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05 Download: 0

지역의 아이덴티티 강화를 위한 환경색채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Title
지역의 아이덴티티 강화를 위한 환경색채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Environmental Color Planning for buildup of the Region’s Identity : A case study on the color planning apartments at River Han
Authors
최선희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실내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경실
Abstract
Quality improvement and differentiation of the urban are becoming the nations' competitive power as it has entered a highly industrialized and information-oriented society. Cities in South Korea has been developed rapidly in the 70's since Japanese occupation and emancipation, however, indiscreet development plans created uniform landscapes and ashy artifacts that are isolated from the nature. Those cities impeded reciprocal relations among residents and brought about uncomfortableness in the psychological environments. This phenomenon created a terminology, uniformity of the urban areas, and its problem is being recognized as a serious issue. As a result, we need to take a look at our environments of the cities and seek out a plan to improve it. Cities as comprehensive artificial environments, in general, arrange many varieties of modeling such as buildings, roads, and plazas. They display their characteristics by giving prominence to the uniqueness of its place. E. Relph argued that ambiguous attitudes towards space of the place. Accordingly, a research on an approach to the problem needs to be done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to recover the place. Thus, a method of visually expressing the concept of the cities is said to be an efficient approach to the recreation of urban environments. Also, in order to reinvent cities of beauty and comfortableness that create a psychologically positive effect, analysis and plans that reflect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urban views should be established. The research would grant a new place to urban environments by readjusting the colorations of the buildings that take most urban landscapes. As a way of enhancing the colorations of the views that would strengthen the region's identity, the research will also attach a new place to urban environments by redesigning the colorations of the apartments that have formed centering on River Han, which has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waterside. To give a direction of the plan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waterside, I set a standard of external main colors based on an analysis of natural colors, and tried to embody harmonious plans of colorations from the total urban viewpoints. Next, I categorized the five viewpoints based on the axis of Han River in order to provide a frame of applications to colors. Among those five, I selected the two representative types of views, conducted a survey currently distributed colors of the apartments, and found a problem. Based on this, I conducted a survey, which is intended for the users, on the simulation image applied to the ranges of the main and the highlighted colors. After that, I studied on the city image and color image that match with the users' sensibilities by conducting a survey using psychological approach to the views. I also suggested an example of the simulation, which is about an improvement of the previous colorations of the apartments at River Han. I could reach a conclusion as followings. First, coloration plans of urban environment can improve reciprocal relations between human beings and the nature, and fulfill human beings' basic desires when approached from the ecological standpoints. Second, environment colors can help to better access to the complex urban environments when dealt more functionally. Third, it can be more effectively implemented when colorations that correspond to the actual people's sensibility were reflected. Finally, I could distinguish regional characteristics by approaching rational and unifying coloration plans of continuous environments, not individual structures. Also, systematic environmental colorations, which take relations with the nature into considerations distinguished the region's identity and promoted the beauty of entire urban environments. Accordingly, it provided people in the city with a new place and pride in the city.;오늘날의 도시는 고도의 산업, 정보화 사회로 들어서면서 도시의 질적 향상과 차별성이 국가간의 경쟁력으로 자리잡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의 도시환경은 일제 강점기와 해방기를 거치면서 70년대 이후 급속도로 발전하였으나 무분별한 계획으로 인한 도시성장에 따른 병폐가 발생하고 정체성을 알 수 없는 획일화된 도시경관과 자연과 격리된 회색빛의 인공물들로 넘쳐나게 되었다. 이러한 도시는 거주민들 사이의 상호 관계성을 저해시키고 심리적 환경에 쾌적성이 저하되는 도시의 모습을 만들었다. 이런 현상은 도시 공동화라는 용어의 발생으로 그 문제점이 심각하게 인식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현재 우리의 도시 환경을 살펴보고 도시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도시는 포괄적인 인공환경으로서 건축물, 도로, 광장 등 여러가지 조형요소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도시는 장소성에 대한 특성을 부각 시킴으로서 그 도시의 성격을 갖게 된다. E.Relph는 도시공간에 있어 장소성에 대한 불확실한 태도는 본질적으로 장소성이 없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장소성에 대한 이해 부족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장소성의 회복을 위해 도시 환경을 재창조할 수 있는 접근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도시 환경디자인을 바라보는 시민들의 이해도는 시자극의 정도가 높은 건조환경의 규모와 색, 형태 등 조형요소들과 심리적 교감을 함으로서 얻어지는 상징성에 관련된다. 따라서 도시의 개념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이 효율적인 도시 환경의 재창조 접근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심리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내는 쾌적하고 미적인 도시 환경을 재창조하기 위해서는 경관으로서 도시환경을 바라보고 도시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도시경관의 지역적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분석과 계획이 수립되어야 한다. 이에 본연구는 도시경관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건축물 색채의 재정비를 통해 도시환경에 새로운 장소성을 부여하고자 한다. 지역의 아이덴티티 강화를 위한 경관색채개선 방안으로 수변지구라는 지역적 특성을 가진 한강변의 하천축을 중심으로 형성된 아파트 색채의 재정비를 통해 도시 환경의 새로운 장소성을 부여하고자 한다. 수변지구의 특성을 반영한 환경색채 계획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한강변 자연색채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외부 주조색에 대한 기준을 설정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전체 도시 경관 측면에서 조화로운 색채계획을 구현하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구체적인 색채적용 방안의 틀을 마련하기 위해 한강변에서 자연 환 경과 함께 보이는 조망 시점을 한강축을 따라 5시점으로 분류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대표 경관유형의 두가지 시점을 선정하여 시점에 분포하는 아파트 현황 색채를 실측조사하여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설정된 주조색 범 위와 강조색 범위를 적용한 시뮬레이션 이미지에 대해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경관의 심리적 접근방법을 활용한 설문조사를 통해 이용자들의 감성에 부합하는 도시의 이미지와 색채이미지에 대해 파악 하 였다. 또한 수변경관축을 갖는 국외 도시의 사례조사를 통하여 그 특성을 파악 하고 랑크로의 지역색 분석방법과 색채계획의 접근방법에 대한 연구를 토대로 얻은 성과를 바탕으로 한강변 아파트 기존 환경색채에 대한 개선방안 시뮬레 이션 사례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지역의 아이덴티티 강화의 측면에서 접근하여 지역적 특성을 고 려한 아파트 환경색채계획의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과정을 거쳐 다음과 같 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도시의 환경색채계획은 생태학적 지각의 관점에서 접근할 때 인간의 기 본적인 욕구를 충족시키고 인간과 환경과의 상호 관련성을 증진시킬 수 있었다. 둘째, 환경색채는 기능적이고 합목적적으로 다루어졌을때 복합적인 도시 환 경에 보다 한 차원 높게 접근하는 것을 가능케 하였다. 셋째, 실제 도시민들의 감성에 부합하는 색채를 반영했을 때 보다 긍정적인 효과를 낼 수 있었으며 도시민의 문화적, 감성적 요구에 충족하는 환경을 제공 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개별 건축물이 아닌 연속된 건조환경의 통합적이고 합리적인 색 채계획의 접근을 통하여 지역적 특성을 살릴 수 있었으며 자연환경과의 관 계성을 고려한 체계적인 환경색채는 그 지역의 아이덴티티를 부각시켜 전체 도 시환경의 질적, 미적 개선을 도모하여 도시에 새로운 장소성을 제공하고 도시 민들에게 도시에 대한 자긍심을 강화시킬 수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환경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