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6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류지영-
dc.creator류지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07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07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72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91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726-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학교 규율의 통제성에 대한 청소년들의 저항인식과 최근 발생한 저항운동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하였다. 먼저 앞선 논의로 학교 규율의 통제성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는데, 지금까지도 지속되고 있는 우리나라의 학교 규율은 일제 식민지에서 비롯되었다. 식민지 체제는 학생들을 좀 더 효율적이고 쉽게 지배하기 위해서 훈련항목을 정하여 일상 생활을 감시하고 통제하였다. 또한 획일화 된 교육방식은 개인의 중요성보다는 국가나 단체를 우선시 하여 그 구성원으로서의 소속감을 높이고, 규율의 일상화, 강요되는 생활방식, 처벌을 통한 통제 강화로 이어져 억압적인 권력은 지속적으로 생산되었다. 해방 후 독립적인 교육체제를 갖춘 뒤에도 이러한 학생에 대한 통제성은 여전하였다. 이데올로기의 대립이라는 혼란한 사회 분위기가 지속되면서 자본주의 체제를 맞이한 한국 사회는 경제발전이라는 커다란 국가적 사업을 위해 효율적인 노동력 생산이 필수 과제였다. 그러기 위해서는 국가의 교육에 대한 통제가 불가피했고, 학교 규율이 무엇보다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이러한 생성 배경에서 볼 수 있듯이 학교 규율은 효율적인 학생 통제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우리 나라의 교육 여건이나 사회 현실을 반영하면서 지금까지 용인되어 왔다. 학교 규율의 통제성을 대표할 수 있는 성격으로는 획일성과 비민주성을 들 수 있다. 특히 두발이나 복장에 대한 규율과 같이 신체관련 규율은 매우 세부사항까지 규제하여 모든 학생에게 똑같은 모습을 강요하고 있다. 예를 들면 머리는 학교가 정한 길이로 잘라야 하고, 학교가 정한 것이 아니면 색깔 있는 운동화도 신을 수 없고, 머리 핀도 마음대로 할 수가 없다. 또한 이를 지도하기 위해 각 종 검사를 동원하고 위반하여 적발될 경우 그에 따르는 처벌은 교사와 학생 사이에 많은 갈등을 일으키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다른 조직의 규율과는 다르게 학교 규율은 미성년자에 대한 것이라는 이유로 제정 절차나 적용 과정 역시 비민주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학생회는 있으나 학생이 학교 규율을 만드는데 참여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일이고, 단지 일방적인 결정과 통보에 순응하기를 강요하고 있다. 이러한 규율 외에도 학생들을 통제하기 위한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대표적인 것으로 학생들에게 규율을 지키도록 하기 위해 실시하는 각 종 검사제도와 체벌, 징계 등을 들 수 있다. 더욱이 학생들은 학교에서 자신들의 의사를 마음대로 표현할 수 있는 장치나 제도가 없으며, 학생회나 동아리 활동 등의 학생 차지기구는 유명무실한 실정이다. 이렇게 획일적인 규율과 처벌, 비민주적 의사결정 구조를 가진 통제 메카니즘은 입시위주의 교육정책과 권위주의적 학교 문화와 맞물려 오히려 비교육적인 효과를 불러오고 학생들의 기본적인 권리 침해와 억압적인 학교 문화를 재생산하고 있다. 이에 대해 본 논문에서는 현재 학생들의 학교 규율에 대한 태도와 저항지각을 설문조사를 통해 살펴보았다. 서울시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본 조사에 따르면 학교 규율 중에서도 복장이나 두발 규제에 대해 학생들은 가장 부당하다고 평가했다. 전반적으로 규율의 정당성에 대해서 낮게 평가하고 있으면서도 준수 정도는 높게 나타나고 있었다. 이는 규율을 위반할 경우 벌점이나 체벌을 피하기 위해서로 보이며, 부당한 규율에 대해서는 ‘선생님이 감독할 때만 지키겠다’는 응답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교내 자치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평가는 그 활동 수준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부당한 학교 문제에 대해서는 적극적인 주장을 해야한다고 응답하였다. 교육현실에 대한 불만사항과 토론 활성화에 대한 결과는 좀 더 거시적인 문제를 통해 학생들의 저항인식 수준을 살펴 본 것이다. 토론 속에서 문제의식을 느끼고 나아가 저항행위로 연결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학교 규율에 대한 저항과 관련해 분석한 다른 한 가지는 청소년들의 저항 운동 사례이다. 위의 설문조사가 교내에서 나타날 수 있는 저항의 양식이라면 본 운동 사례는 학교 밖의 적극적인 저항 행동이라고 할 수 있다. 대표적인 두 단체는 ‘학생연합’과 웹 연대 ‘With’로 성인들의 어느 사회운동 못지 않게 인터넷이라는 매체를 적극 활용하여, 조직성과 민첩성을 보여주었다. 두 단체의 공통된 주장은 신체를 구속하는 학교 규율의 자유화, 교육의 주체로서의 학생의 권리 강조, 교육환경과 현실의 개선이다. 이 단체들은 ‘두발 자유화 운동’을 1년 동안 지속하면서 자신들의 문제를 공론화 시키고, 학교, 교육부, 학부모 등 기성세대와 논쟁을 진행하면서 소정의 결실을 맺기도 하였다. 청소년들의 이러한 움직임은 과거와는 달리 소극적인 저항에서 주체적이고 적극적인 양상으로 발전하여 권리의식을 한층 높였다. 