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오인수-
dc.contributor.author이지민-
dc.creator이지민-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14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14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983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97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9838-
dc.description.abstractRecently, the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our society is showing drastic growth due to the increase of international marriages. Accordingly, the number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is showing an rapid increase, and the task of assisting the children to play positive roles as members in our society has become one of the important roles of our society. However, most assistance programs conducted for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emphasized on linguistic and academic aspects. It is appropriate to provide assistance programs for studies since it is the area that requires most urgent needs. However, adolescent period should be the time when individuals are engaged in academic studies while searching for their career and gain various relevant experiences. Despite the fact that findings presented how the second biggest concern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was related to their career following their concern about studies, the domestic education system does not place importance on career education. The problem here is that familie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have difficulties supplementing the areas that schools cannot satisfy for the area related to career education. Generally, middle school students receive the most counseling from their parents regarding their career, but in case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 language barriers cause hindrance in the parent-child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ve disconnection causes influence on attachment relations as teenagers in multi-cultural families face hardships in attachment relations with parents compared to others in general families. These problems affect the self-concept and efficiency in teenagers from multi cultural families. Therefore, teenagers in multi-cultural families face more difficulties searching for and deciding on their career compared to teenagers in general families. Therefore, this research will compare the parent-child communication types, degree of attachment, and self-efficiency recognized by middle school students in both multi-cultural and general families and observe the influence of differences on career barrier awareness and decision making level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terms of the research subjects, 474 middle school students in multi-cultural and general families enrolled in 10 middle schools located in the Seoul․Gyeonggi districts were selected after sampling. Amongst these subjects, data of 204 students (102 stud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102 students in general families) were applied for analysis. For the questionnaire, parent-child communicative scale, parent attachment scale, self-efficiency scale, carrier barrier scale, and career decision level scale were applied, and the surveyed data was analyzed through the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Different stages were applied for the analytical method. First,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in order to identif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s. Second, t-test was conducted to identify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parent attachment, self-efficiency, career barrier awareness, and career decision. Thir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orrelation in cultural forms of families with the level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parent attachment, self-efficiency, career barrier awareness, and career decision. Fourt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in the stepwise method in order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parent attachment, and self-efficiency caused on the level of career barrier awareness and decision according to the cultural form of the families. The following are the research result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parent attachment, and self-efficiency on the career barrier aware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it was displayed that the open communication and attachment to father and self-efficiency had an influence on the students. The reason for this result is due to the fact that fathers often become involved in initial child care because mothers who are foreigners displays passive parenting attitudes due to their insufficient language abilities and cultural differences. As time passes, the mothers' linguistic abilities become increase and the level of adaptation rises. However, the parenting form becomes fixed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were displayed as forming more relations with their father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parent attachment, and self-efficiency recognized by middle school stud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on their career decision, it was displayed that the dysfunctional communication of fathers causes influence. This also showed relevance with fathers instead of mothers, but the degree of influence was displayed as inadequate compared to the career barrier awareness. Moreover, compared to how open communication of fathers cause influence on the career barrier awareness, it was displayed that fathers' dysfunctional communication affected the career decision level. This signifies how the positive and open communication with fathers cause certain influence in reducing the level of fear about career, but does not provide assistance in selecting their career. Fourth, it was displayed that self-efficiency amongst parent-child communication, parent attachment, and self-efficiency caused influence in the career decision level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general families. However, the degree of influence is low compared to the influence caused by self-efficiency on career barrier awareness. Therefore, it can be identified that self-confidence has a positive influence in overcoming fear, but does not provide great assistance for volitional aspect of career selec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is research conducted a discussion about the career barrier awareness and career decision level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both multi-cultural and general families and suggested implications regarding career counseling and career education as well as follow-up researches.;최근 우리사회는 국제결혼의 증가로 다문화 가정이 급속히 늘어나고 있다. 