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7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명숙-
dc.contributor.author박경은-
dc.creator박경은-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58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58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972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82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972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음양오행의 상생상극론을 적용하여 구성한 박경은(2012)의 무용창작작품「휘(暉), 빛의 노래」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자는 현대사회에서의 조화와 소통의 관계를 주제로 하여 오행의 상생상극의 원리가 잘 드러나 있는 대상인 단청(丹靑)을 모티브로 작품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한국춤을 동양사상이라는 철학적 근거를 통해 연구하고 재해석하여 작품을 구성함으로써 한국춤의 새로운 구성과 춤사위를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더 나아가 궁극적으로 음양오행의 이치를 실질적으로 활용하여 우리 삶에 있어서의 조화로운 모습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자는 음양오행에 관한 문헌연구를 통하여 무용창작작품「휘(暉), 빛의 노래」의 주제와 내용을 설정하고, 작품의 주제를 전달함에 있어 상생상극론을 적용하여 인간 간의 관계를 대변할 수 있는 이미지를 탐색해 보았다. 그 결과 오행의 기운을 가진 ‘색’을 ‘나(휘, 暉)’라는 개인으로 표현하면서 각 색에 오행의 사상들을 부여하고 색과 색 사이에서 일어나는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단청에서 나타나는 배색의 조합이 통합과 상생을 지향하는 음양오행의 상생상극론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논리적인 흐름을 구성하였다. 작품의 구성은 단청의 이미지를 분석한 연구를 토대로 하여 ‘고색(古色)’, ‘중첩(重疊)’, ‘휘(暉), 빛의 노래’라는 세 개의 장으로 구분하였으며, 각 장에서 나타내고자 하는 사상을 안무에 적용하여 작품을 전개하였다. 표현방식에 있어서는 문헌자료의 선행연구와 함께 작품의 공간구성과 춤사위, 의상, 음악 등 음양오행의 상생상극의 원리와 관련된 시청각자료를 활용한 연구를 통하여 작품의 구성에 활용하였다. 이러한 내용과 구성의 긴밀한 관련성을 갖고 표현한 무용창작작품 「휘(暉), 빛의 노래」의 총체적 특징은 다음의 세 가지 측면으로 나타난다. 첫째, 오행의 상징성은 작품 속에서 ‘길’, ‘색채’, ‘토(土)’의 형태로 표현된다. ‘길’의 표현은 무대의 공간적 구성에서 주제를 전개함에 있어 상징적인 의미에 그 깊이를 더하고 있는데, 오행의 특징을 나타낸 장면들은 각각 작품의 내용, 무용수의 성격, 무용수들 간의 관계, 춤사위 등에 있어 ‘길’의 표현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작품의 흐름에 따라 표현되고 있다. ‘색채’적인 측면은 각 오행의 특성을 무용수들에게 색으로 적용한 것으로 무용수들의 움직임에 고색단청의 이미지가 시각화될 수 있도록 하였다. ‘토(土)’의 역할은 오행 중에 양(陽)적인 측면과 음(陰)적인 측면을 함께 지니는 토가 관계적인 측면에서 목(木), 화(火), 금(金), 수(水)를 아우르는데, 이러한 특성은 작품에서 ‘어울림, 소통, 조화로움’이라는 주제를 표현하기 위해 토의 중화, 중용의 작용으로 나타난다. 둘째, 상생상극의 상반상성(相反相成)은 작품의 공간구성에 적용된 원리로 오행의 상생상극 흐름도, 종적(縱的) 대무, 단청의 당초무늬, 음양의 순환구도로 표현된다. 오행의 상생상극 흐름도는 질서 속에서 끊임없이 돌아가는 우주의 흐름을 오행의 생상상극 흐름도에 적용하여 서로 대립하고 의존하는 관계를 제시한 것이다. 종적(縱的) 대무는 상극관계의 음의 간색인 규색[金]과 양의 간색인 정색[火]의 상충관계를 종적(縱的) 대무의 관계로 구성한 것으로 대립적이면서도 상보적인 관계를 나타낸다. 단청의 당초무늬는 서로 상승하고 보완하는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단청의 당초무늬를 형상화한 것으로, 대칭과 비대칭의 대형을 보여주며 상호간의 조화를 꾀함으로써 대립적이면서도 상보적인 관계를 나타낸다. 음양의 순환구도는 생하기도 하고 극하기도 하며 일어난 모든 현상을 상생에서 상극, 상극에서 다시 상생으로 가는 음양원리의 순환구도를 이루게 한 것이다. 셋째, 도(道)와 무(無)의 전화성(轉化性)은 작품의 주제에 적용한 원리로, 오행의 상호작용, 상호변화를 상생상극의 관계를 통하여 우주만물의 기운이 서로 어우러짐을 상징한 조화와 화합의 모습이 도(道)와 무(無)에 이르는 것으로 표현하였다. 이에 본 연구 작품에 적용된 전통사상은 오행의 상징성, 상생상극의 상반상성(相反相成), 도(道)와 무(無)의 전화성(轉化性)을 바탕으로 하여 작품을 구성하는데 중요한 기준이 되었다. 이는 한국춤을 동양사상이라는 철학적 근거를 통해 연구하고 재해석함으로써 한국춤의 새로운 구성과 춤사위를 모색한 작업으로써 의미있는 시도가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통사상에서 찾은 조화와 소통의 개념을 바탕으로 한 창의적인 표현적 발상을 통해 새로운 안무적 대안을 도출하고, 그 대안의 해석과 적용에 있어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음양오행의 이치를 적용한 무용창작작품「휘(暉), 빛의 노래」에 대한 연구는 그 의미를 가진다고 하겠다.;This study relates to the 「Hue(暉), song of light」, a dance work created by Park, Kyung eun(2012), which incorporates the principles associated with co-existence and incompatibility of yin-yang five elements. This author adopted the motif from Dancheong(traditional multicolored paintwork on wooden buildings, 丹靑), which provides an insight into the coexistence & incompatibility principles of the Five Elements, to highlight the harmony and communication