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2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성이-
dc.contributor.author최선화-
dc.creator최선화-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17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17Z-
dc.date.issued199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78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99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780-
dc.description.abstractDrug abuse among youth is rapidly increasing in Korea, but Korea society doesn’t provide any public treatment interventions, except for rare cases of private treatment at psychiatric clinics and welfare centers, which are mainly focused on the physical factor. Abusive behavior is so heavily connected with psycho-social factors that a psycho-social intervention program is needed. Drug abuse among youth is caused by the combination of identity crises and peer pressure. Insecurity, which characterizes this identity crisis, is the necessary factor for drug abuse. And peer pressure is the trigger point for drug abuse. When they abuse drugs they feel guilt feelings ad use the defense mechanism of denial. Youthful drug abusers can be helped through peer group effectively since at this stage of development peer influence has the strongest impact on them. Intervention programs for them can help them deal with the ego defense mechanism of denial, enhance self-awareness and positive ego funtion and develop skills to handle peer pressure. And without using drugs they can learn to face problems and improve their self confidence. With this theoretical frame of reference, group work Intervention model of psycho-social approach was developed and tested with 14 abusers at the Juvenile Retention Center in Pusan city. Efforts To enhance self-awaress and build a positive self image produced limited effects. Attempts to improve the social skills were mostly welcomed by the young people and effective since they can be used directly. To change their attitude toward drug abuse, they were helped to clarify their ambivalent. Social group Work approach for youthful drug abuers was effective in three points. First, Peer confrontation was effective in dealing with denial. Second, Peer group was effective I enhancing social skills and rehearing them in the group. Third, Interaction among peers brought the same effect as peer counseling. This study was valuable in the sense that it pointed limits of social control and physical approach and substantiated psycho-social approach for youthful drug abusers. And intervention through peer group was also effective for them. The youth at the center carry too many personal and family problems which can limit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This program therefore, could work better for high school students who don’t have complex problems, but no treatment arrangement is available for them at the moment. ; 청소년 약물 남용 행위에 대한 지금까지의 접근은 사회 통제적 관점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일부 치료적 개입을 시도하는 경우에도 신체적 증상을 다루는 의료적 접근에 치우쳐 있어 심리.사회적 개입은 거의 없는 실정 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약물 남용 행위에 대한 개입 방법으로 또래 집단을 활용한 심리.