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경실-
dc.contributor.author안수영-
dc.creator안수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10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10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8012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94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0126-
dc.description.abstract사회적으로 색채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는 가운데 체계적이고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는 색채교육의 중요성이 매우 커지고 있다. 그러나 일제강점기에 처음으로 도입된 미술교육 과정과 함께 색채교육 분야 역시 무비판적이고 제한적으로 수용된 체계를 따라 1세기를 지나쳐 왔다. 지금의 색채교육은 단순히 색채의 이론적 측면만 강조된 주입식 교육의 방법으로 행해지고 있으며 이러한 색채교육 환경은 시급히 개선되어져야 하는 부분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 논하고자 하는 유아기의 색채교육은 그 시기적 특성상 성인과 차별화된 교육 방법이 필요하며, 유아의 정서와 인지발달을 비롯하여 창의성 발달에 큰 영향을 줌과 동시에 성인이 되어서까지 그 영향력을 가진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만 3세에서부터 만 5세까지 유아들의 색채 지각의 특성과 감각적 특성에 관한 이론들을 고찰한 결과 유아들은 성인과 비슷한 수준의 시각적 정확도를 지니며 색채에 대한 개념이 형성되기 시작하는 시기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유아기에만 나타나는 공감각적 특성으로 인해 다양한 감각을 통한 효과적인 색채 교육이 가능하며 유아기에 형성된 색채에 대한 개념은 성인이 되어서까지 그 영향력이 지속됨을 감안할 때 그 중요성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색채교육의 궁극적 목적인 창의성 발달 또한 유아기에 가장 활발히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으며 유아기에만 나타나는 창의성의 특성을 고려할 때 색채교육은 적합하고 효과적인 도구가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현재 교육기관과 가정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유아기 대상의 색채교육의 효과와 현황을 분석한 결과 획일적인 교육방식과 교육 주체의 편의에 초점이 맞추어진 제한적인 색채교육의 환경은 오히려 유아들에게 색채에 대한 고정관념을 심어주게 되어 창의성 발달과 거리가 먼 결과를 초래하였다. 또한 색채교육과 같이 전문성을 필요로 하는 분야의 교사들이 전문성을 갖기 어렵게 되어있는 교사 양성 시스템과 색채교육의 현장에서 활용할만한 양질의 컨텐츠 부재 등 색채교육의 열악한 환경의 근본적인 원인들을 알 수 있었다. 우리나라 뿐 아니라 세계적으로 교육계의 가장 큰 화두는 ‘창의적 인재 양성’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여러 선진국들의 창의성 교육 추진의 방향의 중심에는 예술교육 강화를 중심으로 모든 교과과정의 통합을 통해 창의성을 함양하는 것’임을 선진 사례 분석을 통해 알 수 있었다. 유럽의 많은 국가들이 예술교육에 관심을 갖고 정부 차원의 연구와 지원을 기반으로 활발한 예술교육이 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로 인한 긍정적 교육 효과가 검증되고 있다. 이처럼 창의성 발달에 효과적인 도구가 되는 색채교육은 창의성 발달이 가장 활발하게 일어나는 유아기의 시기에 반드시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현재 많은 문제점들을 갖고 있는 유아기 색채교육의 교육 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몇 가지 방안을 제안하는 바이다. 첫째, 유아기 창의성 발달을 위한 색채교육은 예술교육분야에만 국한할 것이 아니라 모든 영역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색채라는 도구를 활용한 교육은 배움의 경험을 더욱 풍부하게 하며 효과적인 유아 교육의 도구가 될 수 있다. 둘째, 언어 발달이 폭발적으로 이루어지는 유아기의 특성상 좌뇌와 우뇌의 조화로운 발달을 위해 미술 재료 중심의 색채교육 내용에 색이름을 교육하는 언어교육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유아기 창의성의 특징인 자발적 동기와 과정의 중요성을 고려할 때 반드시 놀이의 방법을 활용하여 교육해야 한다. 넷째, 자연물을 주재료로 사용하여 교육하여야 한다. 자연에서 보게 되는 수많은 색채와 셀 수 없이 많은 질감들을 직접 만지고 체험하는 공감각을 활용한 탐색 과정 자체가 색채교육이 될 수 있다. 다섯째, 색채교육의 전문성을 위한 교사와 부모의 재교육을 의무화하고 정책개선과 함께 양질의 교육 컨텐츠의 보급이 하루 빨리 이루어져야 한다. 위와 같은 색채교육의 개선 방안을 통해 유아기 창의성 발달을 위한 색채교육이 교육의 현장에서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날을 기대해본다.;The importance of color education which is systematic and suitable for the actual circumstances of this country is considerably growing while interest in colors is increasing socially. However, the field of color education as well as arts education curriculum introduced for the first time in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has passed through 1 century according to systems which were accepted in uncritical and limited fashion. The current color education is done as a way of teaching and learning by rote simply stressing only theoretical aspects of colors and this environment of color education needs to be improved immediately. Especially color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which is to be discussed in this paper needs differentiated teaching methods from those for adult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iod, and it has a significant meaning in that it not only exerts a big effect on creativity development including the emotional and cognitive development of children in early childhood but also has an effect on even their adulthood. Analysis on theories of characteristics of color perception and sensory features of preschoolers between 3 and 5 years old indicated that they have similar visual accuracy as that of adults and are in the period when concepts of colors begin to be formed. In addition, it can be said that its significant is very great taking it into consideration that it's possible to do effective color education through various senses due to synesthetic characteristics which appear in early