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94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홍나영-
dc.contributor.author천호정-
dc.creator천호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18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18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8012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601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0128-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investigated Fan Dance and Crown Dance clothes of Kim Baik Bong, a representative dancer who performed the Korean new dance(新舞踊). The Korean new dance is a transitional product which appeared in the process that the traditional Korean dance was transformed into the modern dance. It is performed at the Western style stage so that an audience can see a performance in front of dancers. On the other hand, the traditional Korean dance is performed at an arena so that an audience can see the performance from every direction. The representative Korean new dancers are Bae Gu-Ja(裵龜子), Cho Taek-Won(趙澤元), Choi Seung-Hee(崔承喜), Song Beom(宋范), and Kim Baik Bong(金白峰).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ance clothes in Fan Dance and Crown Dance created by Kim Baik Bong, the dances most widely popularized and generalized in modern times. The Korean new dance clothes represent the content of a dance performance differently from one for the Korean royal court dance focusing on courtesy. Its best feature is to deliver dancers' breathing as well as their dancing steps. As many different traditional clothes are remodeled or its structure is changed to attract the eyes of an audience, the Korean new dance clothes makes behavioral activities stand out and silhouettes look slim. The Korean new dancers shared or passed down their repertories each other. They also wore the clothes used in the original work even though a different choreographer took the lead in performance. The Korean new dance was able to carry on the tradition in the Korean dance world through this method of sharing works and dancers' efforts to popularize their works. For the early Fan Dance clothes in 1954, the clothes shown in Go-gu-ryeo murals was applied. A short jacket(Jeogori) was made of golden Yangdan and a H-line skirt was made of red velvet. Dancers put up their hairs in a circular pattern, decorated Jin-ju on the edge head, and put a black Jokduri decorated with the Chil-bo. They used Sambulseon(三佛扇) in her performance . When a dance company was dispatched to Cambodia in 1964, the dance clothes was changed into Dang-ui(唐衣) made of golden Yangdan and an A-line skirt made of red silk. They used peony fans instead of Sambulseon. with 1968 Olympic Games in Mexico as a momentum, Fan Dance was redesigned from a solo dance to a group dance. A solo dancer wore the same clothes without change. Dang-ui for a group dance was jade green and pink with Bo(補) and a skirt was red and light purple. During the period between 1968 and 1980, a solo dancer used a red Hwa-gwan, while group dancers used Hwa-gwan in jade green and pink according to the color of Dang-ui or red Hwa-gwan regardless of the color of Dang-ui. The clothes of Crown Dance first performed in a classical form in 1947 were one that phoenixes and orchids were embroidered on Nokwonsam(綠圓衫), the traditional wedding clothes. Crown Dance clothes were made of red silk. It was Hwarot(활옷) which phoenixes and frets were