사회적 접근모형을 개발해 보고자 한다. 청소년은 내부 심리적으로는 자아 기능 손상과 외부적으로는 또래집단의 약물 사용에의 압력이라는 두 요소가 결합되었을 때 약물을 남용하게 된다. 자아 기능 손상 상태의 특징인 불안은 청소년들도 하여금 약물 사용을 받아들이게 하는 요인이 되며 또래와의 약물에 관한 상호작용은 약물남용의 직접적인 계기가 된다. 그래서 약물을 사용하게 되면 죄책감이 생기게 되고 더 심해지면 약물남용에 대한 부정이라는 방어기제를 사용하게 되어 자아 기능이 더욱 저하되는 악순환을 거듭하게 된다. 따라서 이들에 대한 치료적 개입은 심리적 측면에서는 자아의 방어기제인 약물 사용에 대한 부정을 처리해 주며 불안과 죄의식으로부터 벗어나서 자이 기능을 회복 하도록 돕는 것이다. 대인 관계에서는 약물 남용을 거절 할 수 있는 자기 주장 법을 연습시키며 일상 생활의 문제에 부딪혔을 대 약물을 남용하지 않고도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도록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켜 주고, 전반적으로 자신감을 키워줌으로써 약물남용으로부터 벗어나게 할 수 있다. 청소년 약물 남용 행위에 대한 심리.사회적 접근은 또래 집단적 방법을 통해서 효과적으로 개입될 수 있다. 약물 남용 청소년들의 심리.사회적 기능 증진을 위해서 또래집단이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근거가 인성 이론, 체계 이론, 소집단 이론의 다양한 개념들로 뒷받침 되고 있다. 이와 같은 청소년 약물 남용 행위에 관한 이론적 틀에 기초해서 만들어진 개입 모형은 다음과 같다. 개입 모형의 철학적 배경은 개인의 존엄성과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전체 사회와의 통합이라는 가치를 추구함으로써 개인의 개성의 차이에 대한 존중과 함께 사용 정의와 형평성에 기초한 서비스를 한다는 것이다. 개인의 권리로써 모든 치료 과정에의 참여가 권장되며 표현의 자유와 함께 개인의 생각과 느낌에 대한 비밀이 보장 되어야 한다. 개입 목적은 자아의 적응적 기능을 회복하고 만족스럽고 기능적인 사회 관계를 맺을 수 있는 능력을 신장시키며 이러한 심리.사회적 기능 회복을 통해서 약물에 대한 태도를 변화시키려는 것이다. 치료 대상은 약물 남용이 한 달 이상 지속됨으로써 심리. 사회적 기능에 장애를 받은 청소년들로써 스스로 약물을 통제할 수 없는 상태에 있는 청소년들이다. 이들은 약물 중독자가 아니라 약물 남용자들로서 심리.사회적 개입에 의해 치료될 수 있는 청소년들이다. 본 모형은 소년원에 수용된 독극물 위반, 대마 관리법 위반, 향정신성 의약품 관리법 위반 소년원생 14명을 대상으로 실시 되었다. 집단 구조는 조직적이고 폐쇄적이며 분산적인 구조를 택했고 개입 횟수는 주2회, 14회에 걸쳐 개입했다. 집단 참여 동기라는 관점에서는 비자발적 구조를, 약물사용면에서는 동질적 구조를 그리고 학력, 나이, 관심면에서는 이질적 구조를 취했다. 집단 구성원에 대한 진단은 심리적 측면에서는 자아의 특성, 사회적 측면에서는 대인관계의 특성을 살펴 보았다. 일반적 사항으로는 나이, 학력, I.Q, 가족 배경, 사회경제적 배경을 살펴 보았고 약물과 관련된 사항으로는 사용 약물, 사용 기간, 사용 정도, 약물에 대한 태도를 살펴 보았다. 그리고 본 모형에서의 치료 대상이 소년원생들이기 때문에 기소 혐의와 이것과 관련된 특이 사항을 파악 했다. 집단 발달 단계로는 Helen Northern의 집단 발달 단계 개념을 적용해서 준비 단계, 오리엔테이션 단계, 탐색과 시험 단계, 문제 해결 단계 및 종결 단계로 구분해서 개입 했다. 활용 가능 자원으로는 치료 집단의 집단 역학과 구성원들간의 상호작용과 사회사업가의 전문적 능력 및 대인관계 기술 그리고 집단 구성원들의 치료 되고자 하는 동기와 자아 탐색 능력 및 자기 통찰 기술이 활용 되었다. 지지, 명료화, 환류, 대결법 등의 개입 기술들이 집단 토의, 설명, 현실 치료, 시연, 명상, 문제 해결법 훈련과 주장 훈련 등의 수행 방법을 통해서 적용 되었다. 이 모형에서의 사회사업가의 역할은 집단을 형성하고 이끌어 가며 집단 구성원들의 참여를 유도하고 요구되는 기회를 제공하며 필요한 기법을 가르치고 지지와 이해, 수용과 환류를 제공하는 것이다. 결과 분석은 관찰에 의한 과정 분석으로써 개인별 변화 분석과 집단 과정 분석을 했다. 개입 목적별 효과 분석으로는 자아 인식 증진, 대인관계 기술 증진과 약물에 대한 태도 변화를 평가했으며 개입 방법 평가는 프로그램 구성과 운영면을 평가했다. 본 모형을 소년원에 수용된 약물 남용 청소년들에게 적용해서 타당성을 검증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개인별 변화를 보았을 때 프로그램의 효과를 가장 많이 본 원생들은 변화 동기가 강했고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으며, 개인적인 측면에서도 심각한 문제가 별로 없는 원생들이었다. 그러나 복합적인 문제를 장기적으로 지녀온 원생들은 거의 진전을 보이지 않았다. 개입 목적별 효과 분석으로는 자아 인식 증진을 위한 개입은 약물남용에 대한 부정을 처리할 수 있었다는 측면에서 효과적 이었다. 그러나 이 효과는 수용 생활에서 오는 문제와 수용 생활을 하기 까지의 생활 과정에서 나온 왜곡된 자아상과 관련된 문제에 있어서는 제한적이었다. 대인 관계 기술 증진은 원생들이 가장 많은 효과를 본 부분으로 전반적인 문제 해결 능력이 향상되고 자기 주장을 할 수 있게 되었으며 자신감을 회복할 수 있게 되었다. 이렇게 된 이유는 대인 관계 기술은 그들이 지닌 몸에 배인 문제들에 개입하지 않고도 당장 필요한 기술만을 가르치는 것으로 그들에게 가장 쉽게 받아 들여졌고 바로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이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약물에 대한 태도 변화는 약물 사용에 대한 부정으로부터 벗어나서 약물 남용에 대한 혼란된 태도와 생각을 처리할 수 있었고 약물을 다시는 사용하지 않겠다는 결심을 끌어낼 수 있었다. 개입 방법 평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개입 기술로는 대결법과 현실 치료, 시연과 지지법이 효과적이었다. 