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81 Download: 0

여성 독거노인의 우울증 경험 연구

Title
여성 독거노인의 우울증 경험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elderly women living-alone with depression
Authors
원미라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광자
Abstract
The number of the elderly is rapidly increasing due to the rapid aging society, nuclear family, and the change in perception of the family relations and support. In the case of the aged living alone who don’t have much relationship with their neighbors in the local community, they cannot help putting in a poor situation. Such problems are emerging as a major issue of our society which changes into an aging society. Furthermore, because 81.3 percent of those living alone are women, the problems of the aged living alone have been considered as women’s problem in society. In that point of view, those living alone are socially poor group than any other groups and it is even worse in aspect of the management of depression. Therefor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develop the substantive theory by confirming the process for experience of elderly women living-alone with depression by using the Grounded theory.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12 elderly women living-alone between the ages 65 and 80 who live in urban and rural areas. They have been receiving a case management for depression in the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public health care facility, and hospital which is related to mental care agencies, etc. Participants were selected from patients with moderate to severe depression by the Short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This study was fully explained to all participants and performed after approval.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observation. The data analysis was open coding by using the Strauss and Corbin’s Grounded theory, axial coding through paradigm and coding for the procedures. Relevance of category focused on key category was deduced in the selective coding and situation model was suggested through matrix. 116 concepts, 43 subcategories and 16 categories were deduced through the process of analyzing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listed below. 1. In the process for experience of elderly women living-alone with depression, key category was ‘wondering waste land’ 2. In the process for experience of elderly women living-alone with depression, causal conditions were due to ‘the absence of husband role’, ‘broken relationship’ and ‘being left alone’. The contextual condition was because of ‘increasing the pain’. Intervening condition was caused by ‘economic poverty’ and ‘being aware of surrounding environments’ and interaction strategies includes ‘waiting for death’, ‘leaning on alcohol and cigarettes’, ‘accepting fate’, ‘self-comforting’, ‘filling the emptiness inside’ and ‘raising the hopes’. As a result of that, ‘sit down plump’, ‘facing against the world’, and ‘hardening the life’ were shown. 3. In the process for experience of elderly women living-alone with depression, central phenomenon was ‘life in desolation’ and the process for experience of elderly women living-alone with depression deduced by 4 stages: loss, emptiness, abandonment and response. 4. The experience of elderly women living-alone with depression deduced 3 types which are resignation, defense and grope. From the above result, the study find out that experiencing of elderly women living-alone with depression was the process of wandering without finding the way due to the dry and harsh life of loneliness and agony by being alone. By suggesting the nursing intervention in accordance with deduced process and types, it lays the foundation for providing nursing care and understanding the process for experience of elderly women living-alone with depression. Therefore, the study on the experience of elderly women living-alone with depression will be used for evidence of detailed assessment, early detection and prevention for elderly women living alone who suffer from depression.;우리 사회의 급속한 고령화 현상 및 핵가족화, 가족관계와 부양의식의 변화 등으로 독거노인의 수는 점차 증가하고 있다. 지역사회 내 주민 간의 상호작용이 많지 않은 세태 속에서 독거노인은 더 열악한 환경에 처해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는 고령사회로 가고 있는 우리 사회의 중요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독거노인의 81.3%가 여성으로, 독거노인의 문제는 곧 여성의 문제라고 보는 관점에서 여성 독거노인은 어떤 계층보다 취약한 계층이며, 우울증관리 측면에서도 더욱 취약한 대상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여 여성 독거노인의 우울증 경험 과정을 확인함으로써 그에 대한 실체이론을 개발하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지역사회 정신보건센터 및 보건소, 병원 등 정신보건 관련 기관에서 우울증에 대해 사례관리를 받고 있는 자를 소개받아 한국판 단축형 노인 우울척도에 의해 중등도 이상의 우울을 나타내는 참여자로 65세부터 80세까지의 도시 및 농촌 거주 여성 독거노인으로 선정하였다. 참여자에게는 연구에 대해 충분히 설명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를 받은 후 연구를 수행하였다. 자료는 심층면접과 참여관찰을 통해 포화될 때까지 수집하여 총 참여자는 12명이었다. 자료의 분석은 Strauss와 Corbin의 근거이론 방법에 따라 개방코딩 하였고, 패러다임을 통해 축코딩과 과정을 위한 코딩을 하였으며, 선택코딩에서는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범주들의 관련성을 도출하고 매트릭스를 통해 상황모형을 제시하였다. 또한 분석과정을 통해, 116개의 개념과 43개의 하위범주 및 16개의 범주를 도출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여성 독거노인의 우울증 경험 과정의 핵심범주는 ‘황무지를 헤매 다님’으로 나타났다. 2. 여성 독거노인의 우울증 경험 과정의 인과적 조건은 ‘남편 역할의 부재’, ‘인연이 끊어짐’, ‘홀로 남겨짐’으로 나타났으며, 맥락적 조건은 ‘고통이 가중됨’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재적 조건은 ‘경제적 빈곤’과 ‘주변을 의식함’이었고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죽음을 기다림’, ‘술․담배에 기댐’, ‘운명으로 받아들임’, ‘스스로 위로함’, ‘부족함을 채워감’, ‘희망을 쌓아올림’이였으며 그 결과 ‘주저앉음’, ‘세상을 밀쳐냄’, ‘삶을 다져감’으로 나타났다. 3. 여성 독거노인의 우울증 경험 과정에서 중심현상은 ‘삶이 황량함’으로 나타났으며,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상실기, 공허기, 단념기, 대응기의 네 단계로 나타났다. 4. 여성 독거노인의 우울증 경험은 체념형, 방어형, 모색형의 세 유형이 도출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여성 독거노인들의 우울증 경험 과정은 혼자 남겨진 후, 외로움과 고통으로 거칠고 메말라 버린 삶을 헤쳐 나갈 방향을 찾지 못하고 헤매 다니는 과정임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도출된 과정과 유형에 따른 간호중재를 제시함으로써, 여성 독거노인의 우울증 경험 과정을 이해하고 간호를 제공하기 위한 이론적 기초를 마련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울증을 경험하는 여성 독거노인에 대한 구체적 사정과 조기 발견 및 예방의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