childhood only and that concepts of colors formed in early childhood keep exerting their effects on even their adulthood. It was found that also creativity development which is an ultimate purpose of color education is done the most actively in early childhood and that color education can be a appropriate and effective tool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creativity appearing in early childhood only. However, analysis of the effects and present status of color education with early childhood which was done in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at home currently indicated that standardize teaching methods and limited environments of color education focused on convenience of educational subjects gave stereotypes of colors to preschoolers which led to results far from creativity development. Besides, we could identify fundamental reasons of poor environments of color education including a lack of content with good quality to be used in the field of color education as well as teacher training systems in which it's difficult for teachers to have professionalism in the field requiring professionalism like color education. The biggest topic is focused on ‘cultivating creative individuals’ in the educational world globally as well as in this country. Analysis of advanced cases indicates that in the center of the direction of creativity education in many developed countries, there is developing creativity through the integrated curriculum focused on the reinforcement of arts education. Many countries in Europe are interested in arts education and it is provided actively in the education field based on research and support on a governmental level and consequent positive education effects are being proved. As mentioned above, color education which is an effective tool for the creativity development must be provided systematically in early childhood when it occurs the most actively and this study proposes several programs in order to improv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color teaching of early childhood with many problems currently. First, color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creativity must be provided in every area without being limited to the field of art teaching alone. Education employing tools of so called colors enriches experience of learning and can be a means to effective early childhood education. Second, due to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hood when language development is explosive, language teaching should be provided as well to teach color names in content of color education focused on arts materials for the harmonious development of left and right brains. Third, methods of play must be employed and taught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importance of voluntary motives and processes which are characteristic of early childhood creativity. Fourth,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using natural objects as main materials. The exploratory process in itself employing synesthesia can be color education while children touch and experience numerous colors seen in nature and countless textures. Fifth, reeducation with teachers and parents needs to be made compulsory for their professionalism of color education and provision of educational content of good quality should be done as soon as possible along with policy improvement. We expect that the above improvement plans of color education will make it possible to systematically provide color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creativity in the education fiel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B. 연구방법 2 Ⅱ. 유아기의 색채교육 4 A. 유아기 색채교육의 이해 4 1. 유아기 색채교육의 개념 4 B. 유아기 색채교육의 목적 10 1. 유아기 색채교육을 통한 창의성 발달 10 Ⅲ. 유아기 색채교육 효과현황 분석 및 선진사례 22 A. 유아기 색채교육의 효과분석 22 1. 색채교육 효과분석을 위한 실험 개요 22 2. 실험 결과 분석 27 B. 유아기 색채교육의 현황 37 1. 유아기 색채교육의 현황 분석 37 2. 유아기 색채교육 연구의 현황 49 3. 소결 50 C. 선진사례 분석 52 1. 영국 52 2. 프랑스 55 Ⅳ. 유아기의 색채교육을 위한 개선 방안 제안 59 A. 유아기 색채교육의 개선 방향 59 B. 유아기 색채교육의 개선 방안 62 1. 통합교육의 도구로서의 색채교육 62 E. 종합 75 Ⅴ. 결론 78 참고문헌 81 Abstract 8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18395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유아기 창의성을 위한 색채교육 개선 방안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improvement plans of color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creativity-
dc.creator.othernameAnn, Su Young-
dc.format.pagexi, 8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자인학부색채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