또한 그동안 내면화 된 규율의 통제성 대해 이의 제기하여 우리 교육의 얽혀있는 문제를 드러냈다. ; This thesis sets out to discuss the recent movement amongst students against the schools control of the discipline system. First, an effort was applied to analyzing the discipline system. The rules and regulations of schools that exist today were inherited from the Japanese colonial times. The colonists, in an effort to effectively control students, established a program of training that entailed systematic regulation and monitoring of events in daily life. This regime was not only aimed at standardization and uniformity, but also at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ones duties to his/her organization and country rather than focusing on ones own needs. Through elevating the importance of belonging, disciplined daily life and enforced lifestyle that was monitored and punished when not followed, authorities were able to establish and flourish a control power that suppressed and restrained individualism. After liberation, despite having established an independent educational system, the schools continued its rigid control. As the nation was facing the confused and conflicted times of anti-idealism as well as capitalism that was beginning to take shape, the nation was in high demand for labor workforce in the name of economic growth. In order to supply that demand, it was inevitable that schools would be utilized in continuing its strict disciplinary system and be used for the grander cause. As the background of its founding shows, schools were able to effectively control the students, and therefore reflect the educational condition as well as social realities of its times. Prime examples of suppression set by schools are uniformity and authoritarianism. Especially, regulations on physical-related rules such as set hair style and dress code is very detailed and specific, and conforms everyone to having the same standardized image. For example, the hair must be cut to a certain length set by school, except for the colors approved by school regulation, students are not allowed to wear shoes with color, and students are not even allowed to wear hair accessories of their choice. To enforce these measures, students are subjected to frequent inspections and interrogations that result in punishments set by schools and teachers. Such punishment has lead to much friction and disconcertment among students and teachers as well as school administrators. Unlike other regulations, school regulations and methods are autocratic and undemocratic when in making, with the excuse that its regarding minors. There are student bodies that represent the students, however it is unrealistic for them to take part in making of the regulations and their role is restricted to not much more than taking orders from the decisions ready made by the administrators. There are many more such regulations that are utilized to control the students. Prime examples include systemized check-ups, corporal punishments and reprimands. Channels or devices, through which students may express their minds freely do not exist, and add to the problems. There are after school clubs and so forth, however, they are in name only and do not serve any significant purpose. The control mechanism that is characterized by standardizing regulations and punishment, undemocratic and autocratic decision making system along with college entrance exam oriented educational policy results in a school atmosphere th at is un-education and one that infringes on students basic rights. Such school culture rotates on a vicious cycle, creating and recreating itself. Through questionnaire, this research examined current student attitude and sense of resistance to the problems introduced above.