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69 Download: 0

아르카디아(Arcadia)로서 16세기 초 베네치아 회화에 나타난 전원 풍경

Title
아르카디아(Arcadia)로서 16세기 초 베네치아 회화에 나타난 전원 풍경
Authors
안지원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성은
Abstract
본 논문은 16세기 초 베네치아에서 활동한 조르조네와 그의 유파들의 작품 속에 등장하는 목가적 이상향으로서 전원 풍경화에 관한 연구이다. 목가적 낙원 아르카디아는 고대 로마 시인 베르길리우스의 전원시를 기원으로 삼는 문학적 개념이지만 이러한 아름다운 자연과 동화된 목자들의 이상화된 삶 이 16세기 초 베네치아 전원 풍경화로 시각화되었던 데에는 당대의 특수한 문맥이 자리한다. 즉 본 논문은 16세기 초 베네치아 전원 풍경화의 발전을 첫째, 베르길리우스와 같은 고대인들의 글에서 예찬되었던 전원 생활의 동경이 르네상스 시대 문학, 빌라, 풍경화에 걸쳐 나타난 총체적 문화 현상이라는 사실과 둘째, 당시 베네치아 공화국이 안정된 식량 보급처와 서유럽을 잇는 내륙 상업로의 구축을 위해 추진하였던 내륙진출정책으로 파생된 전원 빌라의 유행이라는 복합적인 사회, 문화적 상황 속에서 파악하고자 한다. 따라서 논자는 이러한 당대의 특수한 배경 속에서 자연과 인간의 화합이라는 아르카디아의 이상을 구현한 16세기 초 베네치아 전원 풍경화의 형식적 구조와 모티브의 의미를 밝히고자 한다. 16세기 초 베네치아 전원 풍경화는 우선 화면 전경에 위치한 쿨리스(coulisse system)라는 회화적 장치와 전원과 도시 건축물로 대표되는 전후경의 대비 관계를 주된 구조적 특성으로 한다. 본래 깊이있는 공간적 환영감을 만들고자 사용되었던 무대장치 쿨리스는 전원 풍경화에서는 화면 전경에 위치하는 어두운 숲과 커다란 나무, 바위같은 물체로서 형식적으로는 후경의 흐릿한 도시와의 대비로 자연스러운 거리감을 창출하며 관념적으로는 후경의 현실계와 구별된 화면 전경에 위치한 안식처의 성격을 강조하는 수단이다. 한편 16세기 초 베네치아 전원 풍경화에서 도시 현실로부터의 도피와 안식을 부각시키는 또 다른 중요한 구조인 전후경의 대비관계는 서로 대조되는 삶의 속성을 부각시키며 궁극적으로는 문명계와 떨어진 전원의 안식처 아르카디아의 미덕을 강조해주는 수단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원 풍경의 형식적 구조 속에서 자연과 인간의 완벽한 화합이라는 아르카디아의 이상을 함축하는 모티브로는 풍경 속에 누운 여인 누드 및 이상화된 목동의 삶을 들 수 있다. 조르조네와 그의 유파들의 작품에 등장하는 풍경 속에 누운 여인 누드는 문명을 벗어난 태초의 자연으로의 회귀를 암시하고 대지와의 친화성을 반영하는 누운 자세와 풍경에 공명되는 여체의 곡선으로서 자연과 인간의 일체감을 자연스럽게 부각시킨다. 한편 아르카디아의 목자들은 일상의 노동에서 자유로운 채 사랑의 유희를 즐기며 음악을 연주하는 고양된 삶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데 16세기 초 베네치아 전원 풍경화에서는 이러한 목동의 모티브가 전원의 이상향 아르카디아를 함축하는 대표적인 모티브로서 등장한다. 그러나 목동의 주된 악기가 팬파이프, 피리와 같은 소박한 관악기였음을 상기할 때, 16세기 초 베네치아 전원 풍경화에서 궁정 음악회를 상기시키는 현악기나 호사스러운 귀족적 의상의 도입은 아르카디아에 개입된 당대성의 암시로 해석해 볼 수 있다. 도시의 번잡한 삶에 지쳐 전원으로의 도피를 갈망한 당시 귀족들이 음악 연주와 사랑을 즐기는 목동 이미지를 통해 현실을 벗어난 대안적 삶을 꿈꾸었다고 볼 때, 이러한 궁정적 취향은 아르카디아를 꿈같은 분위기 속에 전원에서 음악과 여가를 즐기는 인물들 이라는 전원 축제(Fe^te Champe^tre) 장르로 확장시키는 데 기여하고 있다. 인류의 역사에서 문학과 시각 예술의 유기적 관계는 인간의 상상력을 고취시키는데 있어 상호 비옥한 자양분이 되어왔다. 본 연구는 그러한 연계적 접근 속에서 베르길리우스의 전원시에서 비롯된 아르카디아의 주요한 모티브를 해석의 기틀로 삼아 16세기 초 베네치아 전원 풍경화의 고유한 형식적 구조와 모티브들의 의미를 밝히고자 시도하였으며 나아가 인물이나 서사 중심이던 회화적 관습에서 탈피해 풍경의 가치를 개척한 베네치아 전원 풍경화의 의의를 조명하고자 하였다. ;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pastoral landscape as the idyllic utopia - Arcadia - depicted in the paintings of Giorgione and his circle who mostly worked in Venice in the early 16th century. Arcadia, the idyllic Utopia, has been a literary concept which has originated from the Eclogues written by the ancient Roman poet Vergilius. This idealized way of life of shepherds in harmony with the beautiful nature was visualized as Venetian pastoral landscapes in a particular context of the time, depicted from the early 16th century. In this thesis I shall examine the development of these paintings in the early 16th century; first, in terms of the fact that yearnings for pastoral life admired in the literary writings by Vergilius and other ancient Romans were a cultural phenomenon in the Renaissance period throughout literature, villa life and paintings; and, secondly, in the intricate social, cultural context of the 16th century, when the Venetian Republic attempted to establish a commercial route in order to s ecure a safe food resources and a link to Western Europe, which resulted in the craze for pastoral villas. Therefore, this thesis aims to identify the formal structure and the meaning of motives in the early 16th century Venetian pastoral landscapes which realized the Arcadian ideal of