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4 Download: 0

「신데렐라」발레의상 디자인 연구

Title
「신데렐라」발레의상 디자인 연구
Authors
황혜영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의상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인경
Abstract
In the 21st century, discrimination among genres is disappearing.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fiction of the "Phantom of the Opera," it is being performed as a production of a musical and movie, and domestically there is the movie titled "Scandal" which was produced as a movie of an adapted version of the classical 1782 French novel of the "Les Liaisons dangereuses," that had been cinematized for several times already, in compliance with the emotion of the Koreans. And also the classical ballet of the "Swan Lake" was reconstituted as a new dance musical by the male ballet group of the "New Adventures" which was led by Matthew Bourneand when it was first performed to the public, it was given a favorable reception from the audience. In the caseof Cinderella, it has not been successful since its first performance in 1945, but the Cinderella that was performed recently by the Monte Carlo ballet group is a well appraised work which is a harmonious reconciliation between the 17th century dress and ornaments and the 21st century aesthetics as reconstituted as an adult ballet to which the post-modernism aspects have been reflected apart from the existing fantastic and fairy tale like classical ballet. The common factors of such works in obtaining favorable appraisals from audiences are that the classical works were reconstituted in a modern way and that they have been harmonized with the visual stage art accordingly. However, in the case of the domestic ballet, it was very hard to find any diversityin design due to the lack in understanding about dance works, imitation of the existing ballet costumes, and limited material selections. The purpose of the study lies in the research of an autonomous design which is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western ballet by way of understanding the production intention of the dance works as related to the ballet costumes, and developing new materials. In this study, therefore, the ballet costumes that are varied according to the production intention have been studied by analyzing such works as the ballet Cinderella, etc. Particularly, the original work of Cinderella is a folk tale and similar tales are prevalent notonly in Europe but also in Asia like our country’s "Kong-Jwi-Pat-Jwi.";21세기는 장르의 구분이 없어지고 있다. 그 예로 소설 「오페라의 유령」의 경우 뮤지컬과 영화로 제작되어 공연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이미 여러 번 영화화된 1782년 프랑스 고전소설 「위험한 관계(Les Liaisons dangereuses)」를 우리나라 정서에 맞게 각색해 영화로 제작된「스캔들」이 있으며 또한 클래식 발레 「백조의 호수」는 매튜 본이 이끄는 남성발레단 「New Adventures」에 의해 새로운 댄스 뮤지컬로 재구성 되어 관객들에게 선보여 호평을 받았다, 「신데렐라」의 경우 1945년 초연 이후 흥행에 성공을 못하였으나 근래 몬테카를로 발레단에 의해 공연된 신데렐라는 기존의 환상적이고 동화적인 고전발레를 포스트모더니즘 양상이 반영된 성인 발레로 재구성 하여 17세기의 복식과 21세기의 미학을 조화롭게 융화시켜 좋은 평가를 받은 작품이다. 