프로그램 구성방법으로는 놀이를 통해서 분위기를 돋구고 난 후 치료 프로그램으로 들어간 것이 효과적이었으며 점검표와 질문을 통해서 대화를 끌어내는 방법이 효과적이었다. 프로그램 구성상에 있어서 약물 남용 소년원생들을 위한 개입은 그들의 현재 상황에 대한 문제를 먼저 처리해 주고 나서 약물에 대한 개입을 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집단 구성에 있어서도 나이, 흥미, 학력에 맞추어서 세분화 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프로그램 실시에 적절한 공간 확보와 프로그램 진행을 위한 충분한 시간을 배려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이 연구 결과는 약물 남용 청소년들에 대한 개입에 있어서 심리.사회적 접근과 또래를 활용한 집단적 접근이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검증 했다. 이러한 개입 프로그램을 기초로 해서 일반 약물 남용 청소년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개입 프로그램에 대한 추가적 연구가 요구 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ⅳ I. 서론 -------------------------------------------------------------- 1 A. 문제 제기 -------------------------------------------------------- 1 B. 연구 목적 -------------------------------------------------------- 6 C. 연구 방법 -------------------------------------------------------- 7 D. 연구 한계 -------------------------------------------------------- 7 II. 이론적 배경 ------------------------------------------------------ 9 A. 청소년 약물 남용 유형 및 특성 ------------------------------------ 9 B. 청소년 약물 남용 이론 -------------------------------------------- 11 1. 심리적 요인 ----------------------------------------------------- 11 2. 사회적 요인 ----------------------------------------------------- 17 C. 약물 남용 청소년에 대한 집단 사회사업적 개입 이론 ---------------- 21 1. 약물 남용 예방 프로그램의 발달 과정 ----------------------------- 21 2. 또래 집단 개입 이론 --------------------------------------------- 24 3. 약물 남용 청소년에 대한 개입 방법 ------------------------------- 29 III. 개입 모형 ------------------------------------------------------- 37 1. 집단 개입 모형 --------------------------------------------------- 37 2. 개입 프로그램 ---------------------------------------------------- 45 IV. 개입과정 --------------------------------------------------------- 51 1. 집단 구성 -------------------------------------------------------- 51 2. 오리엔테이션 단계 ------------------------------------------------ 55 3. 치료적 개입 단계 ------------------------------------------------- 61 4. 종결단계 --------------------------------------------------------- 86 V. 결과 분석 --------------------------------------------------------- 90 1. 개입 효과 분석 --------------------------------------------------- 90 a. 개인별 변화 분석 ------------------------------------------------ 90 b. 집단 과정 분석 --------------------------------------------------103 c. 개입 목적별 효과 분석 -------------------------------------------108 2. 개입 방법 평가 ---------------------------------------------------114 VI. 결론 및 제언 -----------------------------------------------------119 참고문헌 -------------------------------------------------------------127 부록 -----------------------------------------------------------------131 영문초록 -------------------------------------------------------------13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02315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사회사업학과-
dc.title약물 남용 청소년을 위한 집단 사회사업적 개입 모형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format.page144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사업학과-
dc.date.awarded199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