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5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민경-
dc.contributor.author김선주-
dc.creator김선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08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08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8040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92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040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초등학교 영재학생들의 정서지능이라는 개인 내적인 변인은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라는 외적인 요인과 함께 진로성숙도와 어떠한 상관관계를 보이는지 알아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영재아동을 정서지능 수준에 따라 구분하여 각 집단별로 지각하는 부모양육태도와 진로성숙도에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그 둘의 관계를 조사하여, 두 집단의 차이와 특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정서지능 수준에 따른 초등학교 영재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정서지능 수준에 따른 초등학교 영재아동의 진로성숙도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정서지능 수준에 따른 초등학교 영재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진로성숙도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시 초등학교 단위학교 영재학급 5-6학년 학생 104명을 대상으로 문용린(1996)이 제작한 정서지능 검사, 오성심과 이종승(1982)이 제작한 자녀가 지각하는 부모양육태도 검사 그리고 이정희(2009)가 제작한 진로성숙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 검증과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영재아동은 정서지능 수준에 따라 부모양육태도에 대해 지각하는 수준과 정도에서 차이를 나타냈다. 영재아동의 정서지능이 높을수록,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대해 긍정적으로 지각하는 수준이 더 높았다. 이는 정서지능이 높을수록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태도를 애정지향적, 자율지향적, 합리지향적, 성취지향적인 긍정적인 태도로 지각하는 정도가 더 강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정서지능이 낮은 영재아동의 경우, 아버지와 어머니의 자율지향적 양육태도에 대해서는 지각하는 수준이 낮았으며, 이는 정서지능이 낮을 수록,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태도를 권위적이며 제한을 많이 두는 다소 통제적인 양육태도라고 지각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초등학교 영재아동들은 정서지능이 높을 수록 진로성숙도가 높았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같은 영재아동의 집단 내에서도 정서지능의 수준에 따라 진로성숙도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영재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진로성숙도의 상관관계에서도 정서지능의 수준에 따라 그 양상에서 차이를 보였다. 정서지능이 높은 영재 아동이 지각하는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진로 성숙도간의 상관관계는 모두 정적 상관을 보였다. 그러나 정서지능이 낮은 영재아동의 경우, 지각된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성취지향적일 때 아동의 진로성숙도와는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첫째, 초등학교 영재아동은 정서지능 수준에 따라 부모양육태도에 대해 지각하는 수준과 정도에서 차이를 나타냈다. 이는 영재라는 공통된 집단 안에서도 개인적 요인에 따라 부모양육태도에 대해 지각하는 수준이 다르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영재들을 단순히 일반아와 구분지어서 차이점을 바라보기 보다는 영재아동 개인 정의적 측면을 포함한 내재적 요인의 변인까지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영재아동을 정서지능 수준에 따라 분석한 결과 같은 영재 집단 안에서도 정서지능 수준에 따라 진로성숙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영재집단 안에서도 개인의 내재적 요인인 정서지능의 수준에 따라 진로성숙도가 유의미하게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는 영재내에서의 정의적인 특성의 차이까지 고려해야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정서지능이 높은 영재 아동의 경우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진로 성숙도는 모두 정적 상관을 보였다. 그러나 정서지능이 낮은 영재아동의 경우 아버지와 어머니의 성취지향적인 양육태도와 진로성숙도는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했다. 따라서 영재라는 공통된 집단 안에서도 개인의 내재적 요인에서 차이가 있다는 점을 인식하고 개인의 특성에 맞춘 진로지도를 할 필요가 있다. 정서지능이 높은 영재아동의 경우 아버지의 성취지향적인 양육태도가 진로성숙도와 가장 높은 상관을 나타냈으므로 정서지능이 높은 영재 아동의 아버지는 자녀에게 높은 포부수준을 설정하고 격려하며 장래의 직업에 대해 실질적이고 합리적인 이해를 돕는 방향으로 양육하고 지도해야 한다. 또한 어머니의 경우는 자율지향적인 양육태도가 진로성숙와 가장 큰 상관을 보여주었으므로, 정서지능이 높은 영재아동의 어머니는 자녀에게 자율적인 진로탐색의 기회와 의사 결정 및 자기 이해를 돕는 방향으로 양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정서지능이 낮은 영재아동의 아버지와 어머니의 경우 지각된 부모 양육태도가 성취지향적일 수록 아동의 진로성숙도가 낮았으므로 이러한 경우 양육태도에서 주의를 필요로 한다. 정서지능이 낮은 영재아동의 부모들은 자녀에게 높은 포부수준을 설정하거나 기대하는 행동을 자제하고 엄격한 제한을 두는 대신, 자녀 스스로 생각하고 책임지는 습관을 권장하며 자녀의 개성과 권리를 존중하는 자율지향적인 양육태도를 병행하는 것이 자녀의 진로 성숙도를 높일 수 있는 바람직한 양육 태도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초등학교 영재아동은 정서지능의 수준에 따라 부모 양육태도에 대해 지각하는 수준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진로성숙도도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정서지능의 수준에 따라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진로성숙도의 상관관계에서도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진로성숙의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부모양육태도와 같은 개인의 외재적 요인 뿐 만 아니라, 정서지능과 같은 개인의 내재적 요인 역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시사한다. 후속연구에서는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 무리가 없도록 다양한 영역의 영재아동을 포함하여 연구대상의 수를 늘리고, 보다 자세한 정보제공과 연관성을 면밀히 분석하기 위하여 진로성숙도의 하위요인과 성별 간의 차이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또한 부모양육태도를 보다 확실하게 측정하기 위하여 학생의 자기보고식 응답과 부모의 응답을 함께 고려하여 분석하는 등 본 연구가 지닌 제한점을 극복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영재아동을 대상으로 이들을 정서지능 수준에 따라 두 그룹으로 나누어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진로성숙도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영재라는 공통점이 있는 집단 안에서도 정서지능 수준이라는 내적인 요인에 따라 두 그룹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진로성숙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부모양육태도와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도 두 그룹이 서로 다른 양상을 나타내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초등영재학생의 진로에 관한 세분화되고 다면적인 시각의 연구와 아동의 특성에 맞는 실제적 진로상담 방향의 필요성을 환기시켰다는데 의의가 있다.;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difference in perceived parental attitudes and career