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재경-
dc.contributor.author신지연-
dc.creator신지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12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12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8098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96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0983-
dc.description.abstractA variety of demands of high quality service for patients and advanced medical environments has been raised to medical services in along with the increasing proportion of service industry in the overall aspects of society. In the health and medical area, there was an attempt to solve problems by finding out a contact point between design and medical services, and also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to solve medical service problems from the perspective of designers. Accordingly, in case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there are increasing number of medical facilities providing services reflecting women’s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features in connection with beauty industry, postnatal care center and food service industry like restaurant and café. Besides, it is still very insufficient to consider single women who are not properly cared or treated in relation with obstetrics and gynecology. Social awareness on single women who had experiences in sexual discourse is still negative, and women suffering from diseases could not properly express their own disease which tends them to aggravate diseases. This study would like to examine various barriers in the use of actual services together with background in which patients would not use medical services in obstetrics and gynecology, and then attempts to find improvement measures to consider women by means of service designs. Today, our society undergoes a rapid change of sexual awareness and attitude to the young generation. Thanks to open sexual awareness and culture, young generations have free and open attitude on sex different from existing generations. In addition, as the marriage age is delayed due to employment environment and child birth environment, the number of single women increases strikingly and single women are vulnerable for several physical and mental diseases which mainly appear to married women. Despite such social trend, there have been no proper discussions or alternatives of social safety measures against contraception, pregnancy and childbirth. Though many matters could be solved easily by assistance of specialists, counseling or education, they have no suitable opportunity to access accurate information. Accordingly, it must not regard sexual experiences of single women and accompanying diseases as an individual problem of them, and it is required to find out specific solutions for fundamental transformation of awareness by notifying plausible diseases according to life cycle, their symptoms, significance of diagnosis and removal of psychological barriers. In order to specify psychological barriers in the process of treatment of women in obstetrics and gynecology, this study carried ou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 and produced a patient itinerary map according to service use level. As a result, through the whole process of services, patients felt inconvenient caused by the infringement of private life, and felt nuisance of others’ view and lack of compassion and sympathy of medical care providers. Thus, it demonstrated that there were psychological barriers. In the medical services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this study provided a specific alternative to solve problems of infringement of private life in terms of higher level of relevance, and extracted persona based on patients’ feedback. Then, the use process of medical services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was visualized according to actual service use process. Through the study carried out from the perspective of women, this study aimed to improve convenience of