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1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
dc.contributor.author진소연-
dc.creator진소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58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58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22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81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229-
dc.description.abstract오늘날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가장 쉬운 방법의 하나인 World Wide Web의 등장과 함께 인터넷은 가장 중요한 교수 도구로서 인식되고 있으며, Web을 이용한 새로운 교수모형에 대한 시각이 제시되고 있다. 이 교수모형을 웹기반 교육(Web-Based Instruction;이하 WBI)이라고 하는데 이는 학습자의 지식이나 능력을 육성하기 위한 의도적인 상호 작용이 Web을 통해 전달되는 활동이라고 정의 내려진다(Ritchie & Hoffman, 1996). 최근 기업들은 변화하는 기업내의 환경에 부응하는 교육을 구현하는 새로운 전략으로서 WBI를 도입하여 시행중이며, 이러한 인터넷 웹을 활용한 교육은 열린 교육체제, 학습자 중심 체제,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체제로 기업교육의 방향전환을 이끌었다. K사도 이러한 경영환경의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교육이 업무와 융화될 수 있는 학습자(learner-centered)중심의 적시교육(just-in-time)과 전통적 교육의 고비용, 저효율 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대안적 학습체계로 WBI를 도입하였다. 이에 실제 기업현장에서 집합교육과 WBI의 학습동기를 진단하고 학습 효과성을 연구하는 것은 새로운 교육체제 도입에 따른 기업교육에 WBI 교수설계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K사의 사내 직무교육 프로그램인 “TDX-10A교환기술과정”을 연구대상으로, WBI와 집합교육의 두 수업방법에 따른 학습성취도 검사와 Keller의 ARCS(Attention, Relevance, Confidence, Satisfaction) 동기요소에 근거하여 학습동기를 측정하였으며, 학습성취도와 학습동기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아울러 WBI 참여자를 대상으로 기존의 집합교육과 WBI를 비교하여 WBI의 긍정적 측면, 문제점 및 개선점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실제 기업현장에서의 집합교육과 비교한 WBI의 설계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저비용, 고효율을 추구하는 기업교육의 대안적(alternative) 학습체제로서 WBI의 가능성을 점검해 본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구체적으로 다루어질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WBI와 집합교육의 학습동기는 차이가 있는가? 2. WBI와 집합교육의 학습성취도는 차이가 있는가? 3. WBI와 집합교육에서 학습동기와 학습성취도의 관계는 어떠한가? 4. 집합교육과 비교하여 WBI 학습자가 경험한 WBI의 긍정적 측면과 문제점 및 개선점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K사의 “TDX-10교환기술” 교육과정을 수강하고 있는 WBI 참여자 22명과 집합교육 참여자 2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모든 연구절차에 100% 출석 및 설문 회신율을 보였다. 연구절차는 두 집단의 학습 성취도 측정을 위해 사전검사지 20문항과 사후검사지 50문항을 각각 과정시작 전과 과정완료 후에 각 집단별로 K사의 연수원에서 동일시간 동안 지필로 실시되었고, 결과치는 정답수를 기준으로 100점 만점으로 계산하여 점수화 하였다. 두 집단간 동기요소별 학습동기 측정을 위하여 ARC동기모형에 의해 개발된 검사지를 WBI 참여자 22명과 집합교육과정 참여자 22명에게 사후성취도 검사 후에 지필로 측정하였다. WBI에 대한 참여자 설문조사를 위해 WBI 참여자 22명을 대상으로 교육과정 완료시점에서 집합교육과 비교한 WBI의 긍정적 측면과 문제점 및 개선점에 대한 설문지 37문항을 우편으로 발송하여 자료수집 하였다. 동기 유발 측정결과와 WBI에 대한 참여자 설문은 5점 척도로 연속형 자료로 분석하였고 두 집단간 사전, 사후 성취도 검사결과는 100점 만점의 점수이므로 연속형 자료로 분석하였다. 통계처리는 t-test 분석, Two-Way ANOVA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토대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집단별 학습동기 측정결과 평균점수가 집합교육이 WBI 보다 높았으며,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 .01). Keller의 ARCS동기 요소별 분석에 따르면 주의력, 관련성, 만족감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자신감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두 수업방법과 사전-사후 검사시기에 따른 학습성취도에 대한 영향을 Two-Way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사전-사후 검사시기에 따른 학습성취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수업방법에 따른 학습성취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두 변인간의 상호작용의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TDX-10A과정은 두 집단 모두 수업을 받기 전과 받은 후의 학습성취도가 향상되었으며, 두 수업방법에 따른 학습성취도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해석된다. 셋째, 두 집단의 학습동기와 학습성취도간의 상관관계를 분석에 있어서는 전체대상자(N=44)에 있어 학습동기와 학습성취도가 매우 강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업방법별로 살펴보면 WBI 참여자는 학습성취도가 ‘주의력’과 상관관계가 높았으며, 집합교육 참여자는 학습성취도가 ‘주의력’ 그리고 ‘만족감’과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존의 집합교육과 비교했을 때 WBI참여자는 WBI에 대한 긍정적인 측면으로 ‘업무부담 해소’ 영역에서 강하게 지지한 반면(3.80), 상대적으로 ‘학습효과’ 영역에서는 만족도(3.12)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점 및 개선점 측면에서는 WBI의 교육내용과 방법에 대한 문제점은 적었고, 학습에 있어서의 강사와 동료간의 상호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필요성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과정에서 WBI는 학습동기 면에서 집합교육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특히 주의력과 관련성, 만족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이는 본 WBI과정이 집합교육 수준의 학습자 동기를 유발시키기 위한 학습동기 요소를 적절히 반영하지 못한 결과로 사료되며, 집합교육만큼 동기수준을 높이기 위한 동기전략이 WBI 교수설계 및 개발의 과정에 반영되도록 하여야 한다. 