maturity of elementary school gifted children according to their level of emotional intelligence. It looks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al intelligence, a personal intrinsic variable; perceived parental attitudes, an extrinsic factor; and the career maturity. In order to achieve this,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presented. First, according to the children's level of emotional intelligence,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perceived parental attitudes? Secondly, according the children's level of emotional intelligence,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career maturity? Thirdly, according to the children's level of emotional intelligence, how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parental attitudes and the career maturity? As part of the research, 104 students who were 5th and 6th grade students from a gifted students' classes i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were asked to take 3 evaluation tests. The first one, a test to measure emotional intelligence elaborated by Moon Yong Lin(1996); the second one, a test to measure the perceived parental attitudes' influence on children elaborated by Oh Seong Sim and Lee Jong Seung(1982); and the third one, a test to measure career maturity elaborated by Lee Jeong Hee(2009). SPSS Win 18.0 program was used. The study made use of descriptive statics, technical statics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fter analyzing the data, the results are follows. First, we can see that according to the gifted children's level of emotional intelligence,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degree (extent, proportion) and the levels of perception of the parental attitudes. Children with high emotional intelligence showed a higher level of positive perception about their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are more perceived as affective-oriented, autonomy-oriented, reason-oriented, achievement-oriented and positive. In the case of gifted children with low emotional intelligence, the perceived standard of both of their parents' autonomy-oriented attitude was low. This shows that they perceive their parents as authoritative, restrictive and controlling. Secondly, the children with higher emotional intelligence had a higher level of career maturity, showing and significant statistic difference. It means that also among gifted children,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career maturity according to the level of emotional intelligence. Thirdly, we can see that there is also a difference i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ildren's perceived parental attitudes and career maturity according to the level of emotional intellig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that gifted children with high emotional intelligence have about their fathers' parental attitudes and their career maturity is steady. The father's achievement-oriented and reason-oriented parental attitudes have a high influence on the children's career maturity. In the case of children with high emotional intelligence, the mother's perceived attitude shows a steady relationship with the career maturity. The mother's autonomy-oriented attitude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children's career maturit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parental attitudes and the career maturity in children with high emotional intelligence is different in the case of children with low emotional intelligence. In th case of the children with low emotional intelligence when the father's perceived attitude is achievement-oriented, the result indicate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children's career maturity. Thi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lso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s perceived attitude and the career maturity when the mother's attitude was achievement-oriented the career maturity became lower. Based on these results, we can reach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 the results show that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 existing research information and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bout elementary school gifted children's perceived parental attitudes according to their level of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case of gifted children with low emotional intelligence, the results show a bigger difference with the existing information. The results show that rather than simply separating gifted children from average people to see what the differences are, we need to find an investigative method with a many-sided view that considers even the intrinsic factorial variables that comprehend fairy the different aspects of each of them. Secondly,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areer maturity of the children according to the level of emotional intelligence. This showed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This means that also among gifted people, the career maturity can change significantly according to each individual's immanent factors so all their peculiarities that are within these children must be considered rightly when looking at home. Thirdly, in