all aged women as well as patients for pregnancy and child birth. And the activities of designers do not remain in commercial profits such as product or advertisement but could involve health and medical problems. Furthermore, it is also expected to contribute to quality development of services for public benefits and social benefits by providing standardized design method and tools to solve problems of social level.;최근 사회 전반에 걸쳐 서비스 산업의 비중이 높아지면서 의료서비스와 관련해서도 보다 환자를 배려하는 질 높은 서비스와 진일보한 의료 환경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보건 의료 분야에서도 디자인과 의료 서비스의 접점을 찾아 문제를 해결하려는 움직임이 있었고 디자이너의 시각에서 역량을 발휘하여 의료서비스의 여러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고자 하는 다양한 시도가 나타나게 되었다. 따라서 여성의학과 병원의 경우에도 미용 관련 산업이나 산후조리원, 레스토랑 또는 카페 등의 외식업과 연계하여 여성의 심리적, 행동적 특성을 고려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의료시설이 늘어났다. 그러나 이와는 별개로 정작 여성의학과와 관련된 치료나 시술을 자유롭고 떳떳하게 받을 수 없는 환경에 놓인 미혼 여성에 대한 배려는 매우 미약하다. 성 경험이 있는 미혼 여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아직도 부정적인 방향에 치우쳐있어 크고 작은 질병으로 고통 받는 여성 들이 환자 스스로 자신 있게 표출할 수 없어 질병을 악화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디자이너의 시각에서 환자가 여성의학과 의료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는 사회적 배경과 함께 실제 서비스 이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 장애 요인을 살펴보고 서비스디자인 방법을 통하여 사용자인 여성을 배려하는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오늘날 우리 사회 젊은 층의 성의식이나 태도는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 특히 개방된 성 의식과 문화의 유입으로 기성세대와는 달리 성에 대해 자유로운 가치관과 태도를 지닌 사람이 많아졌다. 이와 더불어 고용 환경, 출산 환경 등의 배경을 이유로 결혼 연령이 과거에 비해 늦어짐에 따라 미혼 여성 인구는 현저히 증가하였고 기혼 여성들에게 주로 나타나던 각종 신체적 정신적 질병이 미혼 여성들에게서도 흔히 발병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사회적 흐름에도 불구하고 피임 교육과 임신, 출산에 대한 사회적 안전장치에 대한 논의와 적절한 대안은 제시되지 않은 채 여전히 과거에 머물러 있다. 전문가의 도움이나 상담, 교육으로 보다 쉽게 해결될 수 있는 문제임에도 불구하고 정확한 정보를 접할 기회가 마련되어있지 않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미혼 여성의 성 경험과 이에 수반되는 각종 문제를 더 이상 여성 개개인의 문제로 치부해서는 안 될 것이며 생애주기에 따라 발병 가능한 질병과 그 증상에 대한 안내 및 올바른 검진의 중요성을 알리고 심리적인 장애물을 없애는 등 의식의 근본적인 전환을 유도할 구체적인 해결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여성이 여성의학과 병원에 내원하여 진료를 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심리적 장애요인을 구체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관찰 및 심층 인터뷰를 수행한 후 서비스 이용 단계에 따라 환자 여정 맵을 제작하였다. 그 결과 환자가 서비스의 전 과정에 걸쳐 사생활의 침해에 따른 불편함을 느끼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고 특히 다른 환자의 시선이 불편하게 느껴지거나 의료진이 환자에 대해 공감하고 배려하는 정도가 낮은데서 오는 불쾌함을 토로한 환자가 많아 심리적인 장애 요인이 분명히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여성의학과의 의료서비스 이용 과정 중 사생활 침해의 문제와 가장 연관도가 높은 단계를 중심으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환자의 피드백을 바탕으로 페르소나를 도출하여 여성의학과 의료서비스 이용 과정을 실제 서비스 이용과정에 따라서 가시화 하였다. 본 연구는 여성의 눈높이에서 진행되는 연구를 통해 임신 및 출산을 목적으로 병원을 방문하는 환자는 물론 전 연령의 여성 환자의 편의 향상에 그 궁극적 목적이 있다. 또한 디자이너의 활동 무대가 단지 제품이나 광고 등 상업적 이익 창출에만 머무르지 않고 보건의료 분야의 문제는 물론 사회적 차원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보다 표준화된 디자인 방법과 도구를 활용하여 기여함으로써 공공의 이익과 사회 전반에 걸친 서비스의 질적인 발전에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 배경 및 목적 1 B. 연구 방법 및 범위 3 Ⅱ. 여성의학과 의료서비스 개선의 필요성 5 A. 여성을 위한 의료 서비스 현황 5 1. 여성 의료서비스의 추세 5 2. 문제점 대두 8 B. 의료서비스 주체로서의 여성의 특징 13 C. 여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 및 인구학적 특성 변화 15 1. 결혼 및 출산 연령의 변화 15 2. 생활 습관의 변화 18 3. 의식의 변화 19 Ⅲ. 여성을 위한 의료서비스 디자인의 개념 및 현황 21 A. 의료서비스 디자인의 개념 및 정의 21 1. 디자인 패러다임의 변화 21 2. 의료서비스 디자인의 개념 25 3. 의료서비스 디자인의 정의 29 B. 의료서비스 디자인 사례연구 32 Ⅳ. 여성을 위한 의료서비스 디자인 분석 및 전개 36 A. 연구대상 및 방법 36 B. 서비스 디자인 프로세스 38 C. 의료서비스 질의 평가 기준 설정 41 D. 의료서비스 디자인 전개 47 1. 이해관계자 분석 47 2. 환자 심층 면접 49 3. 터치 포인트 정의 54 4. 여성의학과 의료 서비스의 터치 포인트 도출 55 Ⅴ. 여성을 위한 의료서비스 디자인 제안 63 A. 서비스디자인 전략 63 B. 서비스디자인 제안 70 Ⅵ. 결론 및 향후 연구 방향 78 참고문헌 81 ABSTRACT 8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30450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여성의학과 의료 서비스디자인 개선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Service Design for Women's hospital-
dc.creator.othernameShin, Ji Youn-
dc.format.pagevi, 8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자인학부산업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