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3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
dc.contributor.author어승현-
dc.creator어승현-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54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54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44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78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446-
dc.description.abstractModern fashion emphasizes artistic, decorative aspects beside functional, practical targets, and pursues various materials and developments of technique that can represent personality free from uniform designing. Also it is much more concerned about expressing creative and unique texture as one of artistic form of expression. In this respect, development of new technique or material is important, but profound studies of the existing techniques are demanded. Crochet that has been broadly used after the start to imitate race easily in the 1840s is being applied to fashion as well as accessories or daily articles even in today, But since the whole work needs human hands, it is mainly applied to fiber art or field or art fashion. By this reason, crochet takes somewhat ambiguous position in the public‘s recognition. Being easily done by everyone has brought underestimation of crochet, it is not well known to ordinary people in spite of having excellent merits as an expressional technique of art. Therefore,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concept of crochet, which is being mixed with the concept of knit inside our country through literature investigation, and to reinterpret those handicraft techniques in the modernistic term by employing the flower as a motif of fashion design and applying crochet techniques to design to make works with formativity and artistry. Also by using various materials like sisal, enameled copper wire, and yam yarn, the author attempted to represent unique textures. As a theoretical background, the concept and history of investigated through literature, expressional techniques in crochet were looked at, and crochet examples in fiber art, art fashion, and contemporary fashion were collected through photo data and analyzed. Flower motifs in design, theories of formation, and flowers contained in various fields of design were also investigated through literature, into plain, relief, and solid expressions. Based on these investigations, eight works were made mainly through basic crocheting to enliven the character of material, to reconstruct shapes of flowers, and develop the formatively of work, so the significance lies in that process of designing. As for the material, copper wire, yam yarn and sisal were mainly used, and handwoven silks were chosen to harmonize with those materials and dyed in colors that go well with each work. And the result attained through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domestic studies, the concept of crochet sometimes is included in knitting. But even thought the basic compositional principle of crochet is the same with knitting, i.e., interloping tools, methods, expressional techniques and shapes are different from those of knitting and so are their historical backgrounds. Second, crochet as a handicraft technique of expression is adequate for expressing each unique and enriched texture of each material, and has advantages in expressing textures in variety by the technique used even on the same material. So crochet makes modern man with desire to possess artistic things with rarity value produce unique and creative designs. Third, crochet is applicable to express ruffle effects since it is easy to increase and decrease its loop and also very adaptable skills to express linear effect and circle made stitch so that crochet applied in many ways to construct the flower motife as a formative and an artistic design. Fourth, the flower chosen as a motif of design in this study has been revealed to be a proper material for making formative and artistic shapes through application of crochet techniques. ; 의상의 착용 동기와 기능은 일차적이고 보편적인 것에서 시작하였으나 오늘날에 이르러 인간은 의상을 통하여 자신의 개성과 내적 특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개성을 표현할 수 있는 다양한 소재와 기법의 개발을 추구하며, 또한 미적 표현 양식의 하나로 창의적이고 독특한 재질감의 표현에 많은 관심을 기울인다. 또한 현대 산업사회의 대량생산에서 오는 현대인의 인간성 살실에 대한 회복의 의미에서 전통적인 수공예적 기법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1840년대 레이스를 쉽게 모방하기 위해 이용되기 시작하면서부터 널리 알려지게 된 크로셰는 오늘날 액세서리나 생활용품 및 소품을 만드는데 이용되고 있다. 한편 의상디자인 분야에서는 작업의 전 과정이 손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일반의상에서 보다는 주로 예술의상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보편성, 용이성과 전문성, 예술성 사이에서 크로셰는 대중에게 불분명하게 인식되는 경우가 있다. 예술의 한 표현기법으로 뛰어난 장점을 가지고 있는 크로셰는 정교하고 섬세한 작업과정이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누구나 손쉽게 할 수 있다는 대중적 특징으로 인해 평가절하 되기도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 나라에서 니트의 개념과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는 크로셰의 개념을 정립하여 보고, 소재의 따른 다양한 질감을 크로셰의 개념을 정립하여 보고, 소재에 따른 다양한 질감을 크로셰의 개념을 정립하여 보고, 소재에 따른 다양한 질감을 크로셰 기법을 통해 표현하고, 꽃을 모티브로 선택하여 꽃잎의 형태를 조형적으로 재구성 한 뒤 의상디자인에 응용함으로써 고부가가치의 의상을 제작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크로셰의 개념과 역사를 문헌고찰을 통하여 알아보았으면 예술의상과 현대의상 및 섬유예술에서 응용된 크로셰의 사례를 사진자료를 표집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꽃을 응용한 현대 디자인 작품의 사례를 재현적 조형, 추상적 조형이라는 측면에서 고찰하여 알아보았고, 또한 꽃을 모티브로 도입한 현대의상의 작품사례를 평면적, 부조적, 입체적 표현으로 찾아보았다. 이를 토대로, 하여 8 점의 의상을 제작하였으며, 크로셰 기법 중에서 기본 뜨기 기법만을 중심으로 하여 소재의 특징을 살렸고, 꽃의 형태를 재구성하여 디자인하는 과정에서 의상의 조형성을 개발하는데 그 의의를 두었다. 소재는 동선, 마사, 사이잘삼을 주로 하였고 이들과의 조화를 위한 직물소재는 수직실크를 선택하여 각 작품에 어울리는 색상으로 염색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의 연구에서는 크로셰의 개념이 니팅안에 포함되기도 한다. 그러나 크로셰와 니팅은 얽기(Interlooping)라는 구성 원리가 같지만 사용되는 도구나 방법, 표현기법 그리고 뜨개지의 모양 등의 특성이 다름을 문헌고찰을 통하여 알 수 있었다. 둘째, 크로셰는 에나멜 동선, 마사, 사이잘삼 등의 재료가 지닌 독특하고 풍부한 재질감을 표현하기에 적합하고, 같은 재료라도 이용되는 기법에 따라 텍스츄어를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꽃이 가지는 아름다움과 다양한 형태, 색상은 디자이너에게 독창적인 조형의 세계를 제시하고, 디자인 모티브로서 무한한 소재를 제공하는 요소였다. 본 연구의 범위는 기본뜨기법에 한정되어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응용기법을 통한 다양한 연구에 대한 앞으로의 지속적인 관심과, 수공예적인 기법의 특징을 살릴 수 있는 소재의 개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하여 표현 기법으로서의 크로세 기법이 우리나라의 현대 의상디자인과 예술의상 분야에서 예술적인 가치를 지닌 영역으로 확대되는 하나의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 1. 서론 = 1 1.1 연구의 목적 = 1 1.2 연구 내용 및 방법 = 2 2. 이론적 배경 = 3 2.1 크로셰(crochet)에 관한 일반적 고찰 = 3 2.1.1 크로셰의 개념과 역사 = 3 2.1.2 크로셰의 표현기법 = 8 2.1.3. 크로셰를 응용한 현대 디자인 작품 = 14 2.2 꽃과 디자인 = 32 2.2.1 꽃을 모티브로 한 현대디자인 = 32 2.2.2 꽃을 모티브로 한 현대의상 = 40 3. 작품제작 = 47 3.1 제작의도 및 방법 = 47 3.2 작품 및 해설 = 50 4. 결론 및 제언 = 95 참고문헌 = 97 영문초록 = 10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74400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크로셰(Crochet)기법을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꽃모티브를 중심으로-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의상디자인전공-
dc.date.awarded1999.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패션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