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5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유성경-
dc.contributor.author윤정숙-
dc.creator윤정숙-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58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58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8021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81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0217-
dc.description.abstractThe present study is conducted to reveal the ratio, the occurrence pattern, and effect variables of unilateral termination, a type of dropout that the clients unilaterally stop coming to the session, of actual counselors and clients from the ongoing counseling sessions. The variables in the analysis were client's perceived working alliance, the level of client's early symptoms and counseling outcome measured with symptom change, client's expectation for counseling success, and the work experience of the counselor. Forty-two counselors and 336 cli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clients were asked to answer the surveys for 7 times during the counseling sessions and the counselors answered one survey before the counseling start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Discrete-Time Survival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occurrence of the unilateral termination in each times were measured and 65 cases among total of 336 cases were unilaterally terminated, which is 19.4%. The occurrence of the unilateral termination was constantly increased from session 1 to session 3, mostly at session 3, then tended to decrease. After the session 10, the occurrence of the unilateral termination was rapidly decreased. Second, the relationship of the sub factors of the client's perceived working alliance and the counseling outcome measured with symptom changes was seen longitudinally. Also, the relationships of client's expectation for counseling, the client's early symptoms, the work experience of the counselor and the unilateral termination. The result shows that among the sub factors of the working alliance, agreement on the task and the goal have an effect on the unilateral termination. The higher at the level of the agreement on the task and the lower at the level of the agreement on the goal, the higher the unilateral termination tend to occur. The severer level of the early symptoms was, the higher the unilateral termination tend to occur at every measuring times. The client's expectation for counseling, the work experience of the counselor, the counseling outcome measured with the symptom change, however, has no significant effects on the unilateral termination. In this study, the unilateral termination was distinctively defined from early termination. The study focused on the unilateral termination, which was not studied much in Korea, and tried to find out the occurrence in the actual practice and the related effect variables. The study provides the valid understanding on the unilateral termination and suggests the ways of helping the clients to participate in the counseling constantly.;본 연구는 상담과정에서 자주 발생하는 조기종결 중 내담자가 일방적으로 상담에 오지 않아 종결회기를 진행하지 못하는 특성에 주목하여 이를 내담자의 일방적 종결로 정의하고, 실제 상담을 진행하고 있는 상담자와 내담자를 대상으로 내담자의 일방적 종결 발생비율과 회기에 따른 발생 양상, 그리고 영향변인을 알아보았다. 분석에 포함된 변인은 내담자가 지각한 작업동맹, 초기 증상수준과 상담과정에서 내담자 증상변화로 측정한 상담성과, 상담 시작 전 상담성과에 대한 내담자 기대 및 상담자 경력 수준이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은 2007년 9월부터 2010년 3월까지 이루어졌으며, 서울 외 5개 지역의 상담기관에서 상담을 하고 있는 상담자 42명과 내담자 336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내담자 자료는 상담과정 중 총 7차례 설문지를 실시하여 수집하였고, 상담자 자료는 상담 시작 전 1회 설문을 실시하여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비연속시간 생존분석(Discrete-Time Survival Analysis)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임상 현장에서 내담자의 일방적 종결이 각 측정 시점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는데, 전체 336사례 중 총 65사례가 일방적으로 상담을 종결 하는 것으로 나타나 19.4%의 비율을 보였다. 회기별로는 1회기에서 3회기까지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3회기에 가장 많은 내담자들이 일방적 종결을 하였고, 이후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는데, 10회기 이후에는 내담자의 일방적 종결의 발생이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둘째, 내담자의 일방적 종결 관련 변인으로는 내담자들이 평가한 작업동맹의 하위요인들과 내담자의 증상변화로 측정한 상담성과가 내담자의 일방적 종결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종단적으로 살펴보았고, 상담을 시작할 때 내담자들이 가진 상담성과에 대한 기대, 그리고 초기 증상수준 및 상담자 경력수준과 내담자의 일방적 종결 간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를 보면 작업동맹 하위변인 중 과제에 대한 합의, 목표에 대한 동의가 내담자에 의한 일방적 상담종결이 발생하는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측정 시점에서 과제에 대한 동의 수준이 높을수록, 목표에 대한 합의 수준이 낮을수록 내담자에 의한 일방적 상담종결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았다. 내담자의 초기 증상수준은 낮을수록 각 측정시점에서 내담자의 일방적 종결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작업동맹 하위 변인 중 정서적 유대와 상담 시작 전 상담성과에 대한 내담자 기대, 상담자 경력수준, 증상변화로 측정된 상담성과는 내담자의 일방적 종결 발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내담자들이 지속적으로 상담에 참여하고, 종결과정을 통해 상담을 끝낼 수 있도록 돕기 위해서는 상담을 시작하는 초기부터 개입을 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나타났듯이 내담자의 초기 증상 수준이 낮을 때도 내담자의 일방적 종결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으므로 상담을 시작할 때 내담자 문제가 심각하지 않을 때에도 주의가 필요하다. 상담과정에서는 상담자와 내담자 간 목표에 대한 합의가 중요하므로 내담자가 자신의 목표를 가지고 상담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상담과정에서 내담자가 일방적으로 상담에 오지 않아 중단되는 경우를 상담 초기에 발생하는 이른 종결과 구분하여 내담자의 일방적 종결로 정의하고, 그 동안 국내에서 많이 연구되지 않았던 내담자의 일방적 종결에 관심을 두고 실제 상담현장에서 내담자의 일방적 종결의 발생 비율과 영향 변인을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상담과정에서 발생하는 내담자의 일방적 종결에 대한 실제적인 이해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하고, 내담자들이 지속적으로 상담에 참여하여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상담자가 해야 할 것을 모색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8 Ⅱ. 이론적 배경 9 A. 조기종결의 정의 및 영향 9 1. 조기종결의 정의 9 2. 조기종결의 영향 13 B. 조기종결 관련 변인 16 1. 내담자 관련 변인 16 2. 상담자 관련 변인 22 3. 상담과정 관련 변인 26 Ⅲ. 연구방법 35 A. 연구대상 35 1. 내담자 기본 정보 35 2. 상담자 기본 정보 37 B. 측정도구 42 1. 상담성과에 대한 기대 42 2. 작업동맹 43 3. 상담성과 44 C. 연구절차 45 D. 분석방법 및 절차 47 1. 분석방법 47 2. 분석절차 52 IV. 연구결과 54 A. 기초통계 결과 54 1. 합의종결과 내담자의 일방적 종결 집단별 내담자 기본정보 54 2. 상담성과, 작업동맹, 상담성과에 대한 내담자 기대의 기초통계 결과 57 B. 분석 결과 60 1. 내담자의 일방적 종결 발생시점 분석 60 2. 내담자의 일방적 종결 발생에 대한 영향변인 검증 61 V. 논의 70 A. 결과 요약 및 논의 70 B. 연구의 의의 및 제언 77 참고문헌 82 부록 96 ABSTRACT 10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4949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내담자의 일방적 상담종결 영향변인 검증-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subtitle비연속시간 생존분석 적용-
dc.title.translatedTesting the Determinants on the Unilateral Termination of the Clients : Applying Discrete-Time Survival Analysis-
dc.creator.othernameYun, Jeong Sook-
dc.format.pagevi, 105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1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