in contemporary society as the subj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new configuration and dance styles of Korean dance by structuring the artwork through the research and reinterpretation based on the philosophical ground, i.e., "Oriental Ideology". Furthermore, this study is intended to present an alternative for the harmony in our lives through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principles of yin-yang Five Elements ultimately. This author defined the theme and substances of the creative dance work titled 「Hue(暉), song of light」through the literature study on the ying-yang Five Elements and explored the images that could embody human relationship by applying the co-existence & incompatibility theory in conveying the subject of the artwork. As a result, the 'color', which has the energy of the Five Elements, was expressed as the individual called "I(Hui, 暉) while assigning the ideology of the Five Elements to each color and analyzing the relationship that occurs between the colors to form a logical flow so as to ensure that the combination of the colors revealed in dancheong could lead to the coexistence & incompatibility theory of the yin-yang Five Elements that pursues the integration and co-existence. This artwork was divided into three subjects, which are ‘antique look(古色)’, ‘overlay(重疊)’, ‘Hue(暉), and song of light’, based on the study that analyzed the image of Dancheong, and the ideology intended to be explained in each Chapter was applied to the choreography. In relation to the method of expression, visual materials related to the co-existence & incompatibility principles of yin-yang five elements - such as the spatial configuration of artwork, dance style, costumes, music, etc - were used for structuring the artwork, along with the preceding literature studies. The「Hue, song of light」, which has the close relationship in terms of the substances and configuration as explained above, is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 three features. First, the symbolicity of the Five Elements is expressed through the form of 'road', 'color', and 'soil(土)’. The expression of 'road' adds the depth of the symbolic meaning in unfolding the themes based on the spatial configuration of the state, and the scenes that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Five Elements are expressed according to the contextual flow of artwork with close relationship with the expression of the artwork's substances, characteristics of dancer, relationship among the dancers, dance style, etc. The aspect of color applies the properties of the yin-yang Five Elements as colors to the dances, and allows the image of antique-looking Dancheong to be visualized according to the motion and movement of dancers. The role of 'soil', which possesses both yin and yang aspects among the Five Elements, encompasses the energy of tree, fire, iron, and water from the aspect of relationship, and such property of soil manifests itself as the function of neutralization and moderation, expressing the subject of fitness, communication, and harmony in the artwork. Second, the opposite and complementary properties of co-existence & incompatibility are the principles applied to the spatial configuration of the artwork and expressed through the contextual flow diagram of co-existence & incompatibility of the Five Elements, vertical opposite composition, rinceau pattern of dancheong, and circulation structure of yin and yang. The contextual flow of the co-existence & incompatibility of the Five Elements applied