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478 Download: 0

사회적 망, 사회적 지지와 임상적 개입의 이론연구

Title
사회적 망, 사회적 지지와 임상적 개입의 이론연구
Authors
이원숙
Issue Date
1992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사업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사회사업학과
Degree
Doctor
Advisors
이정숙
Abstract
1970년대 중반 이후 경제적·정치적·사회적 여건의 변화는 가족·친척·친구·이웃·지역사회 등에 의한 비공식적 지지망의 역할을 재인식시키게 되었다. 사회적 지지망은 비공식적 지지망의 활용 및 구축을 위한 개입틀로서 부각되고 있다. 이는 또한 우리 사회의 가족중심적 가치와 일치하고 있으며, 공적 사회복지서비스의 보완적 역할 그리고 사회사업의 환경적 개입을 위한 도구로서도 유용하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망과 사회적 지지의 이론적 차이를 규명하고 이를 토대로 사회사업실천에 적합한 사회적 지지망의 개입이론을 고안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지지망 개입을 위한 이론적 기반을 규명하기 위해 사회적 망과 사회적 지지의 이론을 고찰하였다. 사회적 망 이론은 개념, 특성 그리고 구성요인·효과의 세 측면에서 분석되었다. 사회적 망 개념은 사회적 지지연구에 있어서, 지지의 배분에 관련된 사회적 유대의 집합체로 정의되어 진다. 이에 따라, 사회적 망 이론은 망구성원을 사정하는 방식과 이들의 구조적 및 상화작용적 특성을 분석하는데 초점을 두어왔다. 사회적 망 이론은 사회적 망을 구성하는 요인과 이의 효과를 모두 다루고 있으나, 전자를 더욱 중요시했다. 사회적 망의 구성요인으로는 개인적 및 환경적 요인이 제시되었다. 사회적 지지이론은 개념, 특성 및 효과의 세 측면에서 접근되었다. 사회적 지지는 여러가지로 정의되어 왔으나, 이는 개인과 망구성원간에 교환되는 정서적 지지, 도구적 지지 등의 지지적 행동으로 보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사회적 지지연구 초기에는 사회적 지지의 특성에 관한 합의가 없었던 것으로 나타나며, 점차 다차원적 기능적 특성으로서의 위치를 확보해 왔다. 앞서 사회적 망 이론과는 달리 사회적 지지이론에서는 사회적 지지가 개인의 안녕에 미치는 효과에 관심을 가졌고, 완충효과와 주효과가 설을 중심으로 사회적 지지의 효과를 규명해 왔다. 이상의 이론분석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지지망의 개입이론으로서의 적합성을 사회적 망과 사회적 지지와 비교 검토하였다. 사회적 지지망은 사회적 망에 비해 보다 직접적으로 주요 지지출처를 반영해 주고 있으며, 사회적 지지와 비교해 볼 때 망 접근법의 분석적 장점을 가지고 있다. 단, 기존의 사회적 지지망 이론은 구조적 및 상화작용적 특성에 초점을 두고 있으므로, 기능적 특성을 사회적 지지이론에서 보완할 것이 제시되었다. 사회적 지지망 개입이론을 고안하기 위한 선행과제로서 사회적 지지망이 이론 및 응용분야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 그리고 이들간의 연계가 가능한지를 살펴보았다. 이론 분석에 있어서, 사회적 지지망은 개인적 차원에서 적용되고 있으며, 이는 비공식적 지지제공자 뿐 아니라 공적 지지제공자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밝혀졌다. 응용분야에 있어서, 사회적 지지망은 비공식적 지지망의 개념에서 출발하여, 전문적 개입에 의한 비공식적 지지망의 활용 및 구축의 개념으로 그리고 비공식적 지지망과 공적 지지망의 연계적 개념으로 발달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전문적 개입에 따를 비공식적 지지망의 활용과 구축이 사회적 지지망 개입의 최우선적 과제라고 보고, 이를 중심으로 개입이론을 고안하였다. 사회적 지지망 개입은 사정기법과 개인기법의 두 가지 측면에서 접근되었다. 사회적 지지망의 사정기법으로는 이론분석에서 개발된 척도를 선별적으로 사용하는 방법과 기존의 도구를 활용하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전자는 이론과 실천간의 긍정적 환류를 촉진시키는 효과 그리고 후자는 시간과 노력이 절약된다는 장점을 가진다고 하겠다. 사회적 지지망 개입기법은 개인과 가족을 위한 개입기법, 집단개입기법 그리고 지역사회 개입기법으로 나누어 제시되었다. 개인과 가족을 위한 개인기법에는 개인적 망기법과 자원봉사자 연계 기법이 있고, 집단개입기법에는 지지집단 및 상호부조망 등의 활용이 가능하며, 그리고 지역사회 개입기법에는 지역사회 지지자원 확충 기법과 지역사회권력강화 기법이 있다. 나아가서, 사회적 지지망 개입에 있어서 사회복지사의 역할이 고찰되었다. 끝으로 사회적 지지망 개입이론의 사회사업실천에의 함의로서 분석적 연구결과를 도입하려는 노력, 비공식적 지지망의 내재적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한 공적 지지망과의 연계의 필요성 등이 제시되었다. ; A special attention has recently paid to social support network as a framework of intervention. The concept of social support network is consistent with family-centered value of this society, is able to play a complementary role for formal support system which is in its developing stage, and is useful for an environmental intervention tool of social wor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theoretical basis for social support intervention and to develop framework for direct intervention which is appropriate for social work practice. First of all, this study analyzed the studies of social network and social support. The studies of social network were analyzed by conceptualization, characteristics and determinants effects. The concept of social network in social support study is defined as a set of social ties related to the exchange of social support. Consequently, the network approach has focused on the network assessment and network analysis. The conceptual frameworks of social network are basically approached in the context of person and environment and focus on the determinants and effects of social network. The studies of social support were analyzed by conceptualization, characteristics and effects. The concept of social support which is even more confusing than that of social network and is being defined in terms of the gratification of basic needs and by supportive behaviors, etc. The latter approach reflects the multidimensions of social support and allows clarification between social network and social support and therefore, is the most appropriate conceptualization among a variety of definitions. At the earlier stage of the studies of social support, there was no agreement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support. Of recent, social support has been measured by instruments which assess supportive functions. Unlike social network, the studies of social support mainly have focused on buffering effect and main effect.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of social network and social support, this study examined social support network as a theoretical basis for intervention. Social support network reflects more directly support resources compared to social network and has analytical advantages of network over social support. In order to formulate the theoretical basis for intervention, social support network needs to incorporate the functional aspects out of social support studies. Also, this study examined how social support network in analytical studies in related to social support network used in the applied tradition. Regarding to social support network intervention, this study approached from assessment and intervention strategies. Two methods of network assessment are suggested. One is to select from analytical studies which will serve to stimulate feedback between the analytical study and the applied tradition. The other method is to use the existing social network assessment tool for the sake of time and efforts. Out of personal and family intervention strategies, personal network strategy is an approach to mobilize significant others of client in problem-solving. The volunteer linking strategy is to develop a new network resource formerly unknown to client. Group intervention strategy ranges from support group, mutual aid network to self-help group. This strategy aims to promoting normalization and social integration through group process and development. So far, this has been organized mainly for life crisis intervention, however, is also beneficial for normal life developmental events in need of social support. And, community intervention strategy includes the enhancing of the total network through natural helpers and the community empowerment. Both are expected to facilitate community participation and local control. In integrating social support network intervention into social work practice, social workers and encouraged to be sensitive to the very nature of informal support network and to develop cooperative relationship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