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4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홍나영-
dc.contributor.author김예지-
dc.creator김예지-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18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18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8081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600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0813-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대한제국 시기부터 오늘날까지의 한국음악 공연의상에 대하여 고찰한 것이다. 전통 한국음악은 서구식 공연장의 등장으로 무대 공연 예술로 변화하였고, 연주자들은 공연의상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인식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격동기였던 근현대의 흐름 속에서 한국음악의 공연의상은 음악과 밀접한 관계 속에서 발전하였다. 본 연구는 근현대 한국음악 공연의상의 변천을 고찰하기 위해 각 시대 음악의 구분을 위한 기준을 설정하고, 문헌 기록과 사진 자료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대한제국 시기와 일제강점기의 한국음악은 궁중음악과 민간음악으로 나눌 수 있다. 음악은 집단이나 연주자의 신분에 의해 구분되었으며, 이는 곧 공연의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요인이 되었다. 이 시기 궁중음악의 대표적 공연의상은 단령의 형태인 홍주의(紅紬衣)였으며, 궁중의 연례악과 제례악을 연주할 때 널리 착용되었다. 다만, 음악에 따라 의복의 형태나 구성품이 차이가 나기도 한다. 일제강점기부터 궁중음악과 민간의 풍류방 음악을 포괄하여 ‘정악’이라고 부르게 되었으며, 홍주의가 정악 연주시에 공연의상으로 착용되면서 그 착용 범위가 확장되었다. 오늘날까지 홍주의는 정악 공연 의상으로 착용되고 있다. 일제강점기까지 민간음악 공연시에는 남성과 여성은 일상적으로 착용하는 한복을 공연의상으로 착용했다. 해방 이후에는 풍류방 음악을 제외한 민간음악을 ‘민속악’이라 불렸으며, 공연의상으로 남성은 두루마기를, 여성은 치마저고리를 계속 착용하였다. 해방 이후 한복의 착용이 감소하는 상황에서 한국 전통음악 공연의상으로 한복이 꾸준히 착용됨으로써, 한복의 명맥을 유지하는 분야로 자리매김하였다. 민속악 성악의 경우 종목별로 공연의상에 차이가 나기도 하는데 각각의 종목들은 한복의 전통을 고수하기도 하고, 새로운 유행을 만들기도 하였다. 2000년 이후 민속악의 공연의상은 그 시기 등장한 퓨전 한복의 영향을 받았다. 한복의 형태는 전통적인 것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으나, 현대적 색상과 소재의 사용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서양 음악의 도입으로 등장한 창작 한국음악은 공연의상과 함께 서구화, 현대화되었다. 이때 착용되는 공연의상은 연주자의 음악적인 성향 및 연주하는 곡의 분위기 등을 반영하며, 전통적인 한복부터 서양복에 이르기까지 제한 없이 착용되고 있다. 오늘날 창작 한국음악 공연의상으로서 한복을 착용하는 것은 한국인의 정체성을 가시적으로 보여주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본 연구는 근현대의 한국음악의 변천과 함께 공연의상의 전체적인 변화의 흐름에 대하여 살펴보았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이 연구를 통해 한국음악 공연의상이 한복의 한 분야로서 계속해서 발전되길 바라며, 한국음악 공연의상 착용과 제작의 기준이 성립되기를 기대한다.;The study is designed to understand changes in performance costume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from the Korean Empire era to today. Korean traditional music has changed into stage performance art alongside the introduction of performance hall from the West. Consequently, performers starte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performance costume which has evolved in line with the changes in music during Korea’s tumultuous modern and present age. To study changes in performance costume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during the modern and present era, criteria to categorize music by its time period were set and literatures and photographic documents were examined. Korean traditional music between the Korean Empire era and Japanese colonial age i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Court music and music played outside the Court, traditional popular music. Music was classified by the social class of individual performers or group of performers, which also created differences in performance costume. One of the most typical performance costumes during this period was Hongjuui (紅紬衣) which had the form of Danryeong (團領). While there were differences in dress style and ornaments, it was widely worn by performers during royal court banquet music and royal ancestral shrine music performance at Court. After the Court music and Pungryubang (風流房) music, a type of traditional popular music, were combined and called Jeong-ak (正樂)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Hongjuui was also worn as costume for Jeong-ak performance. Hongjuui is being worn as Jeong-ak performance costume until today. Both male and female performers wore ordinary informal hanbok, Korean traditional garment, as performance costume for traditional popular music until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Traditional popular music excluding Pungryubang music was called folk music after Korea's independence from Japan, and it was continued that male performers wore durumagi (周衣), traditional Korean overcoat, and female performers wore chima (裳) ․ jeogori (襦), Korean traditional skirt and jacket, as performance costume. As such hanbok having been worn as performance costume has a significant meaning in keeping the tradition of hanbok alive at a time when the wearing of hanbok has been declining considerably after Korea's independence. In vocal folk music, performance costume varies by repertoires. The tradition of hanbok was kept or new forms and styles were created depending on the repertoires. Since 2000, in particular, performance costume for folk music has been affected by fusion hanbok which was first introduced during the same period. Modernistic color and fabric have been widely used for fusion hanbok while the form of dress has not changed significantly from the tradition. After the Western music was introduced to Korea, it affected Korean traditional music, giving birth to contemporary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creative kind of Korean traditional music has become more westernized and modernized along with performance costume. Performance costume for such genres reflects performers’ musical preferences and moods of songs and ranges broadly from traditional hanbok to Western clothing. Moreover, hanbok as performance costume demonstrates Koreans’ national and cultural identity. The study has its meaning in observing shifts in Korean traditional music alongside its performance costume. I hope performance costume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to be recognized as a branch of hanbok for its further development and expect production and wearing standard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 costume to be established so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목적 및 의의 1 B. 연구의 범위 와 방법 2 Ⅱ. 대한제국과 일제강점기의 한국음악 공연의상 3 A. 대한제국 시기의 궁중음악 공연의상 3 1. 연례악 4 2. 제례악 11 B. 일제강점기 이왕직아악부의 음악 공연의상 12 1. 궁중음악 13 2. 풍류방 음악의 수용과 공연의상의 변화 18 C. 민간음악과 공연의상 19 1. 남성 음악인 20 2. 여성음악인 23 Ⅲ. 해방 이후 한국 전통음악 공연의상 27 A. 정악 27 1. 기악 27 2. 성악 42 B. 민속악 45 1. 기악 45 2. 성악 54 C. 창작음악 63 1. 관현악단 63 2. 실내악 그룹 68 3. 독주와 독창 74 Ⅳ. 결론 79 참고문헌 81 ABSTRACT 8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79669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근현대 한국 전통음악 공연의상-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Performance Costume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dc.creator.othernameKim, Ye Ji-
dc.format.pagexi, 8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류학과-
dc.date.awarded201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