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2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옥조-
dc.contributor.author최임선-
dc.creator최임선-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19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19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17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602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177-
dc.description.abstract자연은 인간의 역사가 시작되기 이전부터 오랜 시간동안 가장 이상적인 형을 찾아 질서정연한 법칙에 의해 생성, 성장, 변화된 것으로 그 자체가 지닌 신비로움과 아름다움은 인간에게 늘 동경의 대상이었으며, 예술표현의 대상이었다. 또한 인간은 자연을 통해 자신의 존재를 인식하고 자연의 섭리 안에서 미의식을 형성하였다. 이렇게 자연으로부터 생성된 미의식은 인간에게 자연의 아름다움을 모방, 재현, 재창조하는 예술행위를 가능하게 하였으며, 예술행위는 인간의 정신적 이미지를 볼 수 있는 예술작품으로 낳게 하였다. 본 연구는 연(蓮)에서 나타나는 내·외의 양면적 특성을 주관적 시각과 내면적 의식표현을 통해 도자 예술로 연(蓮)의 이미지를 표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내용은 연(蓮)을 대상으로 하여 자연과 조형이라는 이론을 바탕으로 연꽃의 상징적 의미를 이해하고, 연(蓮)의 생성, 성장, 변화에 따른 형태의 다양성과 구조적 특성을 통해 조형성을 추구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생명의 근원이고, 예술의 모체인 자연과 조형과의 관계에 대한 문헌을 조사하고, 연(蓮)의 형태적 특성을 중심으로 조형성을 연구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의 표현내용과 관련 있는 선행 예술작품을 살펴보았다. 조형 과정에서는 연(蓮)의 구조적 특성을 살려 작품을 제작하고 연(蓮)의 내재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상징성과 형태의 조형성을 연구하였다. 작품제작방법으로는 작품의 자유로운 표현을 위해 코일링(coiling)기법을 주로 하였으며, 도벽제작은 판 성형을 사용하였고, 작품중의 일부는 군집적 성격을 강조하기 위해 압축성형과 이장주입성형을 병행하였다. 태토는 성형이 자유로운 석기질 점토를 사용하였고, 이장주입성형시 자기질인 실크화이트를 사용하였다. 유약은 형태의 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색상의 무광택유를 분무시유하였으며, <작품 1>과 <작품 2>는 부분적으로 결정유를 사용하였다. 소성은 870℃를 최고온도로 8시간동안 1차 소성을 한 후, 2차 소성은 0.5㎥<작품 2, 4, 6, 7, 8>와 0.3㎥<작품 3, 9, 10> 가스가마에서 9시간동안 1250℃를 최고온도로 산화염 소성하였고, 0.3㎥<작품 1, 5> 가스가마에서 1250℃를 최고온도로 환원염 소성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에서 예술은 자연을 보는 주관적 시각에 따라 자연 현상에 내재된 미의 요소가 해석자의 전개방식에 의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으며, 연(蓮)의 이미지는 시대적·지역적으로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연(蓮)이 가지고 있는 상징적 의미와 구조적인 특성을 연구함으로써 작품제작에 있어 다양성을 모색하게 하였으며, 본 연구를 통해 연구자는 앞으로도 연(蓮)의 이미지를 조형화 하는데 있어 더욱 깊이 있는 조형표현이 이루어질 것을 기대해본다. ; Nature, even before mankind appeared on earth, had created, processed and altered the most ideal form and shape through an orderly system called law of nature. This process has been throughout the ages, a subject of mystery and wonder for mankind; and thus has been an inspiration for art. It is through nature that mankind is able to identify itself; and as a part of nature, able to develop the idea of aesthetics. Aesthetics derived from nature therefore enables man to express, imitate, and recreate its beauty through art.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symbolism and structural form of lotus plant under the broader theme of Nature and Form. It places its purpose at expressing both the subjective and subconscious expression of lotus plants symbolism and structure through the medium of clay. This research was conducted, first by recognizing and understanding the symbolic significance of lotus plants. Second, the variety of shapes and forms this plant changes into through the alteration process of creation-transition-alteration is identified and observed. Third its distinctive structural make-up was studied in details. Next, past artworks of similar shape or subject matter to this research was studied. Finally the researchers expression of the lotus plant was thought-out, designed and recreated through the medium of clay. During the designing process, the distinctive qualities of lotus plants structural forms were put into high consideration. Symbolic significance of lotus leaf, seed and flower as well as its shape was also put into consideration. For production of the art pieces included in this study, coiling method was mainly used; and for tile works slab construction was utilized. As for a group work multi-piece artworks, some of them were produced using compressive modeling method while others were constructed through slab building. For clay, sculptural clay with grog mixture was used because it allows freedom in formation; and for slip casting, silky porcelain types were used. Considering each pieces distinctive form, a wide variety of colors of matt glazes were applied with a spray gun. Parts of <Artwork 1> and <Artwork 2> were also applied with glazes. All the pieces were first bisque fired at highest temperature of 870°C for the duration of 8 hours. Then they were glaze fired in 0.5㎥ <Artwork 2,4,6,7,8> and 0.3㎥ <Artwork 3,9,10> gas kilns for duration of nine hours at the highest temperature of 1260°C in oxidized atmosphere. <Artwork 1> and <Artwork 5> were glazed fired in a 0.3㎥ gas kiln, also for nine hours at the highest temperature of 1250°C, in a reduction atmosphere. This study has shown that even subjective images of immanent nature, when expressed through art, is altered according to the viewers aesthetic values, views and methods of communication. These expressional images of lotuses are distinguishable,both historically and regionally. Through observing past works of art on lotus flower, leaf, seed or reed, one is able to clearly identify its distinctive shapes and forms. Through this study and its results the writer looks forward to creating and expressing lotus plants in higher levels of artwork than befor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ix I. 서론 = 1 A. 연구의 동기 및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 1 C. 연구의 방법 = 2 II. 자연과 예술 = 4 A. 자연과 조형 = 4 B. 연(蓮)의 일반적 고찰 = 5 C. 연(蓮)의 상징성과 이미지 = 12 III. 연(蓮)의 이미지를 표현한 조형성 연구 = 20 IV. 작품제작 및 해석 = 29 A. 조형 과정 = 29 B. 작품제작과정 = 42 C. 작품해석 = 49 V. 결론 = 69 참고문헌 = 71 ABSTRACT = 7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5397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연(蓮)의 조형적 특성을 통한 도자조형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도예과-
dc.date.awarded200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