colorfully embroidered on the symmetric collar similar to Wonsam(圓衫). Dancers put Hwa-gwan on the head and hung a Ap-daeng-gi. Crown Dance was also reorganized from a solo dance to a group dance in 1968. A solo dancer wore the same clothes without change. Group dancers wore Hwangchosam(黃綃衫) and navy skirts. They tended to put Hwa-gwan decorated with pink flowers on the head. There were lots of changes in the clothes worn in Crown Dance performed by 2,000 group dancers in the opening ceremony of 1988 Olympics in Seoul. Jeonhaeng-ut-chima(전행웃치마) and Hapi(하피) used as court dresses were added. A solo dancers had Bicheongye(飛天髻) hair style. Some group dancers decorated Ddeol-jam(떨잠) on Eo-yeo-meo-ri(어여머리). A solo dancers and some of group dancers wore Hwarot embroidered with peony patterns on a white ground and other group dancers wore Hwangchosam and Nokchosam(綠綃衫). Male group dancers wore Dallyeong(團領) with Hyungbae(胸背) and Bo(補) over traditional Korean pants(Baji) and jackets(Jeogori). Since 1988 Olympics, Crown Dance group dancers have worn white Hwarot and Hwangchosam, while male group dancers have worn red Dallyeong. Dancers used both a Jokduri and a Hwa-gwan different in the shape and decoration. There was no clear division between a Jokduri and a Hwa-gwan among ordinary people and dancers. The name was differently called by area. While a Jokduri was called a Hwa-gwan in a certain area, it was called on the contrary to this. In general, dancers tend to name a round Jokduri, but a sharp Jokduri a Hwa-gwan. It is necessary to classify them clearly from now on. Fan Dance and Crown Dance clothes were usually made of light, luxurious, and lustrous materials, embroidered with many different patterns, and splendidly decorated with spangles and beads. Kim Baik Bong developed 'Ko-Shoes', a pair of Korean dance shoes, which had not previously been used before the end of 1950s. 'Ko-Shoes' has currently been used in the form applied in many ways in many different performance fields. This study intended for articles and pictures shown in several printed media based on Kim Baik Bong's statements. It has a significance in reviewing changes over the time and contemplating traditional Korean clothes used in the dance performance, one of performing arts. Moreover, it found out dancers efforts to inherit traditional Korean cultures through Fan Dance and Crown Dance clothes in the process of examining a variety of traditional clothes, accessories, patterns, and others used in the performance of Fan Dance and Crown Dance, the Korean new dances. It was expected that the future study on the design of Korean creative dance clothes could be made and the directions in the modernization of traditional clothes could be discuss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Fan Dance and Crown Dance clothes presented in this study. It was hoped that more studies would be made on the modernization and globalization of traditional Korean clothes as beautiful traditional Korean cultures were properly passed down and modernized since then.;이 연구는 한국 신무용 중 무용가 김백봉의 부채춤과 화관무 의상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신무용이란 ‘전통의 현대화’를 내세운 근대 춤으로 가기 위한 과도기적 산물이라고 정의할 수 있는데 관객이 무용수의 사방에서 관람하는 원형 무대형식인 전통무용과 달리 관객이 무용수의 정면에서 관람하는 서구식 무대형식의 공연이다. 한국 신무용의 대표적인 무용가는 배구자, 조택원, 최승희, 송범, 김백봉 등이 있으며 이 연구는 그 중 현대에 가장 대중화 보편화 되어있는 김백봉이 창작한 부채춤과 화관무 의상에 대해 고찰하였다. 