둘째, WBI가 기존의 전통적인 교실수업과는 달리 업무부담이나 손실 없이 현장에서 교육을 받을 수 있다는 결과와 더불어 집합교육에 비해 최저의 비용으로 기존의 집합교육과 학습성취도면에서 차이가 없었다는 결과를 바탕으로 저비용 고효율을 추구하는 기업교육에 있어 WBI는 효과적인 교육방법을 실현할 수 있는 대안적(Alternative) 학습체제로서 기여한다. 그러므로 기업교육의 WBI의 활성화를 위한 방법이 구체적으로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WBI는 ‘주의력’에서 학습성취도와 상관관계가 높다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주의력’ 요소를 높일 수 있는 WBI 설계가 필요하다. ‘주의력’을 높일 수 있는 구체적인 전략들(Keller, 1995)인 ‘지각적 주위환경 전략’이나 ‘탐구적 주의 환기 전략’, ‘다양성의 전략’들이 구체적으로 반영될 수 있는 WBI 교수설계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넷째, 본 WBI 과정은 집합교육과 비교할 때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이나, 강사와의 상호작용이 전반적으로 부족하여 학습자들이 WBI의 문제점 및 개선점 측면에서 상사와 학생간의 상호커뮤니케이션에 대한 필요성을 요구하고 있었다. WBI에 있어서 집합교육보다 효과적일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상호작용의 빈도와 질적 수준(정인성, 1988; Richard & Barbara,1998)이라고 강조하였듯이 강사와 학생간의 상호작용과 커뮤니케이션의 활성화를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교수이론이나 교수모델이 지향하는 교수결과는 수업의 효과성, 효율성, 매력성의 세가지 측면으로 분류되는데(Reigeluth, 1983) 본 연구에서는 효율성 측면인 학습성취도와 매력성 측면인 학습동기만이 검토되었으므로 향후 비용측정을 통한 효율성 측면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 Recently, many companies introduced "Open Remote learning" based on on-line technologies such as Internet to solve the problem of acquiring explosively increasing information and knowledge in the fast changing corporate environment. It is now recognized that such Internet based remote learning is more effective than the traditional classroom learning which tends to be more expensive and more rigid in time and space. Also, it is expected that the web s psychological power will be more effective in motivating the students. In view of these developments, it is increasingly important that we study actual motivational elements and concepts involved in using such new virtual learning environment as WBI (Web Based Instruction). For this alternative learning tool to be successfully employed, we must assess its learning effectiveness and also design more motivational instructions. Therefore this study compared the motivation and learning achievement of Web Based Instruction(WBI) with the traditional classroom based instruction. We covered the following areas in this study: 1.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otivation of the two groups? 2.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chievement between the classroom participants and the WBI participants? 3. Is there a correlation between the motivation and the achievement in both WBI and classroom settings? 4. What are the participants assessment of positive aspects, problems and need for improvement of WBI? In this study, we chose as subjects 22 participants of the traditional classroom course and 22 participants of the WBI course from the employee training course of company K titled "TDX-10A switching technology". The study procedure was as follows. We first measured the learning motivation based on Keller s ARCS elements(Attention, Relevance, Confidence and Satisfaction). We also performed before and after learning achievement test and analyzed correlation between the achievement and the motivation. Moreover We surveyed positive aspect,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WBI among the WBI participants. For the learning motivation measurement, we used t-test to ver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 s means in the ARCS elements. We also analyzed the influence of the instructional methods and the timing of the before-and after-questionnaires on the learning achievement assessment using the Two Way ANOVA. The WBI participants were given a questionnaire which used the Likert 5 point scale to measure the positive aspect,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WBI. We assigned 5 points to very effective , 4 points to effective , 3 points to average , 2 points to mostly ineffective and 1 point to ineffective and calculated the mean and the standard deviation. This study