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7 Download: 0

平和敎育으로서의 基督敎敎育

Title
平和敎育으로서의 基督敎敎育
Other Titles
Christian education as peace education
Authors
任常彬
Issue Date
1984
Department/Major
대학원 기독교학과
Keywords
평화교육기독교교육평화기독교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孫承喜
Abstract
This thesis deal with christion education as peace education in face of the crisis of the nuclear age The historical christian church has failed in the questions, which is about the peace and the war and social justice. Also the Church has long tradition in substantial definition of the content which is over the valance terror and over the formal equal opportunity of life. Therefor this thesis draws the theoratical instrument of the peace education from the problematic context of the tradition. And the peace education founds on the eschatological viewpoint of Letty M. Russell, which is partnership's theology in purpose of shalom in the tension between "already" and "not yet". The purpose of peace education lies in the perfection of God's kingdom which is primitive and eschatological shalom. The method of the peace education is drowed out the historical method of the 20th century theology and the practical and concret method is the Shared Praxis Method of T.H Groome. The peace education analyses the peace research paradigmly has the role of the medium variable which leads peace action. The peace education is at the same time "What" and "How". The peace education is defined primarily and inclusively as the work which is searching for the course of the non-peace state and the obstract factor. Secondly it is defined as development of the knowledge the values and skill for the purpose of the peace construction. So the peace education has the prophetic dimension to overcome the problmatic situation in the world. But it is serious that we asks how for the peace education is possible in the context of the south-north Korea and the industrial problem and under the unity of the government. If we want to plan and to practice the concret programme of the peace education, we must approach to establish maximumly in the provine of the peace education in the face of thesis problems. The peace education is either a radical model of education or a liberal model of education in according to the context and the time which is given. But the problematic context of the world is urging us to support to the radical position.;본 논문은 핵시대(nuclear age)의 본 논문은 핵시대(nuclear age)의 위기에 직면하여 평화교육(peace education)으로서의 기독교 교육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동안 기독교회는 역사를 통하여 전쟁과 평화에 관한 물음과 사회적 정의와 문제성에 있어서 다중적(multiple)으로 실패했다. 또한 교회는 공포의 균형 이상의 것인 ‘본질적 평화’(Substantieller Freiden)의 내용규정과 그저 단순히 형식적인 삶의 기회균등 이상의 것인 ‘본질적 정의’의 내용규정에 있어서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평화교육의 이론적 도구를 전통의 문제상황으로 부터 이끌어낸다. 평화교육으로서의 기독교 교육은 20세기 종말론의 입장, 즉 ‘이미 그러나 아직아니’(already not yet)의 긴장관계에 있다. 때문에 평화교육의 원초적이며 종말적인 샬룸(Shalom)인 하나님 나라(Kingdom fo God)의 완성에 있다. 본 논문은 평화교육의 원칙적인 방법론을 20세기 신학의 역사적 방법론에서 부터 끌어오며,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방법론은 그룸(T.H.Groome)의 Shared Praxis Method를 도용한다. 본 논문의 평화교육은 내용(What)이자 동시에 방법론(How)이다. 평화교육은 우선 포괄적 평화의 저해요소 혹은 평화가 없는 상태에 대한 원인을 규명하는 작업으로 정의되고, 둘째는 평화건설을 위해 필수적인 지식, 가치들 그리고 기술(Skills)의 발전으로 정의된다. 그러므로 평화교육은 이 세계의 문제상황의 극복을 위한 예언자적 차원을 지닌다. 그러나 남북의 대치상황하에서, 그리고 산업화의 귀로에서, 하나의 통합된 획일적 정치체계하에서 비판적 행동으로 옮겨지는 평화교육이 어느정도 가능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심각하다. 그렇지만 우리는 평화교육의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짜고 실천하려면 우선 이러한 현실적인 문제를 정면으로 대면하여서 공식구조안에서 할 수 있는, 또 해야만 하는 평화교육의 영역을 최대한으로 설정하면서 접근해야 할 것이다. 우리는 샬롬이라는 히브리말로서, 또한 하나님 나라의 비유에서 표현되는 하나의 보이지 않는 하나님의 계획을 선물받았다. 그것은 평화, 복지, 해방, 정의, 건전한 공동체등으로 특징지어지는 이 세계의, 생활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평화를 위해 교육해야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