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9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장필화-
dc.contributor.author허정은-
dc.creator허정은-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22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22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42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604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42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여성 한부모들이 처하게 되는 사회적 조건 속에서 이들 자신이 힘을 기르는 진행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지지 집단 형성 과정을 중심으로 자신과 가족의 건강한 삶을 재명명하는 역동적 과정들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한국 사회에서 다양한 형태의 가족 출현은 전형적 가족에서 벗어난 일탈적이고 비정상적인 결손 가족 으로 호칭되어져 왔다. 이러한 입장에서는 여성 한부모는 가족 구조의 결손 자체로 인해 무기력한 희생자 로 간주되거나 가족 해체의 주범으로 인식되어왔다. 그러나 여성 한부모 가족을 그 자체로도 온전하고 강건한 하나의 가족 체계로 바라보는 것에서 출발할 때 비로소 이들이 처한 경제적, 법적, 심리적, 문화적 조건들이 어떻게 여성 한부모들의 지위를 맥락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조건적 제약 속에서도 여성 한부모들 스스로가 건강한 삶을 재구성해 나가기 위하여 힘을 기르는 실천들에 어떻게 참여하고 있는지를 논할 수 있다. 한부모 라는 용어의 재명명 역시 이들 가족을 하나의 온전하고 존립가능한 가족 체계들 중의 하나로 보고자 하는 인식의 전환을 함축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지위 향상과 권리 확보에 대한 사회적 변화의 지향성을 담아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부모 가족이 개별적으로 경험하는 사회적 낙인과 편견, 고립감과 소외감은 사회구조적 맥락 속에서 구성되는 것이며, 동시에 한부모 가족 여성가장은 이러한 사회구조적 영향력에 일방적으로 영향을 받는 수동체가 아니라 삶의 조건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적극적인 행위자들로 위치 지우고자 한다. 여성 한부모들은 자신이 처한 주변적 지위에 적응하고 순응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에 대한 정상/비정상 주류적인 이분법에 저항하고 새로운 인식을 발전시킨다. 그렇다고 해서 모든 여성 한부모가 균일한 방식으로 힘을 기르게 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어떤 방법으로 한부모 여성들의 주변성(marginality)이 그녀 자신들과 사회 속에서의 자신의 지위를 재정의(redefine)하게 만드는가, 어떻게 그들은 자신들에게 부착된 사회적 낙인을 거부하는가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여성 한부모의 힘 기르기 진행과정에 대한 분석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가족들에 대한 대안적인 여성주의적 개입 전략(Alternative feminist intervention strategies)에 관한 실질적 내용을 규명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하여 여성 한부모들의 경험과 인지를 드러낼 수 있는 질적인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대상자인 여성 한부모들은 지지 집단 형성 과정을 통해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자신을 성찰할 계기를 가진 사람들이며, 보다 적극적으로 삶의 복지와 안녕을 확보하기 위한 힘 기르기 진행과정에 참여하고 있는 자들이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사실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들은 한부모가 되고 나서 결혼, 가족에 대한 자신의 기대, 혹은 당연하다고 여겨왔던 양부모=정상, 규범 을 새롭게 바라볼 수 있는 관점을 갖게 된다. 즉 이들은 여성 한부모가 되는 과정에서 새로운 인식을 얻게되는데, 여성 한부모가 되는 상황이 그들 자신을 재정의하는 가능성을 생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분법적인 정상/비정상 가족에 대한 구조적·정치적 분석은 자신의 삶의 경험에서 나오는 것이다. 여성 한부모들은 자신들을 능력없고, 무능력하고, 비도덕적인, 비정상적으로 보는 것을 거부하지만, 모든 여성 한부모가 이러한 힘을 기르게 되는 것은 아니며 각자가 처한 조건과 성찰의 정도, 지지 집단 안에서 인식 변화 수용의 정도에 따라 사회 속에서 자신의 지위를 재정의(redefine)한다. 둘째, 여성 한부모들이 경험하고 인지하는 문제들을 살펴본 결과, 이들은 노동시장에서의 저임금, 장시간 노동, 불안정한 고용과 같은 장벽에 직면하게 될 뿐만 아니라 자녀양육에 있어서 사회적 편견과 낙인을 경험한다. 또한 법적으로도 자신이 온전한 하나의 가족을 이루어나갈 수 있는 제도적 차원의 결핍을 인식한다. 그러나 여성 한부모들은 이러한 장벽들을 극복해 나가는 과정 속에서 자신의 힘을 재발견함으로써 한부모에 대하여 자신을 무기력한 희생자로 그려내는 사회적 낙인을 거부하고 자신의 능력있음과 독립감, 자율성, 성취감을 이야기한다. 셋째, 여성 한부모들은 지지 집단 형성 과정을 통해 가부장적 사회 속에서 여성으로서 살아왔던 자신을 성찰할 계기를 갖는데, 이는 여성 자신의 힘을 기르는 과정이 된다. 이들은 사회적 연결망 동원을 통하여 여성 한부모들은 사회적 고립감과 위축감, 편견과 낙인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대처한다. 즉 나를 이해할 수 있는 사람 을 통해 지지, 조언, 이해를 얻을 수 있고, 어떤 일에 직면한 경험, 대처방안 등에 대해 다른 여성 한부모의 경험이 역할 모델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자신과 처지가 비슷한 사람들끼리 의사소통과 상호작용은 여성 한부모 자신의 규범, 가치, 신념, 기준을 발전시키는 가능성을 생산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정체성의 위기와 관련된 분노나 좌절감 혹은 상실감을 극복하고 자녀에 대한 죄의식이나 보상심리에서의 변화 등을 경험하기도 한다. 