한국 신무용 의상은 예(禮)를 중시했던 전통 궁중정재 의상과는 달리 무용 작품의 내용을 표상 할 수 있는 의상으로 무용수의 춤사위는 물론 호흡까지도 전달할 수 있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한국 신무용 의상은 관객의 시선을 사로잡기 위해 다양한 전통의상을 개조하거나 구조를 변형하여 동작의 활동성을 살리면서 실루엣은 날씬하게 보이도록 하였다. 신무용가들은 레퍼토리를 서로 공유하거나 전수하였는데, 다른 안무자가 공연을 주도하여도 원작에 사용된 의상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작품 공유방식과 무용가들의 작품 대중화 노력으로 인해 한국 무용계 속에서 신무용은 하나의 전통으로써 맥을 이어갈 수 있게 된 것이다. 1954년 초기 부채춤 의상은 고구려벽화의 의상을 응용해 금색 양단으로 저고리[襦]를 만들었고 붉은색 벨벳으로 H라인의 치마를 만들었다. 머리는 둥글게 말아 올려 가장자리에 구슬장식을 하였으며, 칠보장식을 한 검정색 족두리를 하였다. 부채는 무당부채인 삼불선(三佛扇)을 사용하였다. 1964년 캄보디아 예술단으로 파견되면서 금색 양단으로 만든 당의와 붉은색 실크로 만든 A라인의 치마로 바뀌었으며 삼불선이 아닌 모란부채를 사용하게 되었다. 1968년 멕시코 올림픽을 기점으로 부채춤은 독무형식에서 군무형식으로 재구성되었다. 독무자의 의상은 변화 없이 사용되었고, 추가된 군무진의 당의(唐衣)는 보(補)가 달린 옥색과 분홍색이었으며 치마는 붉은색과 연보라색이었다. 1968년부터 1980년대까지 한시적으로 독무자는 붉은색 화관을 사용하기도 하였으며 군무진은 당의의 색상과 맞춰서 옥색과 분홍색의 화관을 사용하기도 하였고, 당의의 색상과 상관없이 붉은색 화관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1947년 고전형식으로 초연되었던 화관무의 의상은 혼례복으로 입었던 녹원삼(綠圓衫)에 봉황과 난(蘭)을 수놓은 의상이었다. 1954년 화관무 의상은 붉은색 실크로 만들었는데 원삼과 유사한 대금형의 맞깃에 봉황과 뇌문(雷紋)을 화려하게 수놓은 활옷이었다. 머리에는 화관을 쓰고 앞댕기를 늘어뜨렸다. 화관무 역시 1968년 독무형식에서 군무형식으로 재구성되었는데, 독무자의 의상은 변화가 없었고 군무진은 황초삼(黃綃衫)을 입고 남색 치마를 입었다. 머리에는 분홍색 꽃을 장식한 화관을 쓰기도 하였다. 1988년 서울올림픽 개막식에서 2천명의 대형 군무진으로 구성된 화관무는 의상에 많은 변화가 생겼다. 전통 궁중예복에 사용했던 전행웃치마와 하피가 추가되었으며 독무자는 한시적으로 비천계(飛天髻)형 머리를 하였다. 일부 군무진은 어여머리에 떨잠장식을 하였다. 88올림픽 화관무 독무자와 일부 군무진은 흰색바탕에 모란문을 수놓은 활옷을 입었고, 뒤쪽에 있는 나머지 군무진은 황초삼과 녹초삼을 입었다. 남성 군무진은 흰색 바지ㆍ저고리 위에 흉배와 보가 달린 붉은색 단령(團領)을 입었다. 올림픽 이후 화관무 군무진은 현재까지 흰색 활옷과 황초삼을 입고, 남성 군무진은 붉은색 단령을 입는다. 무용에는 형태와 장식에 차이가 있는 족두리와 화관이 모두 사용되었다. 그런데 일반인들과 무용가들 사이에서 족두리와 화관의 인식 구분이 명확하지 않았다. 지역마다 명칭을 다르게 부르기도 했으며 꾸민 족두리를 화관이라고 부르기도 하였고, 화관을 족두리로 지칭하기도 하였다. 무용가들이 일반적으로 말하는 둥근 족두리는 족두리를 칭하는 것이지만 뾰족한 족두리는 화관을 뜻하는 것으로 지금부터라도 명칭을 명확히 구분해서 사용할 필요가 있다. 부채춤과 화관무 의상에는 가벼우면서도 고급스러운 광택 있는 소재를 주로 사용하였고, 의상에 다양한 무늬의 자수를 수놓았으며 스팽글과 비즈로 화려하게 장식하기도 하였다. 김백봉은 1950년대 말 이전까지는 없었던 코슈즈라는 한국 무용 신발을 개발하였는데, 코슈즈는 현재 몇 가지 응용된 형태로 다양한 공연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 연구는 무용가 김백봉의 증언을 바탕으로 여러 인쇄매체의 기사와 사진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시대에 따른 변화를 살펴 볼 수 있으며 무대 예술인 무용 의상에 사용된 전통의상에 대해 고찰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한국 신무용인 부채춤과 화관무 의상에 사용된 다양한 전통의상과 장신구, 무늬 등을 살펴보는 과정에서 부채춤과 화관무 의상의 경우 한국 전통문화를 계승하려고 노력한 것을 볼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부채춤과 화관무 의상에 대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한국 창작 무용 의상 디자인에 대한 연구로 이어질 수 있으며 전통의상의 현대화 방향에 대해서도 논의 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우리 고유의 아름다운 전통문화를 올바르게 계승하고 현대화하여 전통의상의 현대화ㆍ세계화에 대한 연구가 이어지기를 바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 목적과 의의 1 B. 연구 범위와 방법 3 Ⅱ. 신무용과 무용 의상 5 A. 무용 의상의 특징 5 1. 무용 의상의 역할 5 2. 무용 의상의 특성 6 B. 신무용의 정의와 특징 8 1. 신무용의 정의 8 2. 한국 신무용 의상의 특성 12 Ⅲ. 김백봉의 신무용 15 A. 김백봉 연혁 15 B. 김백봉 신무용의 특징 17 1. 부채춤 17 2. 화관무 19 Ⅳ. 김백봉 신무용의 의상 분석 21 A. 부채춤 의상 분석 22 1. 디자인 분석 23 2. 부채 및 장신구 34 3. 부채춤 의상 패턴 40 B. 화관무 의상 분석 41 1. 디자인 분석 41 2. 한삼 및 장신구 47 3. 화관무 의상 패턴 51 C. 김백봉 신무용 의상의 조형성 52 1. 의상의 종류 52 2. 소품 및 장신구 63 3. 문양 79 4. 소재 91 5. 색채 105 Ⅴ. 결론 및 제언 109 참고문헌 112 ABSTRACT 12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05772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김백봉의 부채춤과 화관무 의상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Kim Baik Bong's Dance Clothes Shown in her Fan Dance and Crown Dance Performance-
dc.creator.othernameChun, Ho Jung-
dc.format.pagexiii, 12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류학과-
dc.date.awarded201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