이 들 작품이 관객에게 호평을 받고 있는 공통점은 고전을 현대적으로 재구성 하였으며 그 에 따른 시각적인 무대예술과 조화를 이루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국내 발레의 경우 그 기량에 비해 보조 수단인 발레의상은 무용작품에 대한 이해부족과 기존 클래식 발레의상의 모방 그리고 한정된 소재 선택으로 디자인에 대한 다양성을 찾아 볼 수가 없었다. 이에 발레의상에 관해 무용작품에 대한 연출의도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새로운 소재개발을 하여 기존의 서양의 발레와는 차별화된 독자적인 디자인을 연구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발레 신데렐라를 작품들을 고찰하여 연출 의도에 의해 변화되는 발레의상에 관해 연구를 하였다. 특히 원작인 신데렐라는 민담으로서 유럽 뿐 아니라 아시아에도 유사한 이야기들이 많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콩쥐팥쥐가 있다. 이러한 사실로 볼 때 신데렐라는 시대적 가치관과 동양의 시각에서도 바라 볼 수 있어 다양하게 해석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위한 이론적 전개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의상 디자인에 관하여 일반적인 고찰을 한다. 둘째, 발레의상의 개념을 알기 위하여 발레에 관한 역사적 고찰과 그 에 따른 의상 의 변천과정을 알아본다. 셋째, 실질적인 작품 배경이 되는 신데렐라의 기존 작품 로얄 발레단과 몬테카를로 발레단 사례연구를 통해 신데렐라 의상의 차이점을 알아본다. 넷째, 이를 근거하여 연구자의 실질적인 작업을 위한 발레의상 작품 계획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다섯째, 연구자의 발레 의상에 관한 소재 개발에 관해 서술한다. 여섯째, 위의 연구 과정을 통해 신데렐라 3벌, 요정1벌, 새엄마1벌, 새언니(1) 1벌, 새언니(2) 2벌, 왕자 1벌 총 8벌로 작업을 전개 한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궁정 무용에서 발전한 발레는 현대에 이르러서 크게 고전 발레와 현대발레로 나뉘었으며 고전발레가 정해진 형식을 중요시하는 반면 현대발레는 안무나 형식에 자유로웠다. 둘째, 로얄 발레단과 몬테카를로 발레단의 「신데렐라」작품 분석을 통하여 같은 주제라도 안무의 장르나 의도에 따라 의상의 다양한 변화를 알 수 있었다. 고전 발레 작품의 로얄 발레단의 경우 클래식 튀튀와 같은 고전발레의상의 형식을 가지고 있었지만 현대 발레인 몬테카를로 발레 작품에서는 17세기복식과 현대를 조화롭게 사용하여 탈구조주의적인 발레의상을 선 보였다. 하지만 그랑디 바의「백조의 호수」의 작품과 같이 현대발레에서도 클래식 튀튀 의상이 현대 발레에 사용 되는 것은 발레의상은 형식이 존재 하지만 장르와 안무자의 의도에 따라 사용되어 짐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로얄 발레단이 외관상 환상적이며 동화적인 발레로 원작에 충실한 남성 중심적 의미구조로 작품을 해석하고 몬테카를로 발레단이 기존의 격식과 선입견에서 해방되어 과거와 현재라는 연속적인 시간성을 분절하여 공시태화 시키는 탈 구조적인 해석을 했다면 연구자는 원작을 여성의 억압과 자연의 위기를 동일하게 보는 에코페미니즘 적 시각에서 바라봤다. 따라서 오랜 동안 점철 되어 왔던 남성 중심적 가치관에서 남성과 여성을 상하 구조로 나누어진 비교가치가 아니라 더불어 존중하는 관계가치 그리고 물질 만능과 기계론 적 현대사 회와 자연, 동양과 서양의 조화와 균형 등을 반영하고자 하였다. 넷째, 따라서 극의 전체적인 컨셉 에코페미니즘으로 근래에 사회에 만연히 퍼져있는 서양의 물질 만능 주의에 지친 현대 사회에서 자연으로 회귀하고자 하는 욕구를 동양의 종교와 정신, 수련 문화 속에서 내면의 정서적 안정을 찾고 있음에 영감 을 얻어 자연의 소재인 닥 섬유를 이용한 수공예적인 의상과 우리나라 오방색인 청, 백, 적, 흑, 황의 색상을 사용하여 동양의 미를 가미한 의상을 만들 수 있었다. 다섯째, 닥 섬유의 얇고 가는 망의 구조의 빛의 투과성과 염색 시 아름다운 색상은 동양적인 신비로움을 표현 할 수 있었다. 여섯째, 닥 섬유가 가지고 있는 전통성에 인물 성격을 나타내고 자연과 현대의 조화를 표현하기 위하여 수용성 부직포를 이용하여 쉬폰, 노방, 비즈 등과 함께 자수와 누비기법으로 재구성하였다. 따라서 수용성 부직포의 접착 심은 극중 인물의 성격을 부각시키는 독창적인 소재를 만 들 수 있었으며 패턴에 의한 원단 제작으로 불필요한 원단의 낭비를 막을 수 있어 부가가치가 높은 소재 개발과 독자적인 성격을 띤 발레의상을 만들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보았을 때 작품 연출의도에 관한 이해를 통해 디자인의 다양한 해석을 할 수 있었으며 그것은 한국의 문화를 차용하여 새롭게 재구성 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었다. 이는 국내 발레의상들이 가지고 있는 디자인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서양의 발레의상과는 차별화된 다양하고 독자적 디자인을 제시할 수 있으며 그로인해 국내의 발레 작품에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패션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