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손정례-
dc.contributor.author김준희-
dc.creator김준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13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13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963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96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9639-
dc.description.abstract예로부터 인간은 자연 속에서 삶을 살아오면서 그 자연을 끊임없이 표현하려 하였다. 수많은 미술가들 역시 자연이 주는 여러 모습과 이미지를 자신들의 조형언어로 부단히 표현해왔다. 그들은 단순히 자연 풍경을 사실 그대로 재현하거나 모방하는데 그치지 않고, 자기 나름대로의 세계관과 미적 시각을 가지고 그 자연을 해석했을 뿐 아니라 거기에서 새로운 의미를 발견하여 작품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각 개별 작품에 반영된 자연은 작가의 미적 안목에 따라 새롭게 해석된 형태와 이미지를 드러낸다. 따라서 인간의 예술작업을 통하여 표현되는 자연은 어떻게 보면 ‘실재’와 차별되는 또 다른 자연이라고 할 수 있다. 본래 이미지(Image)는 ‘모방하다’라는 의미에서 출발한 것으로써 ‘실재’를 재생하려는 인간의 희망을 반영한 개념이다. 그런데 현대에 와서 이 이미지가 어떠한 대상을 드러내는 기호와 같은 역할을 하는 과정에서 개인의 주관이 개입되어 ‘실재’가 다르게 인식되는 것처럼, 미술작품 역시 작품을 둘러싼 사회, 문화적인 환경 속에서 다양하게 해석된다. 이처럼 보는 이의 사상과 정서가 투영된 관점이 강조되는 시기를 바탕으로 본 연구자는 자연이 가지는 다양한 시각적인 이미지를 찾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연을 일반적인 재현의 대상이 아닌 보는 이의 시각경험을 통해 인지된 형태를 자수 조형으로 표현함으로써 우리가 보는 자연 이미지 대한 다양한 시각적 해석의 가능성을 보여주는데 있다. 첫째, 본 연구자는 콜링우드(Robin George Collinwood ,1889~1943)의 자연철학을 근거로 자연에 대한 개념과 의미에 대한 이론적 접근을 시도하였고, 또한 각 시대별 미술 사조를 통하여 자연과 예술이 상호관계 속에서 조형적 특성을 어떤 방식으로 나타내는지 분석하였다. 자연은 예술의 주된 탐구 대상으로서 일반적으로는 자연 환경, 또는 풍경으로서의 자연을 일컫는 경우가 많으나, 좁은 의미에서는 자연물이 갖는 특성으로서의 형태, 균형, 비례 등의 미적 속성을 나타내기도 한다. 보통 예술가들은 자연을 표현하는데 있어 자연의 특징적인 모습을 포착하여 보여주는 방식을 사용하거나, 아니면 자연이 가진 추상적인 속성을 구체적인 형태와 이미지로 드러내는 방식을 사용한다. 본 연구자 역시 자연을 있는 그대로 재현하기보다는 자연이 발산하는 다양한 이미지를 표현하려 하였다. 둘째, 이미지의 일반적인 개념을 알아보기 위해 존 버거(John Berger, 1926~)의 이미지를 바라보는 방법에 관한 이론을 근거로 ‘이미지’와 ‘실재’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자는 이미지가 포착될 때 인간의 눈에 원래의 대상이 어떻게 비춰지며, 그 과정에서 각 개인의 경험이 개입됨으로써 각기 색다른 이미지를 만들어 낼 수 있다는 점을 보이고자 하였다. 셋째, 자연이 가진 이미지의 다양함을 보여주기 위하여 ‘투명성에 의한 중첩’과 ‘선의 반복’이라는 방식을 활용하였다. 이를 통하여 ‘실재’와 ‘이미지’의 상호관계와 그 거리를 시각적으로 드러내고자 하였다. 또한 현재를 지배하고 있는 문화적 통념의 관점에서 바라본 모습과 달리, 자연은 전혀 색다른 이미지를 가질 수 있다는 사실을 알려주고자 하였다. 넷째, 현대미술과 섬유예술에서 자연 이미지를 표현한 작품들을 조사하였으며, 이를 응용하여 4점의 자수조형 작품을 제작하였다. 투명한 재료인 아크릴, 비닐, 노방을 사용하여 중첩시키는 방식을 활용하였는데, 인공적이지 않은 자연의 모습을 보여주기 위해 견사, 은사, 면사, 합성사 등 여러 가지 종류의 실로 바탕과 조화를 이루며 연결하였다. 실에서 나온 원래의 색감을 그대로 보여주면서도 천들이 겹쳤을 때 발생되는 깊이감과 공간감을 주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자연의 의미와 이미지에 대한 이론을 바탕으로 자수 재료와 기법에 의한 조형적 표현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이에 존 버거의 이미지에 대한 관점을 적용하여 자연에 대한 형상화의 과정을 살펴보았다. 표현적 측면에서 볼 때, 선의 반복과 투명 소재의 중첩이라는 방법을 통하여 자연이 예술 작품에서 보이는 의미와 그 이미지의 표현을 드러내 보이려하였다. 즉, 투명한 소재의 재료와 여러 가지 천과 실을 중첩시켜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자연의 형상 이미지를 만들고, 오브제와 실을 통해 선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우리가 지각 하는 것은 실재가 아닌 단지 이미지 일 뿐이고, 이에 대한 인식에 근거하여 감상자의 시각경험을 넓힘과 동시에 어떠한 대상이든 개성적인 시각으로 바라 볼 수 있음을 보여주고자 하였다.;Man has continued to try to express nature, living in it from the beginning. Many artists have been consistent in expressing the various shapes and images of nature with their own formative languages. Beyond simply reproducing or mimicking natural landscapes as they are, they have not only interpreted nature in their own world views and aesthetic perspectives, but also discovered new meanings in them and tried to express them in their works. That is why nature reflected in individual works of artists demonstrates the shapes and images of nature newly interpreted by their respective aesthetic views. In some way, nature expressed in man's artistic works is another nature differentiated from "actual nature." Image originally derived from the meaning of " Mimicking," reflecting human hopes of reproducing "actuality." In modern days, personal subjectivity has intervened in the process of images playing the roles of signs to represent certain objects and made "actuality" perceived differently. Likewise, artistic works are, too, subject to various interpretations in their social and cultural surroundings and environments. The investigator tried to find the various visual images of nature based on the period when the perspectives in which the viewer's ideologies and emotions were projected were emphasized.