the case of gifted children with high emotional intelligence, the father's childrearing attitude and the career maturity showed a static (steady) correlation. The father's achievement-oriented and reason-oriented parental attitudes have a high influence on the children's career maturity. In the case of children with high emotional intelligence, the mother's perceived attitude shows a steady relationship with the career maturity. The mother's autonomy-oriented attitude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children's career maturit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parental attitudes and the career maturity in children with high emotional intelligence is different in the case of children with low emotional intelligence. In th case of the children with low emotional intelligence when the father's perceived attitude is achievement-oriented, the result indicate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children's career maturity. Thi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lso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s perceived attitude and the career maturity when the mother's attitude was achievement-oriented the career maturity became low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intrinsic factors of each gifted child that need to be identified to define the right career according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every child. In the case of gifted children with high emotional intelligence the father's achievement-oriented children with high emotional intelligence must try to set high ambition standards, encourage them, raise and help them understand about the future profession in a practical and reasonable way. In the mother's case the autonomy-oriented attitude was the most correlated, so the mother of children with high emotional intelligence should try to lead them explore autonomous career opportunities, help them make decisions on their own and understand themselves. In the case of the parents of children with low emotional intelligence, when the perceived parental attitudes are achievement-oriented, the children's career maturity was low, so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be careful. Parents of gifted children with low emotional intelligence should let them think and be responsible, having at the same time an autonomy-oriented attitude that respects their children's rights and individuality, instead of setting high ambitious standards, expecting certain behavior or being too restrictive and strict. This attitude is desirable to help raise the children's career maturity. As mentioned above, we can see a difference in the gifted children's level of perception on parental attitudes and career maturity according to their level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re are also differences i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erceived parental attitudes and the career maturity according to the level of emotional intelligence. In order to increase the career maturity standard, it is not only necessary to consider individual extrinsic factors like the perceived parental attitudes but also individual intrinsic factors like the emotional intelligence should be regarded importantly. This study separate the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and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al attitudes and career maturity. Even among gifted children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way they perceive parental attitudes according and their career maturity according to an intelligence factor, the emotional intelligence standard. Also according to the emotional intelligence we could see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al attitudes and career maturity. This study shows us that there is a need to do more research on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provide them practical counseling on their career according to their special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conclusion abov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ubsequent studies should include more subjects, study all their different aspects and consider the parent's point of view. There is a need for a more practical rearing attitude, more investigation on the lower factors of career maturity, and even the differences between gende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1 A.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연구 문제 4 C.용어의 정의 5 Ⅱ.이론적 배경 7 A.정서지능 7 B.부모양육태도 16 C.진로성숙도 26 Ⅲ.연구 방법 36 A.연구 대상 36 B.연구 절차 38 C.연구 도구 38 D.자료 분석 45 Ⅳ.연구 결과 및 해석 46 Ⅴ.결론 및 제언 56 A.요약 및 결론 56 B.시사점 및 제언 62 참고문헌 65 부록 75 ABSTRACT 9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5869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정서지능 수준에 따른 초등 영재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진로성숙도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and Career Maturity in Gifted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according to Emotional Intelligence Level-
dc.creator.othernameKim, Seon Joo-
dc.format.pageviii, 9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영재교육협동과정-
dc.date.awarded201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재교육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