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63 Download: 0

만성질환아 부모의 스트레스 요인과 대처방법에 대한 연구

Title
만성질환아 부모의 스트레스 요인과 대처방법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A) REVIEW OF RESEARCH ON STRESSOR AND COPING STRATEGIES OF PARENTS WHO HAVE CHRONICALLY ILL CHILDREN
Authors
이미현
Issue Date
1984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학과
Keywords
만성질환아부모스트레스간호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자형
Abstract
Children's chronic illness and defect bring new changes on family system and also change their parents' outdoor activity patterns. As mentioned, the disease of a member of family affects other members' health and function. Therefore, not only the disease or a patient but (also) whole family should by regarded as an object of nursing care so that ill children and their parents could lead normal and happy lives. Stressor and coping strategies of parents have great influence on family development, especially in chronically ill children's famil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need of chronically ill children's family and to suggest basic information for family care as relation of parent's stressor, parent's belief of chronically ill children's condition, and their strategies is investigated. The study subjects consisted of 60 parents (mothors or fathers) of under 13 year old chronically ill children hospitalized. The data was collected from four university hospitals and a rehabilitation center in Seoul from the 24th of Sept. 1984 to the 17th of Oct. 1984. The study instruments included CICI : PQ (Chronicity Impact & Coping Instrument: Parent Questionnaire by Hymovich) which was corrected and conplemented for this research. The data was analized by statistical method using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results from relation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 of subjects and parent's stressor, parent's belief, and their coping strategies. a. Stressor of school child's parent was higher than that of preschool child's parent in relation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 and stressor (t=-4.08, p=0.015). b. Old parent got higher score than younger parents in belief of chronically ill children's condition according to parent's age (t=-2.04, p=0.047). The oldest ill child's parent had higher belief score of their ill child than the parent who had an ill child but the oldest one according to birth order (t=2.01, p=0.049). The parent whose ill child had never hospitalized had higher belief score of their ill child than the parent whose ill child had hospitalized before (t=-2.91, p=0.006) c. Old parent took advantage of coping strategies more than young parent (t=-2.21, p=0.031), and the parent whose ill child had seen a doctor for over 3 months used more coping strategies than the parent whose ill child had seen a doctor for under 3 months (t=-1.96, p=0.054). 2. The results from hypothesis of this study. a. The first hypothesis: The fact that the higher parent get stressor score, the more they use coping strategies turned out to be true (r=0.2291, p=0.042). b. The second hypothesis: The fact that the higher parent got belief score of chronically ill children's condition, the more they use coping strategies turned out to be false (r=0.1205, p=0.184). c. The third hypothesis: The fact that the higher parent have stressor score and belief score of chronically ill children's condition, the more they use coping strategies turned out to be true (r=0.2607, p=0.024). Parent's stressor and belief proved to have influence on parent's coping strategies from the results. Therefore, these variables will contribute to family development through useful coping strategies to assess clinically chronically ill children and to carry out nursing intervention for ill children and their family.;아동들의 만성질환이나 장애는 가족체제내에 새로운 변화를 가져오며 부모들의 가족내·외적 역할양상을 변하게 한다. 이와같이 가족중 한 사람의 질병은 다른 가족들의 건강 및 기능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므로 환아와 가족들을 가능한 한 정상생활을 영위하도록 하고 행복한 삶을 살도록 하기 위해서는 질병이나 혹은 환자에게만 관심을 둘 수 없고 그 가족전체를 간호대상으로 하여야 한다. 특히 만성질환아 가족의 경우는 부모의 스트레스요인 및 대처방법이 그 가족발달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 이에 만성질환아를 가진 부모의 스트레스요인 및 환아상태에 대한 신념과 대처방법과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만성질환아를 가진 가족들의 요구를 확인하고 가족중심의 간호를 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저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만성질환으로 입원해 있는 만13세이하 아동의 부 혹은 모 60명을 대상으로 1984년 9월24일부터 10월17일까지 20일동안 서울시내 4개대학 부속병원과 1개의 재활원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연구목적에 적합한 Hymovich의 CICI : PQ(Chronicity Impact and Coping Instrument : Parent Questionaire)를 한국의 실정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작성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의 통계적 방법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특성과 스트레스요인, 부모의 신념, 대처방법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a. 일반적특성과 스트레스요인과의 관계에서는 학령기 아동부모의 스트레스요인이 학령전기 아동부모보다 더 높았다(t=-4.08, p=0.015). b. 부모의 환아상태에 대한 신념은 연령이 많은 부모가 연령이 적은 부모보다 환아상태에 대한 신념의 측정값이 높았으며(t=-2.04, p=0.047), 출생순위별로는 환아가 첫아이인 경우의 부모가 첫아이가 아닌 부모보다 환아상태에 대한 신념의 측정값이 높았다.(t=2.01, p=0.049). 환아의 입원 경험은 입원경험이 없는 환아의 부모가 입원경험이 있는 부모보다 환아상태에 대한 신념의 측정값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2.91, p=0.006). c. 대처방법의 경우 연령이 많은 부모가 연령이 적은 부모보다 대처방법을 많이 적용하며(t=-2.21, p=0.031), 처음 진단을 받은 시기가 3개월 이상이 된 환아의 부모가 3개월이 안된 환아의 부모보다 대처방법을 많이 적용하였다(t=-1.96, p=0.054). 2.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한 결과 a. 제1가설 "스트레스요인값이 높은 부모일수록 대처방법의 적용이 많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r=0.2291, p=0.042). b. 제2가설 "환아상태에 대한 부모의 신념의 측정값이 높을수록 대처방법의 적용이 많을 것이다"는 지지되지 않았다.(r=0.1205, p=0.184). c. 제3가설 "스트레스요인값이 높고 환아상태에 대한 부모의 신념의 측정값이 높을수록 대처방법의 적용이 많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r=0.2607, p=0.024)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볼 때 부모의 스트레스요인 및 신념은 부모의 대처방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만성질환아를 임상적으로 사정하고 환아와 가족에게 간호중재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이상의 변수들을 사정하여 효과적인 대처방법을 통한 건강한 가족발달에 기여하여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