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노충래-
dc.contributor.author허지인-
dc.creator허지인-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07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07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39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90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392-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raw social work implications for enhancement of psychological adjustment among children of alcoholics (COA, hereafter) by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s of stress coping strategies between daily stress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This secondary data analysis study was conducted as a part of A Research on Conditions of Children of Alcoholics among Adolescents performed by YMCA Counseling Center. The original research, 『A Support Project for Children of Alcoholics』, was supported by Community Chest of Korea. This study was based on the survey of 1,400 middle school students from ten schools in Seoul, Korea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 7, 2002 to Oct. 28, 2002.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u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our hundred three (equivalent to 31.4%) participants out of 1,284 who scored equal or more than six points in CAST scale(Children of Alcoholic Screening Test) were identified as COA and, compared to non-children of alcoholics, they reported higher level of daily stress, depression & anxiety, and lower level of self-esteem. In addition, compared to COA in the higher level of economic standard of living, COA in the lower level appeared to have higher daily stress, depression & anxiety, and lower level of stress-coping strategies and self-esteem. Second, in the analysis of the variables affecting psychological adjustment of COA, gender, family income, grade, daily stress, and coping strategies were identified as predictive variables affecting psychological adjustment of COA whereas gender, grade, and daily stress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variables affecting depression & anxiety. Furthermore, in the analysis of sub-factors of sources of stress and coping strategies, parent-stress, friend-stress, school work-stress, and problem-focused coping strategy were commonly significant factors for both self-esteem and depression & anxiety. Thir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ediating effects of coping strategies between stress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were examine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by coping strategies between daily stress and self-esteem. That is, parents-stress and friend-stress directly affected self-esteem, whereas parents-stress, family life-stress, schoolwork-stress, and environment-stress indirectly affected self-esteem through coping strategies. However, mediating effects of coping strategies between daily stress and depression & anxiety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s and policies were discussed. Although longitudinal study was necessary to delineate long term effects of daily stress on their psychological adjustment among COA, the results clearly indicated needs for various intervention programs (i.e., stress management program) to enhance their psychological adjustment while reducing stress from various sources. ; 20세 이상 성인의 음주율 및 여성 인구의 음주율이 증가하면서 점차 알콜중독의 유병률도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알콜중독자 개인에 대한 치료와 개입뿐 아니라, 알콜중독자 가족이 경험하게 되는 총체적인 역기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알콜중독자 청소년 자녀의 경우, 부모의 알콜중독으로 인해 부모에 대한 의존적 욕구가 충분히 다루어지지 못하고, 부모에 의해 적절한 역할모델을 제시받지 못해 다양한 일상생활 스트레스를 경험할 수 있는 고위험군이며 이러한 일상생활 스트레스는 심리적 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나 알콜중독자의 자녀에 대해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외국에 비해, 국내의 연구는 알콜중독자 개인이나 그들의 배우자에 한정되고 있으며, 알콜중독자 자녀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실태 및 특성조사, 부모의 음주성향 자체와 자녀의 적응간의 상관관계 혹은 영향을 파악한 연구, 그리고 이들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 개발과 이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에 그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알콜중독자 자녀의 심리적 적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양식을 살펴보고, 스트레스와 심리적 적응간의 대처양식을 통한 매개효과를 입증하여 알콜중독자 자녀의 심리적 적응을 도울 수 있는 사회복지적 함의를 도출해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를 위한 조사는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알콜중독자 자녀(COA) 지원 사업』중 YMCA 서초 청소년 상담실에서 실시한 알콜중독자 자녀(COA) 실태조사 의 일부로 시행되었으며, 서울 시내 10개의 중학교를 선정, 2학년 학생 14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최종 분석에는 불성실한 설문지와 무응답을 제외한 총 1284부의 설문지가 사용되었다. SPSS 10.0/PC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비율분석과 같은 기술통계, t-test, 일원변량분석,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AMOS 4.0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전체 분석대상 1284명 중 알콜중독자 자녀변별 검사에서 6점 이상을 받은 알콜중독자 자녀는 총 403명으로, 전체의 31.4%에 해당하였다. 