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오숙환-
dc.contributor.author황신실-
dc.creator황신실-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10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10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8085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93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0858-
dc.description.abstract개인의 사유의 폭은 삶의 방향을 결정하게 한다. 그 방향은 스스로 선택해야 하며, 지속적으로 생각의 끈을 놓지 않아야 삶을 향유할 수 있다. 선택의 연속인 삶속에서 참[眞]을 향한 사유는 부단한 항상심과 균형 감각이 필요하다. 작품 역시 작가의 세계관을 드러내는 일이기 때문에 작가가 이해한 방식을 작품으로서 보여주는 것이며, 관점의 영역을 나타내게 된다. 본인의 작품에서 표현하고자 하는 바는 담(淡)이며, 담담함은 삶의 태도로 보고 있다. 중국에서 담(淡)이라는 주제는 오래된 예술철학이면서 생활 속에 광범위하게 내재되어 있는 일상이라고 할 수 있다. 담은 독특한 특징이 없는 것이 유일한 특징이라 할 만큼 두드러지지 않지만, 동양의 문화 속에서 내면화되어 있는 습성 때문에 그 가치를 의식하지 못할 뿐, 다의성과 확산성이 잠재된 무한한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으로부터 시작하여 조선시대 문인화가들까지 지향하였던 평담사상(平淡思想)을 통하여 본인의 작품이 의도하는 바를 밝히고, 평담미(平淡美)를 고찰함으로써 현대작품에서 확장 가능성을 살펴본 논문이다. 포괄적인 형태와 섬세함의 조화로움이 공존하는 평담은 현대에서도 새로이 지평을 넓혀갈 수 있는 미감으로 보고 있다. 담을 고찰함에 있어 중국의 사상과 관련이 깊은 평담의 연원과 의미를 살펴보았고, 예찬과 동기창의 회화로 평담미의 성취를 확인하였다. 예찬은 원대(元代)의 화가로 세속과 단절하여 그 사상을 실천한 삶으로 유명하다. 천연하면서도 시대에 맞게 담백한, 선(禪)적인 취미가 넘쳤으며 선비의 기개가 드러나는 산수화와 시집을 남겨 청빈한 문인 화가들에게 귀감이 되었다. 동기창은 명대(明代)의 추앙받은 문인학자로서 고서화 감식안이 뛰어났다. 시문서화(詩文書畵)의 예술적 측면에서도 훌륭한 작품을 많이 남겼고, 평담(平淡), 질박(質朴), 천진(天眞), 자연(自然)을 예술적 경지로 주장하였다. 중국회화에서의 평담을 살펴보았다면, 조선에서는 이인상과 강세황을 통해 문화예술을 즐기는 선비로서의 정신을 살펴보았다. 이인상은 담채의 담박한 표현으로 품격을 잃지 않았으며, 자의식이 강하고 신념과 가치가 완고한 품성을 회화에 그대로 드러내었다. 강세황은 18세기 뛰어난 화가이자 문장가로서, 문인적 성향에서 비롯된 평담을 추구하는 정신이 그의 모든 그림에서 전반적으로 관찰된다. 평담에 내포된 사상과 그 사상이 표현되는 회화를 살펴보는 연구는 본인의 작품을 분석하고 앞으로의 방향성을 설정하는데 있어서 중요하였다. 다음은 회화에서뿐 아니라, 조선후기의 백자를 담의 표현으로 살펴보았다. 조선만의 성리학으로 학문과 문화예술의 자주성을 꽃피우는 시기에 가장 적절한 아름다움을 보여주는 것은 ‘달항아리’라 불리는 백자라고 생각한다. 조선 백자를 보자면, 색감이나 형태가 단순하면서도 품격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담백하고 청렴한 문인들의 맑은 회화와 검소하고 질박한 가운데 극치의 아름다움을 얻은 조선백자는 시대의 미감을 제대로 보여주고 있다. 현대로 와서 담의 표현으로 살펴본 것은 산수화나 풍경이 아니었다. 이는 담이 편향성이 없고 무한히 포괄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담은 혼성과 혼용의 시대인 현대에서 경계를 넘나들며 포용하고 또 다른 세계로 확장시킬 수 있는 미감인 것이다. 이러한 기준으로 김홍주와 볼프강 라이프의 작품을 살펴보았는데, 양식에 관계없이 현시대의 담(淡)으로 볼 수 있겠다. 김홍주의 2005년 이후의 작업들은 회화의 가장 본래적이고 원초적인 상태를 지향하는 것으로 보인다. 미세한 세필로 수많은 붓질을 반복하여 그려냈지만 명확한 화면을 보여주지는 않는다. 화면 안에서 회화 자체를 그대로 드러내고 있으며 고요한 이미지는 잠재적 에너지를 발산한다. 볼프강 라이프의 작품은 단순성과 반복성이라는 어법으로 삶의 여정을 담은 고유한 사고, 지식, 경험, 가치관, 예술관, 신념, 태도들을 보여준다. 그의 작업은 인간과 자연을 우주의 통일적 생명체계로 보는 동양의 유기체적 세계관과 자연관에 기인하고 있으며 자연의 질서에 따른 그의 작업은 본연의 의미에서 삶과 일치하는 태도를 보여주고 있다. 조형방법 연구로는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담을 형상화하기 위한 방법을 분석하였다. 먼저 조형의 기본단위인 ‘점(點)’에서 ‘선(線)’을 이루어 이미지를 구현하는 의미를 살펴보았고, 절제된 표현의 의도로 흑연, 또는 담묵의 사용과 단순한 행위의 반복 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명도의 차이를 약화시켜 평면화 하는 과정과 전면화를 통한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개별 작품을 분석하여 위 연구를 바탕으로 각 작품의 형성 과정 및 특징을 서술하였다. 이상의 연구 과정을 통하여 담(淡)의 의미를 고찰하고 이론적 근거를 마련할 수 있었으며, 조형적으로 형상화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핌으로써 그동안의 작업을 심도 있게 분석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본 논문의 연구를 토대로 삼아 발전된 형태의 새로운 회화로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In China, the theme of dam (淡, calmness) can be said to be long-standing art philosophy that is inherent widely in daily life. Dam looks so plain as can be said that its only characteristic is that it has no unique characteristic, but its value is not just perceived because of the habit that has