests. 3) there i s a compelling and overriding interest in the information. On the other hand, the Privacy Protection Act that Congress passed in 1980 in reaction to the Zurcher decision(l978) took effect in 1981. Thereby, editorial confidentiality can be protected against officials' newsroom search, including news source confidentiality. 4. In Germany, on 1 August 1975, the revised legislation concerning the Press's privilege to refuse to testify and to be protected against officials' search took effect. By this legislation, editorial confidentiality can be almost completely guaranteed. 5. In England, there is no special press law. Courts reacts to the refusal to testify by invoking contempt power. 6. In Japan, there is no specific legislation on this subject, either. But the recent court(1979) shed light on the Press's privilege. 7. In Korea, Article 8 of the Basic Press Law, which is the legislation on this subject, includes the press's privilege to refuse to testify and to be protected against officials' search. However, the range of the qualifications on these protections is so extensive that the legislation may have not much effectiveness, in fact. 8. If privilege in legislation is to be qualified, the qualifications should be specified as clearly and interpreted by courts as narrowly as possible.;이 硏究는 '取材源의 秘密 保護'의 意義를 考察하고, 이와 相衝하는 諸法益들에 있어 外國의 判例를 살펴본 후, '取材源의 秘密保護'를 위한 制度的 保障이 되어 있는 美國과 西獨의 경우를 우리나라의 言論基本法 제8조의 「取材源의 保護」조항과 비교 분석함으로써 '取材源의 秘密 保護'를 위한 保護法規上의 問題點들을 제시하고 좀더 바람직한 제도의 방향을 도모하고자 한다. 그 硏究方法에 있어 本 硏究는 IPI Report를 비롯한 外國의 여러 관계문헌 자료 및 裁判의 判例를 조사하는 文獻硏究方法에 의한다. 本 硏究에서 연구하고자 하는 問題는 다음과 같다. 첫째, '取材源의 秘密 保護'의 意義는 무엇인가? 둘째, '取材源의 秘密 保護'와 相衝하는 國家的 ·社會的 ·個人的 法益으로서는 어떤 것이며 外國의 경우 判例上 어떻게 다루어져 왔는가? 세째, '取材源의 秘密 保護'에 있어 한국을 포함한 各國의 立法現況은 어떠하며, 어떤 事例들이 발생했는가? 네째, '取材源의 秘密 保證'를 위한 保護法規에 있어 일반적으로 제기되는 問題點은 무엇이며, 同 제도를 보장하고 있는 美國 및 西獨과 비교하여 우리나라의 경우는 어떠한가? 다섯째, 保護法規의 實效性을 위한 방안은 무엇인가? 이에 本 硏究의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取材源의 秘密 保護'는 取材源이나 기자의 「私益의 保護」가 아니라 國民의 알 權利라는「公益의 保護」이다. 2. 同 問題와 相衝하는 他價値로서는 國家機密保障 및 社會秩序維持를 통한 國家와 社會의 安定과 公共秩序, 또한 個人的 法益으로서는 名譽毁損과 公正裁判權 들이 있다. 이에 대한 外國의 判例에 있어서는 相衝하는 兩 價値들의 利益을 較量하여 判決하는 경향이 있다. 3. 美國의 경우, 同 問題를 위한 聯邦的 次元에서의 제도적 보장은 아직 없으나 현재 26개의 州가 保護法(shield law)을 갖고있다. 法院의 判例에 있어 주목할 만한 것은 1972年 Branzburg V. Hayes사건에서 聯邦大法院의 소수파 의견이 제시한 제한조건이다. 즉 기자에게 取材源 공개를 요구하는 當事者側은 그 요구에 앞서 1) 특정법률 위반과 명백한 관련성을 갖는 정보를 기자가 보유하고 있다고 믿을만한 소인을 제시해야 하고, 2) 言論의 자유를 보장하고 있는 수정헌법 제1조를 다치지 않는 그외 다른 대안(alternative means )이 전혀 없음을 제시해야하고 3) 當該情報에는 當事者側의 "긴박하고도 최우선적인 利害(compelling and overriding interest) " 가 있음을 제시해야 한다. 또한 美國에서는 1980年 Privacy Protection Act를 제정, 81年부터 發效시킴으로써 수사당국의 부당한 수색이나 자료압수로부터 편집실의 비밀을 보장받고 있다. 4. 西獨의 경우는 1975年 6月 19日 「出版·放送從事者의 증언거부권」과 「수사당국의 부당한 수색이나 자료압수의 금지」등에, 관한 종전의 法律을 改正, 새로이 8月 1日부터 시행함으로써 取材源을 보호하려는 언론인에게 최대한의 제도적 보장을 하고 있다. 5. 英國의 경우는 특별한 언론법이 없다. 取材源 공개거부에 대해 法廷은 법정모욕죄(contempt)라는 처벌로써 대응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取材源 保護를 위한 제도적 보장에의 요구가 활발히 논의된 바 있다. 6. 日本의 경우도 이에 관한 특별한 法은 없다. 그러나 1979年 北海道新聞記者사건에서 取材源의 公開를 거부하는 기자의 증언거부는 日本 民事訴訟法 第281條에 보장된 「職業上의 秘密」에 해당한다는 判例가 나옴으로써 기자에게 取材源 保護에 대한 새로운 구제책이 마련되었다. 7. 우리나라의 경우 言論基本法 第8條『取材源의 保護」조항은 언론인의 陳述拒否權과 수사당국의 수색 및 압수의 금지를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그 예외규정에 있어 적용범위가 너무 포괄적이어서 사실상 그 實效性이 의심스럽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8. '取材源의 秘密 保護'를 위한 保護法規는 情報의 자유로운 유통을 위해 폭넓은 언론활동을 보장해야 하므로 그 實效性을 위해서는 예외규정이 가능한 한 明白하게 규정되고 또 가능한 狹義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론홍보영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