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광자-
dc.contributor.author김정은-
dc.creator김정은-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01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01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8001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85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0013-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nalyzed the soci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icide-related variables and follow-up management characteristics of suicide attempters who visited the Emergency Medical Center and attemp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nursing intervention strategies and follow-up management programs for suicide prevention.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403 suicide attempters who visited an Emergency Medical Center in a large City from January 1, 2011 to December 31, 2011 and their soci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icide-related variables and follow-up management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through a survey on their Electronic Medical Record (EMR) information. The collected data was processed by computer using SPSS/WIN 12.0 Software.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mong the subjects, there were 269 females (66.7%) more than 134 males (33.3%); 164 persons (40.7%) were in their age 20~30s; 135 persons (33.5%) were married; 179 persons (44.4%) were jobless; and 319 persons (79.1%) were living with their family. 2. To examine the subjects’ suicide-related variables: 334 persons (82.9%) attempted suicide at a place with which they were familiar; among whom 327 persons (97.9%) attempted suicide at home. It turned out that 118 persons (29.3%) attempted suicide between 12 PM and 12 AM.; 122 persons (30.0%) attempted suicide in autumn; and 115 persons (28.5%) attempted it while intoxicated. 92 persons (22.8%) responded that the motive of their suicide attempt was family conflict; 256 persons (63.5%) took poison to attempt suicide; and 86 persons (21.3%) expressed their intention before their suicide attempt. It turned out that 104 persons (25.8%) had a history of a suicide attempt; 14 persons (3.5%) had a family history of suicide; and 117 persons (29.0%) had a history of mental illness, among whom 87 persons (74.4%) were depressed. 142 persons (35.2%) had a psychiatric interview in the Emergency Room after a suicide attempt while 225 persons (55.8%) did not. It turned out that among the subjects who did not have an interview, 125 persons (55.6%) were unable to do it due to a physically critical state while 62 persons (27.6%) refused to have a psychiatric interview due to their prejudice against it. After leaving the Emergency Medical Center, 135 persons (33.5%) returned home; 112 persons (27.8%) were hospitalized in a ward of another department; 65 persons (16.1%) were hospitalized in the ICU; and 21 persons (5.2%) were hospitalized in a psychiatric ward. 3. It turned out that among the total 403 suicide attempters, 16 persons (4.0%) died while 387 persons (96.0%) survived. 4.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motive for suicide by age (χ2=98. 68, p=. 000) and marital status (χ2 =115. 80, p=. 000), and in the method of their suicide attempt by age (χ2=43. 82, p=. 001). Through 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icide attempters who visited an Emergency Medical Center and their suicide-related variables, this study found out that psychiatric interviews with the suicide attempters in the Emergency Room were not systematically carried ou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nurses to explain the need of psychiatric examination to the suicide attempters and their family members when they visited the Emergency Room;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related institutions so that they can get follow-up management using local mental health services even after they were leaving the hospital; to put PR leaflets in the Emergency Room; and to develop standardized nursing guidelines to manage suicide attempters in order to help reduce the ratio of their second attempt.;본 연구는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자살시도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자살관련 변인, 사후관리 특성을 파악하여 자살위험 요인을 확인하고 향후 자살예방을 위한 간호중재 전략 및 사후관리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적인 자료로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 대상은 2011년 1월 1일부터 2011년 12월 31일까지 I시 소재의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자살시도자 403명의 전자의무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 EMR)정보조사지를 통해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자살관련 변인, 사후관리 특성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2.0 프로그램을 통해 전산처리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성별은 여성이 269명(66.7%)으로 남성 134명(33.3%)보다 많았으며, 연령은 20~30대가 164명(40.7%), 결혼은 기혼자가 135명(33.5%), 직업은 무직자가 179명(44.4%)이며 동거가족이 있는 경우는 319명(79.1%)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자살관련 변인으로 334명(82.9%)이 익숙한 장소에서 자살을 시도하였으며 그중에서 327명(97.9%)이 집에서 시도하였다. 자살시도 시간으로 12시~24시 사이가 118명(29.3%), 계절은 가을이 122명(30.0%)으로 많았고 음주 상태에서 115명(28.5%)이 자살을 시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살시도 동기는 가족갈등이 92명(22.8%)으로 많았고 자살시도 방법은 음독이 256명(63.5%)으로 많았으며 자살시도 전 자살에 관한 의사표현을 한 경우는 86명(21.3%)으로 나타났다. 자살시도력이 있는 경우는 104명(25.8%)이고 자살 가족력이 있는 경우는 14명(3.5%)이며 대상자의 정신과 병력이 있는 경우는 117명(29.0%)으로 그중에서 우울증이 87명(74.4%)으로 나타났다. 자살시도 후 응급실 내에서 정신과 면담을 받은 대상자는 142명(35.2%)이며 면담을 받지 않은 대상자는 225명(55.8%)으로 나타났다. 면담을 받지 않은 대상자 255명 중에서 신체적으로 위급한 상태로 인한 면담 불가 125명(55.6%), 정신과 면담에 대한 편견으로 인한 거부가 62명(27.6%)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응급실 퇴실형태는 귀가하는 경우가 135명(33.5%)으로 많았고 타과 병동에 입원하는 경우는 112명(27.8%), 중환자실 입원 65명(16.1%), 정신과 병동 입원이 21명(5.2%)으로 나타났다. 3. 전체 자살 시도자 403명 중 16명(4.0%)이 사망하였고 387명(96.0%)은 생존한 것으로 나타났다. 4. 자살시도 동기는 연령(χ2=98.68, p=.000)과 결혼상태(χ2=115.80, p=.000)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자살시도 방법은 연령(χ2=43.82,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자살시도자의 특성과 자살관련 변인 분석을 통해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에 대한 정신과 면담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간호사는 자살시도자가 응급실에 내원했을 경우 자살시도자와 가족에게 정신과 진료를 받아야 하는 필요성에 대해 직접 설명하고 자살시도자가 병원에서 퇴원한 이후에도 지역 정신보건서비스를 이용하여 사후관리를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관련 기관 정보 제공 및 홍보 리플릿을 응급실에 배치하고 자살시도자를 관리할 수 있는 표준화된 간호지침의 개발이 이루어진다면 자살의 재시도율을 낮추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4 C. 용어의 정의 4 Ⅱ. 문헌고찰 5 A. 자살시도 5 B. 자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0 Ⅲ. 연구방법 20 A. 연구 설계 20 B. 연구 대상 20 C. 연구 도구 20 D.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21 E. 연구의 윤리적 고려 22 F. 연구의 제한점 22 Ⅳ. 연구결과 및 논의 23 A. 연구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23 B. 연구 대상자의 자살관련 변인 26 C. 연구 대상자의 사후관리 특성 33 D.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자살시도 동기와 방법 35 E. 대상자의 자살시도력, 정신과 병력에 따른 자살시도 동기와 방법 38 V. 결론 및 제언 40 A. 결론 40 B. 제언 43 참고문헌 45 부록 60 ABSTRACT 6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1290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자살시도자의 특성-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Characteristics of Suicide Attempters Visiting Emergency Medical Center-
dc.creator.othernameKim, Jung Eun-
dc.format.pagevi, 6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1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