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1 Download: 0

감성기반의 웹 그래픽 디자인 모형에 관한 연구 : 웹 사이트 초기 화면을 중심으로

Title
감성기반의 웹 그래픽 디자인 모형에 관한 연구 : 웹 사이트 초기 화면을 중심으로
Authors
정승은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정보디자인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동훈
Abstract
The emotional needs of users has been grown up in web design field with facing advanced information age which attaches great importance to the needs and emotions of customers. Every value judgement is decided by individual intuitive emotion in emotional information business, and the needs of users are affected by emotional & psychological satisfaction, too. Though designers make fantastic designs, however, they gain users' sympathy on condition that they match the emotions of users. Namely, designers can satisfy the emotions of users if they know the emotions of users and the related formative characters. This thesis searches the emotions of users about the formative characters of designs for website' homepages, adjusts the characters of formative factors suitable to such emotions, and then makes the emotions of users be reflected in the design process of websites. According to the above study, it can be known that the representative emotions requested by website users and the formative characters of web graphic designs which show such emotions. In this study, the emotional factors of website users searched by factor analysis were represented by adjective such as 'splendor', 'fun', 'convenient', and 'steady', their formative characters were analyzed respectively. The representative forms were analyzed because the websites positioned to each emotion had certain formative factors in common. Certain relation between emotions and formative factors means that aimed emotions can be expressed when some characteristic formative factors are applied to certain emotion in design process. Such results show that the analysis of specific forms can be studied about other emotions except the four emotions in this study. In addition, it can be used as an objective standard expressing emotions in design process. To transfer emotions into the same form has a limit which can be changed by a lot of variables or the characters of research data. However, such a study about the objective emotions may be seen as a user-oriented design process, and the objective images can help faster and persuasive process if design work.; 고객의 요구와 감성이 중요시되는 고도의 정보 시대를 맞아 웹 디자인 분야에서도 사용자의 감성적 니즈(needs) 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감성정보사회에서는 모든 가치판단이 개개인의 직관적 감성에 의해 결정되며, 사용자의 니즈 역시 감성적, 심리적 만족감이 많은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우리는 첫 화면을 보고 웹 사이트의 수준을 가늠하곤 한다. 사실 첫 페이지만 보고서 그 사이트의 좋고 나쁨을 말하기 어려운 것을 잘 알면서도 말이다. 첫 인상을 결정하는 홈페이지의 디자인은 그래서 더욱 중요하다. 그러나, 디자이너가 아무리 멋지게 디자인을 한다고 하더라도 사용자가 요구하는 감성에 부합될 때에만 원하는 공감이나 애착을 불러 일으킬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느끼는 감성과 이에 관련되는 조형적 특성을 알아야만 사용자가 요구하는 감성을 충족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웹사이트 홈페이지 디자인의 조형적 특성에 대하여 사용자가 느끼는 감성을 추출하고, 이 감성에 부합되는 조형요소들의 특징을 정리함으로서, 사용자의 감성을 웹 사이트의 디자인 과정에 반영시키고자 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목적과 범위, 방법은 다음과 같다. 제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내용 및 범위를 규정하고 방법을 기술하였다. 제 2장에서는 감성에 대한 개념 정의와 감성공학을 응용한 여러 감성디자인 사례를 고찰하고 이번 연구의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제 3장에서는 웹 그래픽 인터페이스의 디자인 요소들을 선정하고, 디자인의 조형요소와 원리에 대한 이론적 접근과 기법적 사례를 찾아 제시하였다. 제 4장에서는 인터넷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분석하여 감성차원과 이에 대응하는 웹사이트 이미지를 추출하였으며, 감성별로 추출된 대표적 웹사이트의 조형적 특성을 분석.평가하여 각 감성에 따른 웹 그래픽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제 5장에서는 연구의 결론과 제한점을 설명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상의 연구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웹 사이트에 대하여 사용자가 요구하는 대표적인 감성과 그 감성을 나타내는 웹 그래픽 디자인의 조형적 특징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요인분석을 통해 추출된, 사용자들의 웹사이트에 대한 감성차원은 화려한 , 재미있는 , 편리한 , 안정된 의 형용사로 대표되었으며, 각각 조형적 특징이 분석되었다. 이들은 사용자들이 요구하는 대표적인 감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웹 그래픽 디자인 과정에서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 2. 어떤 감성요소와 어떤 형태의 조형요소 간에는 일정한 관계를 가진다. 사물의 인터페이스는 디자인되는 순간부터 감성을 발생시키며 개인의 사고, 사회.문화적 배경 등에 따라 수신자들의 해석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해석 역시 각 감성마다 어느 정도 공통된 속성을 가진다. 즉, 각 감성에 대해 포지셔닝 된 대상 사이트들은 조형의 공통적 속성을 가지고 있어, 그 대표적 형태를 분석할 수 있었다. 3. 조형의 특징적 표현에 따라 목적한 감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연구 결과 감성과 조형 요소간에 어떤 일정한 관계를 가진다는 것은, 디자인 과정에서 어떤 감성에 대한 특징적인 조형속성을 적용했을 때 목적한 감성의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본 연구에서 조사가 행해진 네 가지 감성 외에 다른 감성에 대해서도 특징적인 형태의 분석을 이끌어 낼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며, 디자인 과정에 있어서는 목적하는 감성을 표현하는 객관적 기준점으로써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감성을 단일한 형태로 개념화 한다는 것은 여러 가지 변수에 따라, 혹은 그 연구대상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객관적인 감성에 대한 연구는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 과정으로 볼 수 있으며, 여기서 얻어진 객관적 이미지는 디자인 작업의 진행에서 더욱 신속하고 설득력을 가지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