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8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기숙-
dc.contributor.author강숙현-
dc.creator강숙현-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15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15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63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98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63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발달에 적합한 실제」(Developmentally Apporpriate Practices: DAP)에 기초한 교육경험 이후 유아교사의 신념 및 교육 실제의 변화에 관한 분석을 통해 유아교사의 신념과 교육실제의 질과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는 발달에 적합한 실제의 철학적 근거와 원리를 내면화하여 교육실제로의 전환을 위한 전략과 아이디어를 나누는 경험의 일반적인 효과를 검증하고 교사훈련과정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기초가 될 것이다. 연구의 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Ⅰ.「발달에 적합한 실제」에 기초한 교육경험 이후 유아교사의 신념 변화는 어떠한가? Ⅱ.「발달에 적합한 실제」에 기초한 교육경험 이후 교육실제의 질적 수준의 변화는 어떠한가? Ⅲ. 발달적 적합성에 대한 유아교사의 신념과 「발달에 적합한 실제」에 기초한 교육경험 이후 나타나는 교육실제의 질적 수준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과정에 자발적으로 참여한 광주광역시 소재 공·사립 유치원 교사 30명을 대상으로 7주 동안 8회 총 16시간에 걸쳐 「발달에 적합한 실제」에 기초한 교육경험을 제공하였다. 예비연구에서 유치원 교사의 현직교육 훈련에 대한 요구조사와 측정도구의 타당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과정이 시작되기 전과 모든 일정을 마친 후 교사의 신념과 실행에 대한 인식을 묻는 질문지 조사와 훈련된 관찰자에 의한 학급관찰을 실행하였다. 교사의 신념과 교육실제의 질적 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사용한 연구도구는 유아교사 신념 및 실제 평가척도(Hart et al., 1990)와 유아교육 프로그램 관찰 평가척도(Mangione & Mainiates, 1994)이다. 자료분석은 DAP경험 이후 교사의 신념 및 교육실제의 질적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총점의 평균값을 산출하여 비교하였으며 사전·사후 검사결과간의 두 종속 표본 t 검증을 각각 실행하였다. 그리고 교사의 신념과 교육실제의 질적 수준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사후 신념 및 실제 평가와 사전·사후 프로그램 관찰 평가 결과간의 상관분석을 실행하였다. 또한 교사신념의 하위영역과 프로그램 관찰 평가 결과간의 상관분석을 실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발달에 적합한 실제」에 기초한 교육경험 이후 교사의 신념과 교육실제의 질적 변화 및 관계에 대한 결과를 연구문제에 따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신념 변화에 있어서 대부분의 교사들은 DAP경험 이후에 발달적 적합성에 대한 신념이 높은 수준으로 변화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신념평가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증진되는 변화로 나타났다. 특히 부적합한 활동과 자료 적합한 개별화 영역이 .05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교육실제의 질적 변화에 있어서는 DAP경험 이후 교육실제의 질적 수준이 증진되었다. 교사의 자기평가 결과 나타난 교수실제의 질적 수준의 변화를 보면 적합한 활동 부적합한 학습활동 창의적인 탐구학습 등의 영역이 .05수준에서, 부적합한 문해 활동 영역은 .01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프로그램 관찰 평가결과 나타난 교육실제의 질적 수준의 변화를 보면 학습환경의 조직 교육과정 및 학습자료 일과운영 교사-유아간의 상호작용 및 개입 등 프로그램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특히, 학습환경의 조직 영역은 .001수준에서, 교육과정 및 학습자료 영역은 .01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신념과 교육실제의 질적 수준과의 관계를 보면 발달적 적합성에 대해 이미 가지고 있던 교육신념과 교사의 자기평가 결과 나타난 교육실제의 질적 수준간에 .01수준에서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그리고 발달적 적합성에 대해 이미 가지고 있던 교육신념과 DAP경험 이후 나타난 프로그램 관찰 평가 결과간에 .05수준에서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특히 부적합한 구조화 에 대한 명확한 인식을 갖고 있는 교사의 발달적 적합성에 대한 사전 신념과 DAP경험 이후 나타난 교육실제의 질간에는 .01수준에서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kindergarten teachers beliefs, practices, and perceptions of the benefits and barriers in implementing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and the changes of a teachers beliefs and program quality according to their in-service training experiences based upon DAP.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liance on DAP and program quality. The questions investigated included : 1. How are the changes of beliefs of kindergarten teachers related to a series of in-service seminars on DAP? 2. How are the changes of program quality of kindergarten teachers related to a series of in-service seminars on DAP? 3. How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elief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program quality of teachers related to a series of in-service seminars on DAP? Kindergarten teachers from Kwangju school district were informed of the intent of the seminars and invited to participate. In all, thirty