the flow of universe, which incessantly circulates while maintaining the order, to the co-existence & incompatibility flow diagram of the Five Elements, presenting the relationship of confrontation and dependence on each other. The vertical opposite composition symbolizes contradictory relationship between silicon color[iron], which is the demitint color of yin, and orthochromatic color[fire], which is the demitint color of yang, through the relationship of vertical opposite composition, implying the confrontational and complementary relationship. The rinceau pattern of Dancheong embodies the mutually ascending and complementary relationship, shows the form of symmetry and asymmetry, and represents the confrontational and complementary relationship based on the pursuit of mutual harmony. The structure of yin and yang circulation leads to the circulation structure of yin and yang principle by which the co-existence becomes incompatibility and vice versa in all phenomenon which arises and extinguishes. Third, the transformation of Thao(道) and None(無), which is the principle applied to the theme of artwork, expressed the way by which the harmony and unity of the energies of all things in the universe reach Thao(道) and None(無), expressing the interaction and mutual changes of the Five Elements through the relationship of co-existence & incompatibility. Thus, the traditional ideology which was applied to this artwork provided the crucial criteria for organization the artwork based on the symbolicity of yin-yang Five Elements, contradictory and complementary properties of co-existence & incompatibility, and transformation of Thao and None. In that regard, this study represents an attempt for new formation of Korean dance and the dance styles through the research and reinterpretation of the Korean dance based on the philosophical ground, i.e., the 'Oriental Ideology'. Thu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erived new choreographic alternative through creative and expressive conceptualization based on the concept of harmony and communication which are identified in traditional ideology, and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interpreting and applying the alternative, and in that sense, the study on the artwork, titled 「Hue(暉), song of light」which applied the principles of yin-yang five elements, is meaningful.-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연구의 방법 및 절차 5 C. 연구의 제한점 7 Ⅱ. 음양오행사상의 이론적 배경 9 A. 음양론 10 1. 음양의 개념과 성격 11 2. 음양의 작용원리 14 3. 음양의 삼분법 18 B. 오행론 20 1. 오행의 개념과 성격 21 2. 오행의 색채학적 원리 27 3. 오행의 음악적 원리 31 C. 상생상극론 37 1. 상생(相生)의 개념 39 2. 상극(相剋)의 개념 40 D. 예술에서의 음양오행 42 Ⅲ. 안무의도 48 A. 내용적 측면 48 B. 형식적 측면 51 Ⅳ. 무용창작작품「휘(暉), 빛의 노래」에 관한 분석 55 A. 주제 및 내용 55 B. 장면의 구성과 이동경로 58 1. 오행의 상징적 공간 60 2. 상생상극의 상보적 구성 63 3. 도(道)와 무(無)의 순환적 시간 73 C. '음양오행'의 춤사위 80 1. '오행'의 춤사위 81 2. '상생상극'의 춤사위 92 D. 무대표현매체 102 1. '오방간색(五方間色)'의 의상 102 2. '기(氣)'와 '질(質)'의 음악 106 Ⅴ. 무용창작작품「휘(暉), 빛의 노래」의 총체적 특성 112 A. 오행의 상징성 112 B. 상생상극의 상반상성(相反相成) 115 C. 도(道)와 무(無)의 전화성(轉化性) 119 Ⅵ. 결론 125 참고문헌 130 ABSTRACT 13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10680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음양오행의 상생상극론을 적용한 무용창작작품 「휘(暉), 빛의 노래」에 관한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Creative Dance Work, 「Hue(暉), Song of Light」Applying the Co-Existence And Incompatibility principles of Yin-Yang Five Elements-
dc.creator.othernamePark, Kyung eun-
dc.format.pagexii, 139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학과-
dc.date.awarded201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