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which targeted the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students felt that regulations on hair and dress code was the most unreasonable among all school regulations. In general the justifications for the regulations were rated very poorly. Nevertheless the rate of conformity was very high. This can be viewed as a result of avoiding the various punishments that would follow, should the rules be violated. The answer that students were willing to abide by the rules, only when enforced by their teachers was very high. The students rated the after school activities offered by the school as very poor in activism and insisted that active voicing of discontentment regarding the school must be made. The outcome of dissatisfaction on realities of school atmosphere and active discussion was, observing students sense of resistance through macroscopic issues. Through debates the problematic issues were uncovered and possible actions that could be linked to resistance could be found. Another analysis conducted through this thesis regarding the schools regulations is youths own resistance movement. If the questionnaire above can be categorized as a resistance that is conducted within schools, then the following movement can be categorized as a resistance that is performed outside of schools. The two representational examples of student resistance organizations are  Hak Sang Yeon Up  (Student Union) and Internet based gathering called  With. Through the medium called World Wide Web the youths have created a structured and shrewd organization worthy of any social movement organization that could have been set up by adults. The common assertions by the two groups are freedom from the strict physical restrictions enforced by the school administrations, school administrations restructuring to recognize and esteem students rights, and an overhaul to create a better educational environment. These organizations had co-campaigned for a year, for freedom of hair styles; coming to a consensus on the subject and debating the issue with the schools, the Department of Education, parents and other older generations. Their efforts have yielded some worthy accomplishments. Such movements show that the youths have progressed from passive resistance to independent and active resistance movement; elevating the public awareness of rights, to another level. Also, by unearthing the problems of controlled regulations that were internalized in the past, the students have brought to light some of the problems concerning our education syste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제 1장. 서론 제 1절. 연구의 목적 = 1 제 2절. 연구 대상 및 방법 = 3 제 3절. 논문의 의의 및 구성 = 3 제 2장. 전제적 논의 제 1절. 학교 규율의 개념 = 6 제 2절. 학교 규율 형성의 역사적 배경과 고착화 = 7 1. 일제 식민지의 통제양식과 학교 규율의 형성 = 8 2. 국가체제의 교육통제와 정당화 = 15 제 3절. 규율을 통한 학생통제 = 17 1. 현행 학교 규율의 실제 = 17 2. 통제의 실태 = 21 제 4절. 소결 = 28 제 3장. 학교 규율에 대한 학생들의 태도와 인식 제 1절. 설문조사 방법 = 31 1. 자료조사 방법 = 31 2. 또래집단 유형별 분석을 위한 변수의 구성 = 33 제 2절.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36 1. 또래집단 유형과 그에 대한 청소년들의 인식 = 37 2. 가족생활 = 39 3. 학교생활 = 45 제 3절. 학교규율에 대한 인식과 저항지각 = 47 1. 학교 규율에 대한 정당성 평가 및 준수 정도 = 47 2. 교내 자치활동에서 나타난 저항지각 = 52 3. 교육현실에 대한 인식과 저항지각 = 55 제 4절. 소결 = 59 제 4장. 학교 규율에 대한 청소년들의 저항운동 제 1절. 대표적인 운동사례와 단체 = 61 제 2절. 단체들의 주장과 운동의 전개 = 64 제 3절. 의견대립과 쟁점 = 70 1. 언론과의 갈등 = 70 2. 논쟁과 그 구체적인 내용 : 학생, 학교, 교육부, 학부모의 입장을 중심으로 = 75 제 4절. 토론 의무화 이후의 상황과 두 단체의 현황 = 77 제 5절. 운동의 의의 및 소결 = 79 제 5장. 요약 및 결론 = 82 참고문헌 = 85 부록I = 92 부록II = 99 Abstract = 10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5029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학교 규율에 대한 청소년들의 인식과 저항운동-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학과-
dc.date.awarded200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