been internalized in the Eastern culture. Dam, in which polysemy and diffusibility are latent, connotes infinite potentials. My work which is expressed with the title of ‘Dam Dam (淡淡)’ can be said to be a viewpoint of looking at the outside with inner eyes. The neutral picture plane that does not lean to one side or the other appears as misty scene, which has the effect of making the eye go far. Even though the work is near, it makes one feel as if one looks into the distance, making one remain aloof, which is similar to cultivating one’s mind. In this thesis, I revealed the meaning of what is intended in my work in pyeongdam (平淡) thought which began in China and influenced even scholar painters in the Joseon Dynasty, and considered its extensibility in modern works by examining the beauty of pyeongdam. In China, the pyeongdam thought began with personal characterization, and it became universal ideal in literature and expanded its influence in the field of arts and flourished together with the prosperity of literary paintings. The aesthetics of dam where comprehensive forms and the harmony of subtlety and fineness coexist appear to be what is to be pursued in modern times. Moreover, it is deemed suitable tendency to our country since the central force in the late Joseon Dinasty when autonomous cultural art blossomed was scholar painters who could deal with both literature and painting. On the basis of that culture, there was the spirit of pyeongdam and the aesthetic sense arising from this came to pursue noble stage. Accordingly, in studying dam, the origin and the meanings of pyeongdam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Chinese thoughts were described, and the formativeness was examined through the paintings of Yechan (倪瓚, 1301-1374) and Dongichang (董其昌, 1555-1636). Yechan who was a painter in the Yuan era is famous for his life of seclusion from the mundane world and practicing his thoughts. He was natural and full of Zen-like preference suitable to the times and left landscape paintings and collection of poems that reveal the spirit of classical scholar, and became the role model of poor but honest scholar painters. Donggichang was a revered scholar painter in the Ming era, and had an outstanding eye for antique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and left works superior in the artistic aspect of poetry and prose and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and he asserted innocence, nature, and dam as the artistic stages. The pictorial beauty of pyeongdam was examined in China while in Joseon, pyeongdam stages that enjoy art and culture through Lee In-sang and Gang Se-whang were examined. Plain color in Lee In-sang’s paintings does not lose dignity with plain expression, and revealed strong self-consciousness and the character with stubborn belief and value, and Gang Se-hwang was a painter and writer in the 18th century and the spirit that pursues pyeondam that began with literary person’s propensity is generally observed in all paintings. It is important in analyzing my works and establishing the direction ahead to examine the thoughts contained in dam and the paintings in which the dam thought is expressed. And then, not only paintings but also white porcelain in the late Joseon dynasty were examined with the expression of dam. What shows most appropriate beauty in the age in which the autonomy of learning and cultural art flourished