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승하-
dc.contributor.author이다은-
dc.creator이다은-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58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58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992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81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992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운동참여자와 비참여자의 외향성․신경성 수준 분포와 자아탄력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참여자의 외향성․신경성 수준에 따른 자아탄력성의 차이를 살펴보고, 더 나아가 동일한 수준의 성격특성을 가진 운동 참여자와 비참여자의 자아탄력성의 차이를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확인하기 위하여 단계적 변화모형의 변화의 단계 중 계획 전 단계와 계획단계에 해당되는 20대 남․여 239명과 유지단계에 해당되며 서울․경기 지역에 소재한 휘트니스에 등록한 20대 남․여 19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배경변인 3문항, 운동행동 변화단계 1문항, 외향성․신경성 64문항, 자아탄력성 29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하여 검증, 독립표본 t-test,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와 비참여자의 외향성 수준(높음, 보통, 낮음)의 빈도를 분석한 결과 비참여자에 비해 참여자 중 외향성이 높은 사람들이 많았다. 둘째, 참여자와 비참여자의 자아탄력성 수준을 비교해본 결과 참여자의 자아탄력성이 전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참여자의 외향성 수준에 따른 자아탄력성의 차이를 분석해 본 결과 분노조절을 제외한 자아탄력성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외향성이 높은 사람일수록 자아탄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경성이 낮은 사람일수록 자아탄력성의 모든 하위요인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외향성과 신경성 수준에 따른 참여자와 비참여자의 자아탄력성의 차이를 분석해 본 결과, 외향성이 보통인 경우에는 참여유무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외향이 높거나 낮은 경우에는 운동 참여자가 비참여자보다 부분적으로 높은 자아탄력성을 보였다. 신경성의 경우 전반적인 자아탄력성과 자신감, 낙관적 태도에서 비참여자보다 참여자가 높은 점수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규칙적인 운동 참여가 자아탄력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은 명백한 사실이나 개인이 갖는 성격특성의 일부인 외향성․신경성 수준에 따라서 받는 영향이 다를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해 볼 수 있다. 따라서 현장에서 활동하는 지도자들이 운동 참여자 개인이 갖고 있는 성격에 따라 나타나는 변화가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고 있어야 할 필요가 있다. 개개인의 성격유형을 파악한 후 지도를 시작한다면 운동 중 나타나는 다양한 심리적 변화들을 보다 깊게 이해할 수 있으며 운동 참여자가 중도탈락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운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보다 폭넓은 지도가 가능할 것이라 생각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istribution of Extraversion․Neuroticism level of exercise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to identify differences of Ego-resiliency according to Extraversion․Neuroticism level of exercise participants, and to identify differences of Ego-resiliency between exercise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according to same level of Extraversion․Neuroticism. 239 males and females in their 20's who were in the Maintenance stage and 191 males and females in their 20's who were in the Precontemplation and Contemplation stage completed a questionnaire. The instruments used in the study were questionnaires of Stage of Change Scale for exercise, NEO-PI-R, Ego-Resiliency scale. The test, independent-samples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arried out by the use of the SPSS 18.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inding of the test showed that participants were more on the high level of Extraversion than non-participants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Neuroticism level. Second, the finding of the independent-samples t-test showed that participants's Ego-resiliency were higher than non-participants. Third, the higher the level of Extraversion of participants, the higher their Ego-resiliency was. And the lower the level of Neuroticism of participants, the higher their Ego-resiliency was. Fourth, in the average level of Extraversion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s Ego-resiliency. But, in the low and high level of Extraversion, participants's Ego-resiliency was partially much higher than non-participants's Ego-resiliency. And in the all level of Neuroticism, there were partial differences between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s Ego-resiliency. Participants's Ego-resiliency score, confidence score, optimistic attitude score were much higher than non-participants's score. In conclusion, it is quite clear that regular exercise participation has a positive affect on improving Ego-resiliency, but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the level of Extraversion․Neuroticism. Thus, exercise instructors need to understand that the change could be different according to individual personality. If the exercise instructor understands the personality type of the participants, understanding the various psychological changes that occur during exercise might also become easier. Moreover, it is believed that guidance to prevent drop out becomes broade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문제 6 C. 연구가설 7 Ⅱ. 이론적 배경 8 A. 단계적 변화모형 8 1. 단계적 변화모형의 구성개념 8 2. 단계적 변화모형을 적용한 선행연구 12 B. 성격 13 1. 성격의 개념 13 2. 5요인 모형 14 3. 성격유형에 따른 심리적 요인의 차이에 관한 선행연구 15 C. 자아탄력성 16 1. 자아탄력성의 개념 16 2. 스포츠 참여와 자아탄력성 18 Ⅲ. 연구방법 20 A. 연구대상 20 B. 조사도구 20 1. 운동행동 변화단계 질문지 22 2. NEO-PI-R 성격검사 22 3. 자아탄력성 척도 22 C. 연구절차 24 D. 자료처리 25 Ⅳ. 연구결과 26 A. 참여자와 비참여자의 외향성·신경성 수준 분포 26 1. 참여자와 비참여자의 외향성 수준 분포 26 2. 참여자와 비참여자의 신경성 수준 분포 27 B. 참여유무에 따른 자아탄력성의 차이 29 C. 참여자의 외향성·신경성 수준에 따른 자아탄력성의 차이 30 1. 참여자의 외향성 수준에 따른 자아탄력성의 차이 30 2. 참여자의 신경성 수준에 따른 자아탄력성의 차이 31 D. 외향성·신경성 수준에 따른 참여자와 비참여자의 자아탄력성의 차이 33 1. 외향성 수준에 따른 참여자와 비참여자의 자아탄력성의 차이 33 2. 신경성 수준에 따른 참여자와 비참여자의 자아탄력성의 차이 36 Ⅴ. 논의 39 Ⅵ. 결론 43 참고문헌 44 부록 51 ABSTRACT 5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4036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운동참여여부와 외향성·신경성 수준에 따른 자아탄력성의 차이-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Differences of Ego-Resiliency According to Extraversion․ Neuroticism level of Exercise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dc.creator.othernameLee, Da Eun-
dc.format.pagevii, 5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체육과학과-
dc.date.awarded201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