그러나 여성 한부모들은 성(Sexuality) 문제에 있어서는 여성들의 인식이나 대처방식이 여전히 한국 사회 남성중심적인 성 문화, 규범 안에서 한계점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성 한부모들은 자신이 당면하는 문제들이 개인적 능력의 부족이나 잘못이 아니라 사회 구조적 차원에서 발생되는 것이며, 따라서 이에 대한 문제 해결을 위해 여성 한부모 자신들이 사회적 차원의 인식 및 제도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한 자신들의 목소리를 집단적으로 드러내기도 한다. 즉 여성 한부모들는 유사한 경험을 갖고 있는 다른 사람들과의 만남을 통해 상호 지지와 격려를 얻음으로써 내면적 힘을 기를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한부모 가족 지위 향상과 권리 확보를 위한 세력화를 시도함으로써 자신을 재명명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은 여성 한부모들의 개인적 경험이 사회적 구조와 어떻게 연관되어져 있는지를 인식하게 되는 통로가 되며, 동시에 여성 한부모들이 정치적 의사소통의 장을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부모 여성들은 자신과 자녀가 직면하는 문제들이 개인의 내부적인 잘못 때문이 아니라 노동시장에서의 성별 차별, 사회적 지원의 미비, 낙인과 편견, 이혼 및 양육지원법 등 법체계의 결핍 등을 인지하고 이에 맞서게 된다. 본 연구는 여성 한부모 자신이 가족을 재구성해나가는 일상 경험을 통해 직면하게 되는 정상 가족에 대한 여성 한부모 자신의 인식의 변화와 사회구조적 맥락에 대한 인지의 획득을 통해 스스로 힘을 기르는 적극적 행위자로 바라봄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가족들 중 하나로서 한부모 가족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는데에 그 의의가 있다. 기존의 가족 중심적 접근은 정상/비정상 이분법적인 구도아래에서 남성 가장 = 생계부양자 역할만을 전제하고 여성 한부모를 무기력한 희생자로 간주하며, 이들에 대한 빈곤 탈피에만 초점을 두어왔다. 여성 한부모들이 처한 사회구조적 맥락 속에서 개인적이고 집합적인 힘을 기르는 진행과정에 직접적으로 참여한다는 사실은 이들이 가부장적 남성중심적 사회 속에서 생존자 임을 반영한다. 이 같은 연구 결과로 볼 때 여성 한부모가 경험하는 문제들을 둘러싸고 있는 억압적인 전형적 가족 제도, 규범 및 이데올로기에 대한 실천적인 여성주의적 개입 전략이 요구된다 하겠다. 다시 말해 여성 한부모 가족이 온전하고 강건한 하나의 가족 체계로 인정할 때 정당한 권리로서의 여성 한부모의 요구(needs)를 제대로 파악하고 이를 위한 정책적 대안을 새롭게 모색할 수 있게 될 것이다.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empowering process has been formed and produced in the lives of women hanbumo, who struggling against economic, cultural, legal, and psychological conditions. The conventional approach toward the issue has been focused on women hanbumo as the helpless victim and reproduced social bias for the broken . In those discourses the issue tends to emphasize the dominant ideologies of normative family. This kind of perspectives, however, fails to reveal the problem around women hanbumo has been victimized women as individual s incompetence, dependency, helplessness. In other words, our society does not only acknowledge the existence of women hanbumo as the acceptable heads of the viable family system, but also social discrimination and stigma committed violence on them. Influenced by the work of feminists, the needs and existence of diverse family systems has been promoted. The single-parent family headed by women, for example, is viewed as a viable system that can be strengthened through empowering strategies and other utilization of external support systems. Extremely influential in feminist approaches to social science, feminist standpoint theory suggests the socially oppressed class can access knowledge unavailable to the socially privileged, particularly knowledge of social relations. Standpoint Theory views women s marginal position in society as a potential benefit instead of just an oppressive situation for women. Prior to this standpoint theory, feminists described women s marginal position in society. This epistemic advantage due to a marginal position in society is the "Standpoint Theory." Based on feminist standpoint theory, this study analyzed women s experience and their knowledge about the world. Empowering process for women hanbumo by examining on their awareness, networking, self-help group, and political motivation which can be applied to practice with diverse family systems. The thorough in-depth interview with 11 women hanbumo and the literature review were performed as the research method to identify the actual content of alternative intervention strategies for diverse families through analyzing empowering process. The major finding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ir needs on well-being is not restricted on anti-poverty. Overcoming the economic hardships is also important, by recognizing cultural stigma and labelling on the absence of male breadwinner, lack of social and legal systems for reorganizing their own family system, women hanbumo recognizes that the personal is the political. Both policy changes and interventions at the individual level to enhance the welfare of themselves is advocated. 