foun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level of motivation among WBI participants was found to be lower than that among the classroom participants. For the individual ARCS elemen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ttention, Relevance and Satisfaction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fidence. Second, the ANOVA reveal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WBI course and the classroom course in the learning achievement. Third, among the WBI participant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attention and the learning achievement. On the other hand, among the classroom participants, we found that a highly positive correlation exists between the attention and the satisfaction. Fourth, the positive aspects of WBI rated by the participants includes release from physically attending the seminars(3.80). Relatively speaking, the learning effectiveness score was not that much different from that of the traditional classroom class (3.12). As for problems and improvements, the participants indicated that the content and the method of the education as well as the educational support had no real problems but there is a great need for mutual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between the participants and instructor. Based upon these results, we would like to recommend the following. First of all, The level of motivation among WBI participants was found to be lower than that among the classroom participants. Especially, there were differences in attention, relevance and satisfaction. The reason for the low motivation in WBI was found to be the lack of well reflected inclusion of all 4 elements of motivation in learning strategy, course organization, and the presentation of course materials(Instructional Design). To improve the level of motivation in WBI, a strategy should be planned to increase the motivation when developing and designing a WBI. Second, WBI can offer education without loss of manpower in office unlike traditional classroom education. Based on our result of no significance difference in the effectiveness, we can recommend that WBI can be used to educate at a low cost. This is satisfactory for a company that seeks to educate employees with alternative study choice or method. Further study is needed to find more active and effective WBI methods for industrial education. Third, when designing a WBI, among ARCS s four elements, Attention (or lack there of) needs to be carefully addressed. To gain attention, it is necessary to employ concrete strategies such as Variety strategy , Perceptual arousal and Exploratory arousal (Keller, 1995). In addition, one needs an instructional strategy that can vitalize interactions and mutual communications between participants and instructor. Finally, instructional theories of models can be evaluated in terms of effectiveness of class, efficiency, appeal (Reigluth,1983). In this research, efficiency and attractiveness aspects are dealt with in depth. However, the effectiveness of WBI requires further stud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 문 개 요 = v Ⅰ. 서 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 1 B. 연구 목적 = 2 C. 용어의 정의 = 3 D. 연구의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기업교육 페러다임의 변화 = 5 B. 원격교육 = 8 1. 원격교육의 정의 및 특징 = 8 2. 웹기반 교육(WBI) = 11 3. 기업의 웹기반 교육 활용사례 = 13 C. 동기이론 = 19 1. 성인학습자와 동기 = 19 2. Keller의 동기이론 = 21 D. 관련 선행연구 = 28 1. 웹기반 교육과 동기에 관한 연구 = 28 2. 학습 성취도 비교연구 = 29 Ⅲ. 연구방법 = 31 A. 연구목적 = 31 B. 연구대상 = 31 c. 연구도구 = 33 D. 연구의 절차 = 37 E. 자료의 처리 = 37 Ⅳ. 연구결과 = 39 A. 두 집단간 학습동기 요소별 = 39 B. 학습성취도 비교 = 41 C. 두집단별 동기요소와 학습성취도 상관관계 = 42 D. WBI 참여자 설문조사 결과 = 43 Ⅴ. 결론 및 제언 = 45 참 고 문 헌 = 48 부 록 = 56 ABSTRACT = 7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91521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웹 기반교육(Web Based Instruction)과 집합교육의 학습동기와 학습성취도 비교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기업교육을 중심으로-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공학전공-
dc.date.awarded1999.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공학·HRD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