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4 Download: 0

카릴 처칠의 극에 나타난 공동 창작을 통한 역사의 재구성 : Light shining in Buckinghamshire, Cloud nine, Fen을 중심으로

Title
카릴 처칠의 극에 나타난 공동 창작을 통한 역사의 재구성 : Light shining in Buckinghamshire, Cloud nine, Fen을 중심으로
Authors
김나영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영
Abstract
This thesis examines the possibilities of rewriting the history by analyzing three plays of Caryl Churchill; Light Shining in Buckinghamshire, Cloud Nine, and Fen, all of which were performed through the collaborative working with Joint Stock company. As a socialist feminist, Churchill got interested in how the others, who have been traditionally excluded from the governing society, were also eliminated from the history. So she tried to reveal their overlooking existences by dramatizing their social visibilities with various experimental Brechtian strategies. Churchill believed that the history could be reconstructed by the collective identity which was formed under the collaborative writing. Problematizing the traditional interpretation of the history and indicating the vestigial remainder of such thinking in contemporary life, Churchill demonstrates the dual movement between the historical past and the present history-in-the-making. The history itself in her plays is not a given background, but a narrative text that insistently shapes and interrupts the dramatic present, altering audiences perspectives on the event. This study discusses the dialect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history and our consciousness in Churchill‘s dramatic worlds. Churchill employs discursive devices within and beyond Brechtian dramatic techniques. Her peculiar dramaturgical devices such as transvestism, cross-casting, episodic structure, and manipulation of time sequence are used to achieve the alienation effect. These diverse devices effectively disrupt and subverse the convention of ironic identity on theatrical representation, making the audiences question rather than identify with the characters. Thereby, Churchill illustrates that an individual is able to be changed into social beings as well as to gain more political perspectives. Churchill s three works, Light Shining in Buckinghamshire, Cloud Nine, and Fen are analyzed in this thesis. In Light Shining in Buckinghamshire, Churchill attempts to show the other sides of the history that are disregarded in the history books by uncovering and reevaluating the social outcasts. In Cloud Nine, Churchill satirizes the rigidity of patriarchal sex-role expectations. She illustrates that the outcasts in the male-dominated society experience the transformation from objects into subjects through self-awareness. In Fen, Churchill newly reconstructs the historical perspectives on the outcasts through the collective vision and proposes an alternative social community based on the equal interrelationship.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at Churchill s plays raise the question of the permissible visibility on the dramatic stage, combining artistically this political dimension and theatricality. Her positive reinterpretation of otherness as an alternative possibility offers us an opportunity to take a second look at our usually unshaken premises. And Churchill asserts that the play should be completed by audiences reception resulting in the social changes in their actual lives. ; 본 논문은 영국의 극작가 카릴 처칠(Caryl Churchill)의 극을 통해 기존의 역사가 사회를 기록하는 방식을 분석, 비판하고 역사의 기록에서 지워진 이들의 존재를 복원시켜 새로운 역사 쓰기의 방식을 읽어내고자 한다. 처칠의 극 중에서 특히 조인트 스탁(Joint Stock) 극단과의 공동 창작 과정을 통해 만들어진 『버킹엄셔에 비추는 빛』(Light Shining in Buckinghamshire),『클라우드 나인』(Cloud Nine), 『펜』(Fen)세 작품을 택하여, 개인이 역사의 본질을 제대로 인식하고 사회 속에서 주체로서 자리잡는 과정과 사회성을 획득하여 보다 집합적인 힘으로 발전시켜 실제적인 사회 변화를 유도하는 과정을 어떻게 연극적인 방식으로 풀어나가고 있는지에 대해서 밝히고자 한다. 처칠 극은 개인의 자아상이 사회 문화적으로 형성되어온 이념적인 이미지라는 사실을 밝히고 그것이 구축되는 과정을 드러내면서 역사 쓰기의 속성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그리고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조작된 이미지로 채워진 역사를 해체하고 변화의 가능성을 이끌어내고자 한다. 본고에서는 처칠이 사용하고 있는 여러 가지 극적 장치들이 이러한 주장을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다는 사실과 조인트 스탁과의 공동 창작이라는 작업 과정이 그녀가 제기한 문제 의식의 해결에 결정적이고 지속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점에 주목하고자 한다. 극적 장치의 기능에 대한 분석은 브레히트의 연극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처칠이 궁극적인 메시지 전달 수단으로서의 재현의 형식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공동 창작의 과정에서 지속적인 수정 작업을 통해 얻게된 의식의 변화와 공존 의식을 통해 획득한 공동체적인 비전이 실제적인 사회 변화를 촉구하는 처칠의 무대를 구성하는 데에 있어서 바탕이 되고 있다고 보았다. 처칠은 임의적인 한가지 잣대에 의해 선택과 배제를 단행해온 사회가 역사를 기록해온 방식과, 차이를 수용하는 역사의 재구성 작업을 발전적인 수정 과정으로 인식하는 시도를 동시에 보여주고자 한다. 따라서 처칠의 무대는 그 위에서 모든 결말이 도출되는 온전하게 닫혀있는 하나의 이야기 공간이 아니라, 역사와 사회를 객관적으로 목격하고 이해하기 위한 장이며 궁극적으로는 사회 변화라는 특수한 목적을 위해 던져진 재료로서 존재한다. 그리하여 무대 위에서 펼쳐지는 이야기는 공연이 끝나고 극장을 떠나서도 관객들이 실제 삶에서 취하고 행동하는 모습을 통해 비로소 완성되어 질 것을 의도하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처칠이 사회의 변화를 촉구하는 시도를 연극 무대가 가지는 본질적인 특성과 결합하여 표출시키고 있다는 점과, 공동 창작이라는 작업 배경이 결국 공동체적인 비전으로 구현되고 있음을 밝히는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