알콜중독자 자녀가 비알콜중독자 자녀보다 높은 스트레스와 우울·불안을 경험하며, 자아존중감은 낮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알콜중독자 자녀집단 내에서는 성별, 성적보다 가정의 경제수준에 따라 일상생활 스트레스, 대처양식, 심리적 적응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경제수준이 낮은 집단이 일상생활 스트레스를 많이 경험하고 대처양식도 덜 사용하며 자아존중감이 낮고 더 우울·불안함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알콜중독자 자녀의 심리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분석한 결과, 자아존중감에는 일상생활 스트레스, 대처양식, 그리고 인구사회학적 변수인 성별, 경제수준, 성적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며, 우울·불안에는 스트레스와 인구사회학적 변수인 성별과 성적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변수의 하위요인의 영향을 분석한 결과, 공통적으로는 부모스트레스, 친구관계스트레스, 그리고 학업스트레스가 유의미한 변수였고, 대처양식의 경우 문제중심 대처가 유의미하였다. 그리고 스트레스 대처양식의 매개효과 검증에서는,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자아존중감에 대해 영향을 미칠 때 스트레스 대처양식이 매개효과를 가지는 유의미한 경로임이 입증되었다. 자아존중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일상생활 스트레스는 부모스트레스와 친구관계스트레스였고, 대처양식을 통한 간접효과를 갖는 변수는 부모스트레스, 가정생활스트레스, 학업스트레스, 생활환경스트레스였다. 따라서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의 관계에서 대처양식의 매개효과가 상당히 중요함이 입증되었다. 그러나 우울·불안에 대해서는 대처양식의 매개효과가 입증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본 연구가 가질 수 있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알콜중독자 자녀의 특성을 바탕으로 임상적 개입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이론적 기반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알콜중독자 자녀의 심리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일상생활 스트레스 요인과 대처양식을 밝혀 이에 따른 적절한 개입을 통해 이들의 심리적 적응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대처양식은 심리적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대처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대처가 있을 수 있으므로, 스트레스 상황에 직면했을 때 심리적 적응을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대처양식을 활용할 수 있도록 개입해야 할 것이다. 셋째, 알콜중독자 자녀의 심리적 적응의 하위요인인 자아존중감에 대해 스트레스의 영향을 대처양식이 매개하는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다. 따라서 알콜중독자 자녀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스트레스 대처가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스트레스 관리 및 대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 알콜중독자 자녀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일상생활 스트레스, 대처양식, 심리적 적응에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이들의 다양한 특성에 따라 제공되는 프로그램과 개입 역시 차별적이고 다양하게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무엇보다도 알콜중독자 자녀의 부모에 의한 부정적 영향이 장기적으로 미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알콜중독자 자녀에 대한 조기발견과 조기개입, 그리고 지속적인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하며, 이들을 전문적으로 도울 수 있는 원조체계를 확립하고 연계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 I. 서론 = 1 A. 문제제기 = 1 B. 연구목적 및 연구목표 = 3 II. 이론적 배경 = 5 A. 알콜중독자 자녀 = 5 1. 알콜중독자 자녀의 개념 정의 = 5 2. 알콜중독자 자녀의 특성 = 6 B. 스트레스 - 대처 - 적응 모델 = 11 1. 스트레스 = 11 2. 스트레스 대처양식 = 14 3. 심리적 적응 = 19 4. 스트레스-대처양식-심리적 적응의 관계 = 20 C. 연구문제 및 연구모형 = 23 1. 연구문제 = 23 2. 연구모형 = 24 III. 연구방법 = 25 A. 조사대상자 및 자료 수집 = 25 B. 조사도구 = 25 C. 척도의 신뢰도 = 29 D. 분석방법 = 30 E. 연구의 제한점 = 31 IV. 결과분석 = 32 A.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32 1. 조사대상자의 알콜중독자 자녀(C.O.A) 비율 = 32 2. 조사대상자 및 알콜중독자 자녀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 34 B. 알콜중독자 자녀와 비알콜중독자 자녀의 일상생활 스트레스, 대처양식, 심리적 적응의 차이 = 38 C.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알콜중독자 자녀의 일상생활 스트레스, 대처양식, 심리적 적응의 차이 = 40 1. 성별에 따른 일상생활 스트레스, 대처양식, 심리적 적응의 차이 = 40 2. 경제수준에 따른 일상생활 스트레스, 대처양식, 심리적 적응의 차이 = 42 3. 성적에 따른 일상생활 스트레스, 대처양식, 심리적 적응의 차이 = 44 D.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양식, 심리적 적응의 관계 분석 = 46 1. 주요 변수들간의 상관관계 분석 = 46 2. 일상생활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양식, 심리적 적응간의 관계 = 48 3. 일상생활 스트레스 하위요인, 스트레스 대처양식 하위요인과 심리적 적응간의 관계 = 50 E. 스트레스 대처양식의 매개효과 = 53 1. 스트레스 대처양식 척도의 모형검증 = 53 2.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한 매개효과 검증 = 57 V. 결론 = 71 A. 요약 = 71 B. 함의 및 제언 = 78 참고문헌 = 83 부록 = 92 Abstract = 10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4123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subject.ddc300-
dc.title알콜중독자 자녀(COA)의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심리적 적응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스트레스 대처양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dc.format.page11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