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ress nature as embroidery forms in the forms perceived through the viewer's visual experiences rather than the object of general reproduction and thus to demonstrate the possibilities of diverse visual interpretations of nature. First, the investigator made a theoretical approach toward the concepts and meanings of nature based on the nature philosophy of Robin George Collinwood(1889~1943) and analyzed the artistic trends of each period to figure out how formative characteristics were expressed in the correlations between nature and art. As the primary object of exploration in art, nature usually refers to natural environment or landscape. In a narrower context, it represents the aesthetic attributes of natural objects such as form, balance, and proportion. Artists either capture and show the characteristics aspects of nature or display the specific shapes and images to show the abstract attributes of nature in their attempts to express nature. The investigator tried to express the various images of nature rather than reproducing it as it was. Second, the study looked into relations between "image" and "actuality" based on the theory on how to look at images by John Berger(1926~ ) in order to understand the general concepts of image. The investigator attempted to demonstrate how the original objects were seen in the human eyes when images were captured and how different images could be created in the process by the intervention of individual experiences. Third, the investigator used "overlapping by transparency" and "repetition of lines" to show the different images of nature, tried to exhibit the correlations and distance between "actuality" and "image" visually, and attempted to let the audience learn that nature could have completely different images from its images seen in the viewpoint of common cultural ideas dominating the present time. Finally, the investigator created four works of embroidery forms by finding and applying the works that expressed the images of nature in contemporary and fiber art. Transparent materials such as acrylic, vinyl, and nobang were used to general overlapping effects, and silk, silver, cotton and synthetic yarn was used together to show nature that was not artificial. The investigator tried to show different effects generated when different fabrics were overlapped over each other while displaying the original color feels of yarn as they were. The study delved into the formative expressions by different embroidery materials and techniques based on the theories on the meanings and images of nature. John Berger's perspective on images was also applied to examine the embodiment process of nature. In terms of expression, repetition of lines and overlapping of transparent materials were employed to show the expressions of nature's meanings and images in artistic works. That is, the transparent materials and the fabrics and threads of chromatic colors were overlapped over each other to allow for the various interpretations of perspectives so that the investigator could create the forms and images of nature and express lines through objets and threads. The process was intended to show that what we perceived were merely images rather than actuality and that the viewers could broaden their visual experiences based on that perception and look at any objects from a subjective perspectiv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연구 내용 및 방법 1 Ⅱ. 이론적 배경 3 A. 자연의 조형적 특성 3 1. 자연의 개념 3 2. 자연에 대한 시각과 조형 6 B. 자연 이미지의 개념과 표현 15 1. 이미지의 개념 15 2. 자연 이미지의 표현 21 C. 예술작품에 표현된 자연 이미지 40 1. 현대예술에서의 자연 이미지 40 2. 섬유예술에서의 자연 이미지 46 Ⅲ. 작품제작 및 분석 55 A. 작품제작 55 B. 작품분석 58 Ⅳ. 결론 71 참고문헌 73 Abstract 7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83576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자연 이미지를 통한 자수 조형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Embroidery Forms through the Images of Nature-
dc.creator.othernameKim, Joon hee-
dc.format.pageviii, 7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조형예술학부-
dc.date.awarded201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