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51 Download: 0

'언문지(諺文志)'의 체제와 유희(柳僖)의 언어관 연구

Title
'언문지(諺文志)'의 체제와 유희(柳僖)의 언어관 연구
Authors
신수영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중어중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재돈
Abstract
본 논문은 <<언문지(諺文志)>>(1824)를 연구 대상으로 그 체제와 음운체계를 분석하고, 아울러 한자문화권의 언어연구전통의 맥락에서 작자인 유희(柳僖, 1773~1837)의 언어관을 고찰하였다. <<언문지>>의 체제는<초성례(初聲例)>·<중성례(中聲例)>·<종성례(終聲例)>·<전자례(全字例)>로 구성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다시 "규범"·"한국한자음의 특성"·"국어음운 현상의 기술"·"중국어음의 묘사"의 네 범주로 재구성하여 심층적인 고찰을 하였는데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언문지>>의 음운체계는 기본적으로 18세기 말에서 19세기 초 조선시기의 음운에 바탕을 두고 있다. 그러나 유희는 당시 사용되지 않은 음가의 언문 글자들을 재설정하고 규범화시켰으며, 그 체계는 매우 구조적이며 강한 체계성을 갖추었다. <<언문지>>의 체제 및 음운체계에서 구현되는 이러한 규범성(規範性)과 어음 교정(矯正)의 목적은 궁극적으로 "정음(正音)"을 추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유희 자신이 천명한 바와 같이 "한자음의 바른 표기를 위한 언문(諺文)의 교정"과 "사람의 입에서 나오는 모든 말을 표기한다"는 원칙에 부합한다. 둘째, 유희의 이러한 언어관은 중국에서 조선으로 이어지는 동아시아 공통의 언어관과 일맥상통한다. 중국에서 운서(韻書)와 운도(韻圖)가 만들어지고 성운학(聲韻學)이 발달하게 된 것도 음을 교정하고자 했던 관념―이른바 정음관(正音觀)에서 비롯되었다. 이는 조선에 이르러 훈민정음이 창제되는 이론적 틀이 되었으며, 아울러 훈민정음으로 "잘못 전해진(訛謬)" 한국한자음을 교정하고자 하는 규범적인 태도로 이어지게 되었다. 한편, 송대(宋代)에는 등운학(等韻學)과 형이상학적인 신유가(新儒家)의 철학이 결합하여 소옹(邵雍)의 <<황극경세·성음창화도(皇極經世·聲音唱和圖)>>가 탄생하였는데, 이것은 역학적(易學的) 원리에 입각한 보편적이고도 이상적인 음운체계를 상정한 것이었다. 이는 조선초기에는 표음문자인 훈민정음이 창제되는 원동력이 되었으며, 조선후기에는 운도의 형식과 훈민정음의 표음성을 이용해 세상의 모든 음운체계를 구현하려는 흐름을 형성하였다. 유희는 <<언문지>>에서 일차적으로는 한자음을 정확히 표기하기 위한 목적으로 언문을 정리하였으므로 강한 규범적 성격을 가지게 되었다. 이는 역대의 운서(韻書)들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 공통적인 경향이라고 말할 수 있다. 아울러 유희는 궁극적으로 언문을 이용하여 인류의 모든 어음을 표기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유로 <<언문지>>에 구현된 언문체계는 당시 실제 문자생활 및 어음체계와는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마지막으로 유희는 기본적으로 악률(樂律)의 강한 체계성에 의거하여 <<언문지>>의 음운체계를 정리하였다. 이와 같이 <<언문지>>가 강한 규범성과 체계성을 가짐과 동시에 보편적인 음운체계를 지향했다는 것은 역대 운서들의 특징이 <<언문지>>에 이르러 집약·구현되었음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 Based on Yu Hi(柳僖, 1773~1837(Joseon)) s <>(1824), this dissertation analyzed it s structure and phonological system, and investigated his linguistic ideas on that of traditional Chinese­writing cultural area. The <> which consists of four units like reorganized as "Standardization"·"Specific property of Sino­Korean"·"Description of Korean phonological appearance in that time"·"Description of Chinese language" in this paper. The following points are results of the analysis. First, the phonological system of the <> is basically based on contemporary speech sounds from the late 18th century to early 19th century. On the other hand, Yu Hi defined and regulated Eonmun letters(諺文字, Eonmun is generally accepted as different name of Hunminjeongeum) like ㅸ·ㅿ etc. which already had no practical value in that time, and those letters were hypothesized for the integrate structure and system. The structure of the <> definitely persue "Jeongeum(正音 : Zheng yin in Chinese)" which basically means correcting one s pronunciation or standard pronunciation , and this fact accords with the two themes­"rectification of speech sounds for the proper inscription" and "inscribing each and all human speech sound" which Yu Hi declared in his work. Second, Yu Hi s concept of the language coheres that of East Asia which covers from China to Joseon. The reason why the rhyme book(韻書, Unseo in Korean or Yun shu in Chinese) and the rhyme table(韻圖, Undo in Korea or Yun tu in Chinese) were made and Chinese traditional phonology(聲韻學) developed in China is the intention to rectify the speech sound­so called Jeongeumgwan(正音觀 : Zheng yin guan in Chinese). At the Joseon dynasty, these scholarships provided the methodology of creating Hunminjeongeum(訓民正音 or Hangeul, known as Korean alphabet). Moreover, it was made to take a normative position to miss­transferred Sino­Korean by Chinese pronunciation. On the contrary, in the Song dynasty(宋朝), rhyme table phonology(等韻學) was combined with metaphysical Neo­Confucius philosophy(新儒家) and brought out Shao Yong(邵雍, So Ong in Korean) s <> which shows universal and ideal phonological system. This generated the Hunminjeongeum at the early stage of the Joseon dynasty and formed a scholastic tendency to structure all phonological system using the form of rhyme table and the phonetic representation of the Hunminjeongeum. Yu Hi s <> finally had strong normativeness as he tried to inscribe the Chinese characters accurately as it usually is found in successive rhyme books. Ultimately Yu Hi aimed to inscribe each and every speech sound of human beings and this fact explains why the Eonmun in the <> differs from the practical language and phonological system of that era. Yu Hi reorganized the phonological system of the <> relying on the system of the musical rule(樂律). As a result, strong normativeness, systematic characteristics and the inclination to the universal phonological system show us that characteristics of successive rhyme books had all gathered and embodied in the <>.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중어중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