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4 Download: 0

루프형 입체적 장식요소의 소재 물성 및 입체 복원 효과에 대한 연구

Title
루프형 입체적 장식요소의 소재 물성 및 입체 복원 효과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Effect of Fabric Properties used for the Loop Type Decorative Elements on the 3-dimensional Shape
Authors
고영민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종준
Abstract
In the modern fashion industry, efficiency has been increasing thanks to development of computer graphics, IT technology, and digitalization. Unlike the past when fashion design heavily depended on handwork, digitalization of fashion industry makes fabrication time shorter and enables designers to adopt comprehensive expression, generating high value product. The Apparel CAD, an example of the digitalized fashion industry, has been developed from 2D system into a system providing 3D simulation. Digital clothing can be determined as an activity of designers using the tool in order to fabricate pattern and simulate its designed clothes in the virtual space of computer. With the digital clothing system, designers could reduce trial and error which can occur during fabrication work, and predict its result or modify it according to simulated clothes. In the rapidly changing fashion industry, designers are focusing on more creative expression and fresh idea. Three-dimensional expression of material with decoration using various material and technique is being adopted by many designers since it provides visual stimulation. In this study, physical properties of eight materials, which can be utilized on a par with current fashion trend, will be specified. For more sophisticated investigation, external appearance of the material was investigated by 3D scanning. Obj files obtained by 3D scanning was sent to Rhino 3D to estimate coordinates and analyze external appearance. Intrinsic stiffness per length was estimated via 3D scanning while decorating material per each sample, external appearance for decorating material per length were analyzed in order to find peak value, and to compare three-dimensional value.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it was found that ramie fabric (MP) indicated the highest value in terms of characteristics and intrinsic stiffness, while polyester chiffon (PC) and nylon mesh (NM) indicated the lowest value. According to KES’s analysis, B1 showed the highest in MP, and lowest in PC, while B2 showed the highest in MP, and the lowest in NM. According to investigation of KES for coefficient of correlation between B value and intrinsic stiffness, B value and Flex intrinsic stiffness, high correlation was found. MP which has the highest value in flexural stiffness was out of the curve for correlation between B and C value. B1 and Sf(warp) showed high correlation, and it was found that correlation graph in general is correspond.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for dropping figure per forced length with intrinsic stiffness tester used in Flexometer method, it was found that Polyester spider weave(PS) showed the highest value in stiffness when 4cm was pushed, while PC dropped the most. And MP showed the highest value in stiffness when 6cm was pushed, while PC dropped the most. In addition, MP showed the highest value in stiffness when 8cm was pushed, while CP dropped the most. According to investigation analyzing external appearance of decorating material per sample, linen (LP) showed the highest value in three-dimension effect, while NM showed the lowest value. With such a result, virtual material and clothes were simulated via CLO 3D one of 3D apparel CAD. Then, virtual material and clothes of similar type were generated. But, it was found that with respect to simulating surface texture material having high degree of clearness, such as PS, NM, PC, showed difficulty in expressing external appearance than material having low degree of clearness. Also, during the simulation, it was found that clothes having lots of decorating elements requires much more times than clothes having simple pattern. In this study, dating physical characteristics of material used in decorating elements, and analyzing external appearance via 3D scanning were performed. In addition, on the basis of above, physical property of material was simulated by fabricating 3D virtual clothes and material. It is expected that the study will be a valuable data for developing efficiency in fabrication of clothes trough Digital Clothing System.;현대 패션 산업은 컴퓨터 그래픽스와 IT기술의 발달과 함께 디지털화 되면서 점차 효율성이 증대되고 있다. 패션 산업의 디지털화는 과거의 수작업에 의존하던 의상 제작 과정에 비해 제작 시간이 단축되고 좀 더 폭넓은 디자인의 표현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러한 패션 산업 디지털화의 일환인 어패럴 CAD는 오늘날 2차원적 시스템에서 나아가 3차원 시뮬레이션이 가능한 시스템으로 발전하였는데 이러한 3D 어패럴 CAD 시스템을 통해 패턴을 제작하고 시뮬레이션하여 컴퓨터의 가상공간에서 가상 의복을 재현하는 것을 디지털 클로딩이라고 한다. 디지털 클로딩 시스템은 의상 제작 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시행착오를 줄이고 가상 의복을 통해 전체 디자인을 미리 예측, 수정할 수 있다. 한편 빠르게 변화하는 패션 산업의 흐름 속에서 디자이너들은 좀 더 새롭고 독창적인 소재 표현을 주목하고 있다. 장식을 통한 입체감 있는 소재 표현은 시각적인 자극을 주므로 많은 디자이너들은 여러 가지 재료와 기법을 이용해 입체적인 소재 표현을 선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트렌드에 맞춰 장식적 소재에 활용될 수 있는 8가지 소재의 물리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정밀한 분석을 위해 3차원 스캐닝을 통해 루프형 장식 소재의 외관 형태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3차원 스캐닝을 통해 얻어진 obj파일을 Rhino3D에서 불러내고 좌표 값을 산출하여 외관 형태를 분석하였다. 3차원 스캐닝을 통해 길이별로 처지는 형태를 분석하고, 각 시료에 따른 장식 소재와 길이별 장식 소재의 표면 형태를 분석하고 최고점을 찾아 입체감을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물리적 특성치 중 강경도는 모시인 MP가 가장 크고 폴리에스터 시폰 인 PC와 나일론 메쉬인 NM이 작게 나타났다. KES에 의한 평가 결과 B1값은 MP가 가장 높게, PC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B2값은 MP가 가장 높게, NM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KES의 B값과 드레이프 강경도, B값과 플렉스 강경도 간의 상관계수를 분석한 결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굽힘특성이 높은 MP는 B값과 C값의 직선적 상관 곡선의 경향에서 벗어나 있었다. B1과 Sf(warp)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상관그래프는 일반적으로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플렉소미터법에 사용되는 강경도 시험기 위에서 밀어낸 길이를 달리하여 처진 형태를 분석한 결과 4cm밀어냈을 때는 폴리에스터 망목직인 PS가 가장 뻣뻣하고 PC가 가장 처졌으며 6cm밀어냈을 때는 MP가 가장 뻣뻣하고 PC가 가장 처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8cm 밀어냈을 때는 MP가 가장 뻣뻣하고 면인 CP가 가장 처진 것으로 나타났다. 각 시료별 장식 소재의 외관 형태를 분석한 결과 리넨인 LP가 가장 큰 입체감을 나타냈으며 NM이 가장 작은 입체감을 나타냈다. 이러한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3D 어패럴 CAD의 한 종류인 CLO 3D를 이용해 가상 소재와 가상 의상을 재현하였다. 비교적 유사한 형태의 가상 소재 및 가상 의상을 제작할 수 있었다. 그러나 표면 텍스처를 재현하는데 있어서 PS, NM, PC와 같이 투명도가 높은 소재는 투명도가 낮은 소재에 비해 외관을 동일하게 표현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전체 의상을 시뮬레이션 할 때 단순한 패턴의 의상에 비해 장식요소가 많은 의상은 소요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장식요소에 사용되는 소재들의 물리적 특성치를 데이터화하고 외관 형태를 3차원 스캐닝을 통해 정량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3차원 가상 소재와 의복을 제작하여 소재의 물성을 재현하였다. 이는 향후 디지털 클로딩 시스템을 이용한 의상제작에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