perfect reconciliation between man and nature in the particular context of that time. The major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early 16th century Venetian pastoral landscape paintings are the coulisse system and the contrasting relation between the foreground of natural retreat and the background of city buildings. Coulisse, originally a mise-en-scene meant to create a deep spatial vision, is in pastoral landscape paintings where the objects, such as dark groves, large trees and rocks, are located in the foreground. In the formal sense, it creates a vision of natural distance in contrast with the vague city image in the background. Also in the conceptual sense, it highlights the peaceful refuge portrayed in the foreground distinguished from the real world in the distance. In other words, the contrast between the little world of natural simplicity and the great world of civilization in the early 16th century pastoral paintings, can be eventually understood as a means of accentuating the virtues of Arcadia, the refuge in nature, by clearly distinguishing the two different ways of life. Based upon this formal structure of pastoral landscape paintings, the motives that implicate the ideal of Arcadia, the complete reconciliation between man and nature, are reclinging female nudes in a landscape and idealized life of shepherds. The reclining female nudes in natural surroundings, portrayed in Giorgione and his circle, imply regression from civilization to the nature. Lying posture reflects intimacy with the earth, curved bodies of women respond to the landscape, and both naturally reveal the unity of man and nature. On the other hand, the shepherds in Arcadia are widely known for their liberated life of enjoying love and music free from daily chores and works. In the early 16th century Venetian pastoral landscape paintings these Arcadian shepherds appear as the representing motives that implicates the Arcadia, the ideal pastoral life. However, considering that the musical instruments those shepherds usually played were simple wood winds such as the pipe and the panpipe, the introduction of the strings and sumptuous costumes of the nobility which remind us of a court concert, can be interpreted as an implication of the qualities of the time intervening into the idea of the Arcadia. Tired of the troublesome life in the city, nobles at that time yearned for an escape to pastoral nature, and dreamed of an alternative way of life through the image of the fun-loving and music-playing shepherds. Therefore, the palatial qualities depicted in the pastoral paintings contribute to extending the Arcadia into the Fe^te Champe^tre genre, which portrays people amusing themselves with music and leisure in a dreamy pastoral setting. Throughout history, the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visual art has always been mutual nutrients for both art forms in elaborating human imaginations. And through this interdisciplinary approach, this thesis is the result of an attempt to interpret the formal structure and the meaning of motifs in the early 16th century Venetian pastoral landscape paintings by using significant Arcadian motives originated from Vergilius Eclogues as the basis of interpretation. Furthermore, it is also the result of an attempt to illuminate the significance of Venetian pastoral landscape paintings which opened up the value of the landscape by breaking from the pictorial conventions that had been mostly dominated by figures and narrativ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