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0 Download: 0

도시비공식부문의 구조적 위치에 대한 고찰

Title
도시비공식부문의 구조적 위치에 대한 고찰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tructual position urban informal sector : through a case study of domestic subcontraction
Authors
전방지
Issue Date
1984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학과
Keywords
도시비공식부문구조적 위치가내하청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형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다양한 비공식 경제활동의 한 유형인 가내하청생산 및 노동에 관한 경험적 연구를 통하여, 비공식부문이 전체 사회경제구조에서 어떠한 위치에 있는가를 파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우선 제Ⅱ장에서는 가내하청에 대한 제분석시각을 검토한다. 즉 도시비공식부문론 및 임시노동유형론, 생산양식론을 차례로 검토하고, 각각의 분석시각에서 가내하청의 사회구조적 위치와 공식부문과의 관계를 파악해 본다. 제Ⅲ장에서는 서울 불광동 일대의 영세자영업자와 하청업자, 그리고 이들 공장에 고용된 노동자와 가내부업적 일을 하는 장외노동자를 연구의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작업연계 및 노동과정과 노동조건을 살펴본다. 조사결과로부터 확인된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식·비공식부문간 및 비공식부문내의 작업연계는 다양하다. 둘째, 가내하청을 둘러싼 고용형태도 매우 다양하다. 세째, 가내하청 생산과 노동의 특성은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자율성의 상실로 나타난다. 우선 원료조달의 측면에서 공식부문에 크게 의존하고 있고, 생산과정에 있어서 분절화된 한 부분에 특화하고 있다. 그리고 생산물의 출구나 판로는 제한되어 있다. 네째, 이러한 의존 및 제한의 결과로 소생산자들의 소득이 단지 그의 노동력 재생산비에 불과할 정도이기 때문에 이들의 자본축적의 가능성은 제약되고 있다. 이러한 경험적 사실을 통하여 본 논문에서 끌어낸 결론은 다음과 같다. 비공식부문과 공식부문을 직접적으로 연결해주고 있는 하청제는 비공식부문에서 실현된 잉여를 공식부문으로 전이시키는 메카니즘이다. 그리고 하청의 말단고리에 위치한 장외노동자들은 이 메카니즘을 통해 가장 착취당하는 계층이다.;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the structural position of urban informal sector , by means of an empiricalstudy on the production and labour done through domestic subcontracting, which is one type of informal economic activities . For this purpose, I firstly examined various analytical perspectives in Cahpter Ⅱ. Here, the urban informal-formal sector dualist concept, the casual work concept and the modes of production perspective are examined one by one. I attempted to clarify , in each analytical perspective, the socio- structural position of domestic subcontracting; in other words, the nature of its relation to formal sector. I n chapter Ⅱ, I selected , as the objects of the empirical study, some of the self-employed workers, subcontractees, workers employed to their small factories and outworkers, found in Bul- kwang-dong, Seoul. Their labour processes and labour conditions as well as the vertical and horizontal networks of their works are analyzed. The facts revealed in this case study are as follows: First , the networks of works both between informal sector and formal sector and within informal sector vary to considerable extent. Secondly, various employment patterns are found in domestic subcontracting . Thirdly, the characteristic feature of domestic subcontracting production and labour is the lack of autonomy in the production processes: input dependency on formal sector , specialization in some fragmented parts of production processes and restricted sales outlet of the output. Fourthly, as a result of dependency and restriction , income earned by petty producers seems merely to suffice their reproduction cost of labour. Thus, the potential accumlation on the part of petty producers appears to be limited. Conclusion drawn in this paper, from the above empirical facts ,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subcontracting system, directly linking informal sector and formal sector , is a surplus transfer mechanism. Surplus squeezed out from informal sector is appropriated by formal sector . And outworkers, being placed in the last chain of subcontracting system, are the most exploited stratum through this mechanis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