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14 Download: 0

요하네스 베르메르(Johannes Vermeer)의 풍속화 연구

Title
요하네스 베르메르(Johannes Vermeer)의 풍속화 연구
Authors
최정아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성은
Abstract
본 논문은 17세기 네델란드의 화가 요하네스 베르메르(Johannes Vermeer 1632-1675)의 풍속화(genre painting)에 대한 연구이다. 바로크시대 사실주의 기법의 대가로 알려진 베르메르는 빛과 색채의 마술사로 평가되어 왔다. 특히 베르메르의 풍속화는 주로 17세기 네델란드의 중산층의 실내 정경을 묘사한 작품이 다수를 차지하는데, 동시대 화가의 화면이 서술적인 반면 베르메르의 화면은 시적인 특성을 지닌다. 이러한 베르메르의 화면을 이해하기 위해, 작품속에 걸려있는 '그림'에 해석의 초점을 맞추고, 당대 사회에 유행하던 엠블렘 집(emblem book)의 연관성을 통해 베르메르의 화면 해석에 도상학적인 방법을 적용하였다. 17세기 당대 네덜란드는 종교적으로는 칼뱅주의가 중심을 이루면서 여타 종교에 대해 관용적이었고, 정치적으로는 스페인으로부터의 독립후 평화주의를 지향하였다. 또한 경제적으로는 '황금의 시대'로 알려진 네덜란드사상 유래 없던 경제적 부흥기를 맞이하였다. 독립을 위한 오랜 동안의 전쟁과 원격지 부역, 그리고 남부 벨기에 지역으로부터의 이민자의 수용은 다양한 문화적 근원을 배태한 도시 중심의 자율적인 시민 사회를 발전시켰다. 이러한 네덜란드 시민 사회는 1579년 위트레흐트 조약을 통해 칼뱅교를 국교로 공인하였고, 칼뱅주의는 성상 사용을 배격하면서 세속적 미술의 발전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이들 세속화 중에 17세기 시민 사회의 모습을 가장 잘 반영한 회화 장르는 풍속화였으며, 오늘날 사용되는 '일상의 재현'이라는 풍속화의 정의는 19세기 초 프란츠 쿠글러에 의해 확립되었다. 베르메르는 '황금의 세기' 경제적 번영의 중심지인 홀란트주 델프트(Delft)시에서 활동하였고, 그의 작품은 주로 도시 중산층의 삶을 묘사하였다. 예를 들어 베르메르의 실내 풍속화에는 그 시대를 반영하는 군인, 학자, 화가 그리고 집안 일을 돌보는 여인의 모습과 당대 시민들이 소유하고 있던 다양한 생활 모티프 즉 악기, 테피스트리, 파이앙스, 그리고 벽에 걸린 그림, 지도 등이 이를 증명하고 있다. 특히 벽에 걸린 그림과 거울, 지도는 당대 시민 사회의 중심을 이루는 부유한 중산층의 실내 모습을 표현하고 있으며, 또한 이는 당시 미술품 매매의 활성화와 미술 시장의 확대를 증명하는 자료로 볼 수 있다. 베르메르의 실내 풍속화는 표면적으로 17세기 네덜란드 중산층의 삶의 모습을 담고 있지만 사실적 화면의 이면에는 대기의 흐름처럼 보이지 않는 상징적 의미가 화면 전체를 부유하고 있다. 본 논문은 베르메르의 작품 속에 등장하는 다양한 모티프들 중에서 당대 사회를 반영하는 '그림 속의 그림' 모티프를 중심으로 작품을 분석하였다. 이들 벽에 걸린 '그림'에는 종교화, 큐피드 상, 풍경화, 풍속화 등이 있으며, '그림 속의 그림'의 위치에 걸려 있는 거울과 지도 또한 그림의 범주로 보았고 당대 문학의 주류를 차지하던 엠블렘 집이 제시하는 상징 모티프를 연결시켜 해석하였다. 그럼으로써 베르메르의 풍속화가 17세기 당대 시민 사회의 취향을 반영할 뿐 아니라 그 시대의 정신과 역사 그리고 진정한 삶의 모습 즉 일상 속의 일과 사랑 그리고 예술에 대한 열정을 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베르메르의 실내 풍속화에서 '그림 속의 그림'이라는 새로운 창을 통해 17세기 네덜란드 시민 문화를 들여다보고, 엠블렘 집의 모티프를 차용한 화면을 해석함으로써, 전통적인 예술론이 주장하는 '시는 그림처럼 Ut pietura poesis'이라는 명제를 네덜란드 바로크 미술에서 재확인할 수 있었고, 베르메르의 풍속화를 확장된 도상학적 방법을 통한 해석을 시도하였다는데 본 논문의 미술사적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genre paintings by Johannes Vermeer(1632-1675) who worked in Netherlands in the seventeenth century. Vermeer known as the magician of the light and colour i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great Dutch master-painters in the baroque period. He created a number of genre paintings which represented Dutch middle class's life in the seventeenth century. While the contemporary artist's surface is narrative, but his one is poetic. To understand his poetic painting, this thesis is concentrated to 'the picture' on the wall and applied iconographical method for the interpretation of symbolic motifs from the new literature mode emblem book at the time. In the seventeenth century, the Netherlands was controlled protestantism and also tolerated various religious beliefs. After the independence form Spanish despotism, they inclined pacifism in political aspect. In this period which became known as the 'Golden Age', Netherlands developed the economy. The long time war for the independence, oversea trades and the tolerance for the refugees who came from southern Netherlands expanded liberal civic society which the diversely originated culture was centered. The dutch civil society approved Calvinism to their state religion through the treaty of Utrecht. For that reason Calvinism excluded to use religious art, secularism affected in the art world. The most obvious manifestation of the seventeenth century civil life among secular paintings, is a genre painting. The modern definition 'Genre paintings are the representation of everyday life' has been used since it was stated by Franz Kugler in the early nineteenth century. Johannes Vermeer acted in Delft city which was one of the economic centre of prosperous Holland in the Dutch Golded Age. His work shows everyday life in the city of Delft in the Netherlands. In his painting, soldiers, scientists, artists, house-wife who are reflected this period and various motifs taken from domestic life which are musical instruments, tapestries, faience and the picture on the wall, maps are appeared. Especially the picture, mirror and the map on the wall said how rich middle class was. It is proved what the art trade and the art market were increased. Athough Vermeer's interior genre paintings apparently include a dutch middle class's life in seventeenth century, the other side symbolic meanings are floated all over the surface like the stream of air. This thesis aims to analyze 'the-picture-within-the-picture' which reflected civic society at the time. On the wall, there are religious paintings, cupid figures, landscapes, genre paintings, and also mirrors, and maps are replaced the picture. It could be interpreted through symbolic motifs which are selected in emblem book. Therefore it is possible to know that his genre paintings commented as much the taste of dutch civic society in the seventeenth century as the spirit of golden age, history, and their true life that is to say work, love and the passion for the art. We could look in at the dutch civic culture in seventeenth century by 'picture within the picture'. It is certified that 'Ut pictura poesis' which traditional art theory has been maintained, though explaining the relation between genre paintings and symbolic motifs from an emblem book, realized in the seventeenth century. It is an important attempt to use extended iconographical approach for the interpretation of Vermeer's genre paintings in the art histor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