이로 인해 다문화 가정 자녀의 수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이 우리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긍정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조력하는 일은 우리사회가 해야 할 중요한 역할 중에 하나가 되었다. 그런데 현재까지 진행된 다문화 가정 자녀를 위한 지원교육은 대부분 언어 및 학업적인 부분에 치중되어 있었다. 물론, 학업에 관한 부분이 가장 시급한 과제이기에 이와 관련된 지원교육을 하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다. 그러나 청소년기는 학업과 더불어 진로를 탐색하고 자신이 원하는 진로에 대한 다양한 경험을 쌓아야 할 시기이다. 국제결혼 가정 자녀의 가장 큰 고민 중 학업 다음으로 큰 고민이 진로에 관한 고민이라는 결과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우리나라의 교육은 진로교육에 관심을 두고 있지 않다. 문제는 학교가 채워주지 못하는 진로교육의 부분을 다문화 가정 자녀들은 가정에서도 채우기 어렵다는 것이다. 중학교 학생들은 자신의 진로와 관련해 부모와 가장 많은 상담을 하는데 다문화 가정의 경우 언어장벽으로 인해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에 곤란을 겪는 경우가 많다. 의사소통의 단절은 애착관계에도 영향을 미쳐 다문화 가정 청소년들은 일반가정 청소년에 비해 부모와의 애착형성에도 어려움을 겪는다. 이런 문제는 다문화 가정 청소년들의 자기개념 및 효능감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로 인해 다문화 가정 청소년들은 진로를 탐색하고 결정하는데 있어 일반가정 청소년들보다 더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과 일반가정에서 중학생 자녀가 지각하는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유형과 애착정도, 자기효능감을 비교해 보고 이로 인한 차이가 중학생의 진로장벽 인식과 진로의사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서울․경기 지역에 위치한 10개 교에 재학 중인 다문화 가정 중학생 및 일반가정 중학생 474명을 표집 하여 선정하였으며 이중 204명(다문화 가정 중학생 102명, 일반가정 중학생 102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설문지는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척도, 부모애착 척도, 자기효능감 척도, 진로장벽 척도, 진로의사결정 수준 척도를 사용하였고, 조사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첫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둘째, 가정의 구성형태에 따라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부모애착, 자기효능감, 진로장벽인식, 진로의사결정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t-test를 실시하였다. 셋째, 가정의 구성형태에 따라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부모애착, 자기효능감, 진로장벽인식, 진로의사결정 수준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가정의 구성형태에 따라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부모애착, 자기효능감이 진로장벽 인식 및 진로의사결정 수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단계선택법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부모애착, 자기효능감이 다문화 가정 중학생의 진로장벽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아버지의 개방적 의사소통과 아버지 애착, 자기효능감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가 나타난 이유는 다문화 가정의 경우 외국인 어머니의 한국어능력 부족과 문화차이로 인해 소극적 양육태도가 나타나고 이로 인해 자녀양육의 초기에 아버지의 개입이 많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외국인 어머니의 한국어능력이 향상되고 한국문화에 대한 적응도도 높아지지만 초기에 발생한 양육형태가 고착화 되어 다문화 가정 중학생들은 여전히 아버지와 더 많은 관계형성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비해 일반가정 중학생들의 진로장벽인식에는 자기효능감만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부모애착, 자기효능감 중 일반가정 중학생의 진로의사결정 수준에는 자기효능감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것에 비해 다문화 가정 중학생의 진로의사결정 수준에는 아버지의 역기능적 의사소통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역시 자녀의 진로의사결정에 어머니 보다는 아버지와의 관련성이 높다는 것을 보여주었으나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진로장벽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비해 미비하게 나타났다. 또한 진로장벽인식에는 아버지의 개방적 의사소통이 영향을 미치는 것에 반해 진로의사결정 수준에는 아버지의 역기능적 의사소통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버지와의 긍정적이고 개방적인 의사소통이 진로에 관한 두려움을 줄이는 것에는 일정부분 영향을 미치지만 이것이 실제로 진로를 선택하는데 도움을 주지는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 가정 중학생과 일반가정 중학생들의 진로장벽 인식 및 진로결정 수준에 대한 논의와 진로상담과 진로교육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점을 제시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6 C. 연구모형 7 Ⅱ. 이론적 배경 8 A. 다문화 가정 8 1. 다문화 가정 개념 8 2. 다문화 가정 자녀의 현황 9 B. 부모-자녀 의사소통 12 1. 부모-자녀 의사소통의 개념 12 2. 부모-자녀 의사소통의 유형 13 3.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진로에 미치는 영향 14 C. 부모애착 15 1. 애착의 개념 및 유형 15 2. 청소년의 부모애착 17 3. 부모애착과 진로에 미치는 영향 18 D. 자기효능감 19 1. 자기효능감의 정의 19 2. 자기효능감이 진로에 미치는 영향 20 E. 진로장벽 21 1. 진로장벽의 개념 21 2. 진로장벽의 역할과 기능 22 3. 진로장벽의 분류 26 F. 진로의사결정 28 1. 진로의사결정의 개념 28 2. 진로의사결정 이론 28 가. Gelatt의 이론 29 나. Tideman과 O'Hara의 이론 30 다. Harren의 이론 31 3. 진로의사결정수준 이론 32 Ⅲ. 연구방법 34 A. 연구대상 34 B. 조사도구 35 1.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35 2. 부모애착 36 3. 자기효능감 37 4. 진로장벽 38 5. 진로결수준 39 C. 연구절차 및 자료 분석 40 Ⅳ. 연구결과 42 A. 일반적 특성 42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42 2. 연구대상자 부모의 일반적 특성 43 B. 주요 변수 간 차이 44 1. 가정의 형태에 따른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의 차이 44 2. 가정의 형태에 따른 부모애착의 차이 44 3. 가정의 형태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 45 4. 가정의 형태에 따른 진로장벽의 차이 46 5. 가정의 형태에 따른 진로의사결정수준의 차이 46 C. 주요 변수 간 상관관계 47 1. 다문화 가정 변수 간 상관관계 47 2. 일반 가정 변수 간 상관관계 49 D. 가정의 형태에 따른 중학생 자녀가 지각하는 심리적 요인이 진로장벽과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51 1.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하위요인이 진로장벽인식과 진로의사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51 가.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진로장벽인식에 미치는 영향 51 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진로의사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53 2. 부모애착이 진로장벽인식과 진로의사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55 가. 부모애착이 진로장벽인식에 미치는 영향 55 나. 부모애착이 진로의사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57 3. 자기효능감이 진로장벽인식과 진로의사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58 가. 자기효능감이 진로장벽인식에 미치는 영향 58 나. 자기효능감이 진로의사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59 4.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부모애착, 자기효능감이 진로장벽과 진로의사 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 61 가.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부모애착, 자기효능감이 진로장벽인식에 미치는 영향 61 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부모애착, 자기효능감이 진로의사결정수준 에 미치는 영향 63 Ⅴ. 결론 65 A. 요약 및 논의 65 B.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72 참고문헌 75 부록(설문지) 89 ABSTRACT 9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6686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다문화 가정 중학생이 지각하는 부모관계 및 자기효능감이 진로장벽인식과 진로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influence of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self-efficiency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in multi-cultural on career decision awareness and career decision level-
dc.creator.othernameLee, Ji Min-
dc.format.pagexii, 10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201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