2) In the daily life, in spite of increasing responsibilities and becoming overloaded women hanbumo recognize the strength of one-parent units headed by herself. In contrast with the conventional discourses on the fatherless family which viewed women hanbumo as deficient, helpless victims, women habumo themselves be aware of their competence, capabilities, independency and satisfied with decision-making and controlling their own life. 3) By participating to self-help group they redefine the boundaries of functional family norms, and aware the interface between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problem areas through the empowering process. In the support members of similar peers, naming them as hanbumo express empowerment and collective power to redefine themselves. Promoting empathetic understanding, mutual aid, and ventilation of unsolved feelings and conflicts. Not only raise consciousness, networking work as one of the ways to create external changes in the context of our society. For example, including the gender gap in earnings, women hanbumo struggle against discrimination on job-entry and secure stable job. Whether the executive system is divorced, separated, widowed, or never married, emphasis should be placed on identifying potential sources of support that can be mobilized to enhance the families well-being. Feminists interventions, guided by tenet that the individual is political, are aimed at the social, political, and economic advancement of women. Normalization of the single-parent families can be expected to parallel women s advancement in general. Women hanbumo will be empowered by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the activities for social changes and to politicize through the collective movements for women s advancement. Hope that this study will be the logic of actual assistance to single-parent families in addressing their problems, a reference to social workers and policy-makers in welfare institutions or human service organizations who willing to support them. Viewing them as viable systems make a step.-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I 제1장 서론 = 1 A.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 1 B. 연구 방법 및 연구대상 = 7 1. 연구 방법 = 7 2. 연구과정 = 8 3. 연구대상 = 10 4. 사례 기술 = 11 5. 여성 경험과 이름짓기(naming)의 문제: 한부모 용어 = 24 제2장 여성 한부모에 대한 여성학적 접근 = 27 A. 인구학적 통계를 통해 본 여성 한부모 및 가족 = 29 B. 주변성(marginality)에 대한 여성주의적 재해석 = 34 C. 힘 기르기 실천(empowerment practice)에 관한 논의 = 37 D. 연구모형의 구성 = 39 제3장 한부모가 되는 과정에서 얻게 되는 새로운 인식 = 41 A. 가족에 대한 기대와 신념, 가족 내 여성의 역할에 대한 인식 = 42 1. 이혼 여성과 사별 여성의 한부모됨 수용의 차이 = 42 2. 가족=이해와 지지의 공간 이 아님을 깨달음 = 45 B. 여성 차별적인 사회에 대한 인식 = 49 1. 여성 차별적인 노동 시장과 남성 가장에 대한 의존 강요에 대한 인지 = 50 2. 남성 가장 중심적인 부계혈통 가족의 불합리성에 대한 인식 = 54 C. 가부장적 가족 유지 기제에 대한 인식 = 59 1. 양부모 가족=정상 가족 중심적인 교사의 태도, 교과 과정 및 재량 활동에 대한 비판 = 60 2. 공고한 결혼 제도와의 연관성 = 64 제4장 여성 한부모의 지지 집단 형성 과정 = 69 A. 가족 내 남성 부재 에 대한 여성 한부모의 재정의 = 69 1. 자기 성장의 원동력과 더불어 사는 자녀 = 70 2. 독립감, 자율성, 의사결정을 통한 자기 존재감의 획득 = 74 3. 가부장적 성 문화 규범의 장벽: 여성 한부모의 성(sexuality) = 76 B. 지지 집단 형성 과정에서 나타나는 여성 한부모의 힘 기르기 = 82 1. 삶을 재해석하는 자원: 상호 지지와 격려, 역할 모델, 치유의 과정 = 83 2. 네트웍 형성을 통한 정치적 동기화(political motivation) = 88 제5장 결론 및 제언 = 94 참고문헌 = 9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7033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여성 한부모의 힘기르기(enpowerment)와 지지 집단 형성 과정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여성학과-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