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20 Download: 0

조현병 환자의 다중약물요법과 고용량 투여의 영향인자 연구

Title
조현병 환자의 다중약물요법과 고용량 투여의 영향인자 연구
Other Titles
Influencing factors of psychotropic polypharmacy and high dose in schizophrenia patients
Authors
강지영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임상보건과학대학원 임상약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정연
Abstract
연구 배경 및 목적 상용량의 단일 항정신병 약물요법이 조현병 환자의 치료 지침으로 권장되지만 다양한 정신작용약물의 다중약물요법과 고용량 처방이 점점 빈번해지고 있다. 이에 대한 근거 중심의 연구와 치료 지침의 부재에도 불구하고 계속되는 처방에 대해 환자의 어떠한 임상적 요인과 관련이 있는지, 그리고 항정신병 약물의 용량을 클로르프로마진 등가용량(Chlorpromazine Equivalents, CPZeq)으로 환산하여 상용량과 고용량의 현황과 환자 요인과의 관계를 조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인하대병원에서 2012년 1월부터 2013년 2월까지 조현병으로 진단받고 치료중인 환자 200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들의 약물 처방 내역과 그 용량, 성별, 나이를 조사하고 의무기록을 통해 발병기간, Global Assessment of Functioning scale(GAF 척도),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PANSS 척도)를 수집하였다. 처방된 약물을 항정신병 약물, 항우울제, 최면진정제, 정서안정제, 항콜린제로 분류하여 다중약물요법을 분석하고 항정신병 약물을 CPZeq으로 환산하여 일일 투여량을 통해 상용량과 고용량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약물상호작용의 건수와 심각도, 그 효과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항정신병 약물의 단일요법을 받은 환자는 33명(16.5%)이고 다중약물요법을 받은 환자는 167명(83.5%)이며 평균 약물의 개수는 2.7개로 최대 7개까지의 분포를 보였다. 평균 CPZeq는 501.3으로 최대 1800까지 나타났으며 고용량 처방을 받은 환자는 21명으로 전체의 10.5%를 차지했다. 다중약물요법과 단일약물요법의 비교 결과, 남녀간의 차이와 나이, 발병기간과는 통계상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GAF 척도와 PANSS 척도가 p-value<0.001로 통계상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상용량과 고용량 처방군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GAF 척도와 PANSS 척도가 통계상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가지 경우의 약물상호작용이 총 31건 조사되었으며 QT 연장, 특정 약물의 혈중 농도 증가, 중추신경계 진정효과의 증가가 각각 4건으로 가장 많았다. 고찰 및 결론 정신작용약물의 다중약물요법과 고용량 처방 내역의 현황을 환자 요인에 따라 분석한 결과, 이러한 처방이 일정 부분을 차지하며 GAF 척도가 낮고 PANSS 척도가 높을수록 다중약물요법과 고용량 처방이 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약물 처방 시 환자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올바른 치료지침에 따라 합리적인 약물요법을 해야 할 필요가 있다.;Background and objective Although the standard treatment for schizophrenia with antipsychotics are recommended with monotherapy, there are concerns in regard to high dose and increased number of medications for the individual patient in the care of psychotic disorders.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current status of prescription patterns in schizophrenia patients and to assess out the clinical factors associated with polypha-rmacy and high dose use. Methods Total 200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schizophrenia in Inha University Hospital and were prescribed at least once with antipsycho- tics were included. The study period was for between Jan. 2012 and Feb. 2013. The patients' medication records were reviewed to list out drug prescription and dose, gender, age, length of illness and GAF scale, PANSS scale. All medication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effects-antipsychotics, antidepressants, tranquilizers/sedative-hypnotics, mood stabilizers and anticholinergics. Daily doses of antipsychotics were converted to chlorpromazine equivalents (CPZeq) using standard guidelines and the patients receiving over 1000 mg of CPZeq was considered to be on a high dose. The frequency, the severity of interaction and the effects are searched using Micromedex as a reference. Results 167 patients (83.5%) were prescribed with polypharmacy and only 33 patients (16.5%) with one antipsychotic. The mean CPZeq was 501.3 and 21(10.5%) patients were on a high dose antipsychotic prescription. As a result, GAF and PANSS scal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prescription of polypharmacy and high dose (p-value<0.001) and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gender, age or length of illness. Also total 31 cases of drug-drug interactions were searched, and the most effects are increased risk of QT prolongation, CNS depressant effect and level of certain drug observed.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polypharmacy and high dose remains common, and the disease severity measured by low GAF scales and high PANSS scales were more likely to receive polypharmacy and high dose prescription. By identifying risk factors, their associated problems could be decreased and through applying the understanding of individual variability when prescribing, the rational guidelines for pharmacotherapy could be established in clinical practi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약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