teachers(17 from private kindergartens and 13 from elementary attached kindergartens) participated in the in-service training 8 sesions. In order to measure the impact of the training seminars, the teacher s beliefs and practices were assessed using the Teacher Questionnaire(Hart, Burts, Charlesworth, Fleege, Ickes, & Durland, 1990) and Early Primary Observation Scale(Mangione & Maniates, 1994). Teachers were asked to rate their beliefs and practices at the beginning and again at the conclusion of the seminar sessions. Classroom observation was conducted by a professional rater. A series of paired t-test between the means of the pre- and post- seminar responses for items on both the beliefs and practices sections of the Teacher Questionnaire were conducted and the Early Primary Observation Scale was used. A series of correlations expla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a program s quality and the teacher s beliefs on DAP. The data gathered by the Teacher Questionnaire(Teacher Belief Scale) showed an increase in developmentally appropriate belief. In the paired t-test of the Teacher Questionnaire, high degree of significance appeared in two areas of belief(inappropriate activities and materials, appropriate individualization). Four areas self reported changes in practice(appropriate activities, inappropriate literacy activities, inappropriate learning, creative exploratory learning) by Teacher Questionnaire(Instructional Activity Scale). And The Early Primary Observation Scale showed an increasing changes in program quality. The most dramatic changes were evident within two of the areas(organization of learning environment, learning materials and curriculum). A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s indicated the teachers beliefs were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related to the program quality reported by self-assesment and implemented by classroom observation.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and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beliefs about inappropriate structures and changing the program qual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ⅴ I . 서 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 1 B. 연구목적 및 연구문제 -------------------------------------------- 6 II . 이론적 배경 ---------------------------------------------------- 8 A. 「발달에 적합한 실제」의 개념 및 변천과정 ----------------------- 8 B. 「발달에 적합한 실제」에 관한 비판적·대안적 논의 ---------------- 46 C. 「발달에 적합한 실제」에 대한 교사의 신념과 교육실제의 질 ------- 68 III . 연구방법 ------------------------------------------------------ 86 A. 연구대상 -------------------------------------------------------- 86 B. 연구절차 -------------------------------------------------------- 87 C.「발달에 적합한 실제」에 기초한 교육경험 ------------------------- 90 D. 측정도구 -------------------------------------------------------- 94 IV . 연구결과 및 해석 -----------------------------------------------104 A.「발달에 적합한 실제」에 기초한 교육경험 이후 유아교사의 신념 변화 --------------------------------------------105 B.「발달에 적합한 실제」에 기초한 교육경험 이후 교육실제의 질적 수준의 변화 -------------------------------------107 C.「발달에 적합한 실제」에 대한 유아교사의 신념과 교육실제의 질적 수준과의 관계 -----------------------------------111 V. 논의 및 결론 -----------------------------------------------------114 A. 요약 및 논의 ----------------------------------------------------114 B. 결론 및 제언 ----------------------------------------------------120 참고문헌 ------------------------------------------------------------124 부 록 ------------------------------------------------------------141 영문초록 ------------------------------------------------------------18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66217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발달에 적합한 실제」에 대한 유아교사의 신념과 교육실제의 질적 수준과의 관계-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The relationship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beliefs about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and program quality-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0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