with Joseon’s own neo-Confucianism is considered to be white porcelain called ‘Dalhangari,’ a moon-shaped jar of white porcelain. The beauty of pyeongdam can be confirmed in the color and shape of Joseon white porcelain. In the milk-white white porcelain, there is richness that is not overflowing. Clear paintings of plain and upright scholars and Joseon white porcelain that obtained the ultimate beauty amid simplicity and plainness show the plainness of the times properly. It was not landscape paintings or scenery that was examined with the spirit of dam. It is not necessary to limit its genre since dam is free of bias and has infinitely comprehensive characteristics. Dam is an aesthetic sense that crosses the boundaries and embraces and can be expanded into another world in the modern times of mixed composition and use. Based on this criterion, Kim Hong-ju and Wolfgang Laib’s works were examined and they represent the spirit of modern dam well, regardless of forms. Kim Hong-ju’s works after 2005 appear to aim at the most fundamental and primitive state. They were painted with minute stroke of overlapping brushing, but they do not show clear picture. However, they reveal the painting itself within the picture and the calm image gives off latent energy. The works of Wolfgang Laib show intrinsic thinking, knowledge, experience, view of value, view of art, belief attitude that contain the journey of life with the grammar of simplicity and repetitiveness. His work is based on the organic view of the world and nature of the Orient that regards human and nature as the unified life system, and his work following the order of nature shows the attitude that coincides with life in the true sense of the word. As the study of the method of expression, the method to embody dam based on my works was analyzed. First, the meaning of materializing image by forming the line from the point which is the basic unit of formativeness was examined, and the use of black lead or pale Indian ink with the intention of restrained expression and the effect of repeated simple actions were analyzed. And the process of making plane by weakening the differences in brightness and the image through making full surface were analyzed. And then by analyzing the individual works, the forming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work were described. Through the abovementioned study, the meaning of dam was examined and the theoretic basis was enabled to be built, and by examining the formatively embodying process concretely, I was able to conduct in-depth analysis on my works so far. Based on the study in this thesis, I will explore the possibility of advanced form of new painting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목적 1 B. 연구내용 및 방법 2 Ⅱ. 담(淡) 3 A. 평담(平淡)의 연원과 의미 3 B. 동양 회화에서의 담(淡) 9 1. 예찬 <용슬재도> 10 2. 동기창 <강산추제도> 12 3. 이인상 <설송도> 14 4. 강세황 <산수> 17 C. 조선백자의 소색으로 살펴보는 담(淡) 20 D. 현대적 적용으로 본 담(淡) 22 1. 김홍주 23 2. 볼프강 라이프 24 Ⅲ. 담(淡)의 조형성 연구 27 A. 점과 선 27 B. 표현의 절제 28 C. 공간의 평면화 30 Ⅳ. 작품 분석 31 Ⅴ. 결론 48 참고문헌 50 Abstract 5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95472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담(淡)의 표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xpression of Dam (淡)-
dc.creator.othernameHwang, Shin Shil-
dc.format.pageviii, 6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조형예술학부-
dc.date.awarded201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